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곽예신 Jan 28. 2023

워크숍 리뷰: KOOFA DVDM

A 유치원 혁신교육 워크숍 사례를 통해 KOOFA DVDM 분석을 소개

안녕하세요. 


올해부터 워크숍 사례와 도구를 함께 하나씩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KOOFA에서 늘 가장 강조하는 부분은 퍼실리테이션의 철학입니다.


진정성, 중립성, 신뢰 이 세 가지 가치를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풀어내는 것이 중요한 것이지,

포스트잇 개수를 많이 뽑아내는 것이 우선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도구와 프레임도 결국에는 참여자에게 던지는 하나의 질문을 포장지로 꾸민 것이기 때문에
결국 상황에 맞게 적절히 질문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숙련된 퍼실리테이터는 도구와 프레임 의존 없이 워크숍을 성공적으로 진행할 수 있지만,

초보 퍼실리테이터의 경우 도구와 프레임이 절실하게 필요한 것이 현실이기도 합니다.


저는 초보 퍼실리테이터도 도구를 어떤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여 사용하게 되었는지 살펴보면서
본질적인 내용도 함께 고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소개하려고 합니다.


도구가 어떤 내용인지, 어떤 맥락으로 사용되었는지 함께 생각하면서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순서는 질문 프레임 DVDM에 관해 소개드립니다.


DVDM은 쿠퍼실리테이션그룹에서 구기욱 대표님이 구성한 질문 프레임 도구입니다.

(KOOFA로 등록된 상표권으로 사용 시 출처 표기를 부탁드립니다)


<DVDM 설명>

· Definition(정의):
주제에 대해 서로 인식하고 있는 것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공유하여 개념 명확한 하기 

· Value(가치):
주제의 개념이 어떤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지 확인하기

· Difficulty(어려움):
주제의 개념을 실현하는데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서로의 논의하는 과정에서 근본적인 원인 찾기

· Method(방법): 

주제의 개념을 실현하고 개선하는데 필요한 방법 또는 해법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진행 방법>

1. 주제를 선정한다.

2. 차트를 4 공간으로 나눈다.

3. 각 공간에 DVDM 질문을 하나씩 적는다.

4. 해당 질문에 대한 아이디어를 참여자들이 내고, 점착식 메모지에 적어서 붙인다.

5. 각자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더 추가할 것은 없는지 점검한다.


<도구 Tip>

· 각 질문을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하기보다는 순서대로 하나씩 진행한다.

· 여러 그룹에서 진행하는 경우 차후에 원더링 플립차트 기법을 적용하면서 상호 피드백의 기회를 제공하면 매우 효과적이다.

· DVDM 분석 대상이 되는 주제는 참여자 간 이해 및 정의가 다르게 되어 있는 상황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더 자세한 설명은 구기욱 대표님의 브런치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https://brunch.co.kr/@giewookkoo/156


그럼, 이번 A 유치원 워크숍에 어떻게 DVDM 질문 프레임을 활용하였는지 설명드립니다.


이번 워크숍의 목적과 결과물, 어젠다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의뢰자가 기대하는 목적과 결과물


사전 미팅을 통해 


이 워크숍에서 왜 저는 DVDM 도구 질문 프레임을 활용하게 되었을까요?


1. 참여자가 퍼실리테이션을 활용한 회의에 익숙하고, 몰입도가 높았다.

DVDM은 개념의 정의부터 문제해결까지 한 번에 다루는 방식이며, 본질을 건드는 철학적인 질문 방식입니다.

따라서, 퍼실리테이션 방식이 익숙하지 않은 참여자들에게는 굉장히 부담스러울 수 있는 도구이기도 합니다.

이번 워크숍 참여자들은 이미 퍼실리테이션 회의에 익숙한 참여자들이면서, 행복유치원(혁신교육)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로서 해당 논의 주제에 관해 몰입도가 높은 상황이라는 것이 확인되어 활용하게 되었습니다.


2. 참여자끼리 행복유치원(혁신교육)에 관한 함께 논의하는 시간이 이전에 부족했다.

워크숍을 의뢰하게 된 주요 배경이 행복유치원(혁신교육)을 최근 3년~5년 사이에 시행하게 되면서 

각 유치원별로 방향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이었습니다. 현재 초등학교에는 혁신교육이 잘 정책 되어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유치원도 잘 정착되는 과정에서 행복유치원(혁신교육)이 무엇인지에 관해 먼저 본질적인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였습니다.


3. 정의와 행복유치원(혁신교육)의 발전방향을 위한 액션플랜이 짧은 시간 내에 도출돼야 했다. 

워크숍 의뢰자 대부분은 워크숍이 끝나면, 실행할 수 있는 계획이 도출되길 희망합니다. 실행 계획을 위한 아이템을 도출하기 위한 도구는 굉장히 많지만, 개념적 정의와 아이템(방법)을 동시에 다루는 도구는 DVDM이 굉장히 효과적입니다. 진행할 수 있는 시간이 3시간으로 제한적이었기 DVDM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만약, 진행할 수 있는 시간에 여유가 있다면 도구를 나눠서 다음과 같이 진행해 볼 수 있었을 것입니다.


예시)

내가 생각하는 행복유치원(혁신교육)이란? -> 리치픽처
내 그림을 함께 이야기 나누며, 키워드 도출하기 -> 그룹 대화, 스토리 보드, 해시태그 등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 도출하기 -> 브레인스토밍, 브레인 라이팅


다음과 같은 예시로 조금 더 말랑말랑하게 한 단계씩 논의를 연결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있지만,

사전 인터뷰를 통해 DVDM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습니다.


결과물 예시) 일부 공개

마지막으로 한 가지 강조드리고 싶은 부분은 구체적인 문장을 도출할 수 있도록 잘 촉진하는 것입니다.


참여자가 초반에 추상적인 단어 위주로 아이디어를 도출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적절한 시기에 "이 단어는 어떤 의미인지 설명을 부탁드려도 될까요?"와 같은 질문을 통해 구체화하고 기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시) 수평적 관계 -> 교직원과 고객의 수평적인 관계형성에 도움이 됨


이렇게 오늘은 KOOFA 구기욱 대표님이 구성한 DVDM 질문 프레임을 워크숍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 또 다른 도구와 사례와 함께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긍정적 인간관을 갖는다는 것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