왜 합리적 인류는 때때로 멍청해지는가
#왜합리적인류는때때로멍청해지는가
인간의 특별함은 깊이 사고한다는 것이다. 정의하고, 구성하고, 판단하고, 추리하며 생물학적 한계를 극복하고 번성했다. 문명을 세우고, 문화를 향유하며, 엄청난 기술의 진보를 이루어 낸 우리는
왜 때때로 멍청해질까?
인류가 가지고 있는 이 무기는 종종
1. 미묘한 논리적 오류로 엉뚱한 결과를 가져온다.
2. 선동적인 정치가와 사기꾼의 화려한 수사는 논리를 왜곡시키고 자주 판단을 훼손시킨다.
3. 우리의 감정과 생각 기억은 자주 왜곡되며 개인의 경험과 환경은 특정한 쪽으로 편향되거나 결함을 일으켜 엉뚱한 곳에 마침표를 찍게 한다.
4. 객관성을 보장하고 정확성을 담보하는 숫자와 통계는 상대적이며 맥락 없는 숫자의 나열은 현실을 비튼다.
5. 인터넷과 SNS로 소비되는 정보들은 개인과 집단을 편향시키고 강화시킨다.
개인이든 조직이든 집단이든 우리는 수많은 문제와 현상을 매일 맞닥뜨리고,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인간은 한없이 멍청할 수 있는 다양한 원인에 노출되어 있다.
눈앞에 보이는 현상에 매몰되어 깊이 생각하지 않고
권위와 교만, 오만과 직관으로 문제를 대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대한민국의 오늘은 특히나 명백하게 보여준다.
더욱이 개인이 아닌 국가의 리더, 조직의 리더의 경솔하고 치우친 결정은
한 나라를, 한 조직을 한 순간에 망칠수도 있다. 문제를 면밀히 들여다보고, 해결 방법의 장.단점을 주의깊게 확인하며 그 방법의 적법성과 합리성을 근거있게 판단하되 이 모든 일을 책임감 있는 태도로 대한다면 그것이 리더의 올바른 자세라고 할수 있겠다
비판적 사고와 과학적방법론은 이런 부족한 우리의 나약함을 완화시킬수 있는 절대적인 힘이다.
때때로 멍청한 것을 넘어
늘 멍청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은 생각보다 쉽다.
#휴리스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