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편안한 제이드 Aug 23. 2022

공공기관의 오아시스이자 함정, open.go.kr

보고서 작성이 막막할 때는 역시 정보공개포털


  일을 하다 보면, 갑자기 위에서 떨어져 내려오는(정말 말 그대로 위에서 떨어져내려서 얻어맞는 기분이 드는) 일들이 있다. '이렇게 갑자기? 아무 디테일한 지시도 없이?' 이런 일들은 대부분 굉장히 막연한 데다 데드라인은 빠듯하다. '위에서 이런 거 해보면 어떨까 하시는데 한 번 검토해서 다음주 월요일에 보고할 수 있게 준비해줘'와 같은 식이다. 사전조사된 자료도 없고, 전년도 수행실적도 없다. 망망대해에 떨어진 기분이 들 때 사기업에 다니면 어디부터 작업(?)을 시작할지 모르겠으나, 공공기관에 다니는 사람이라면 제일 먼저 들어가 보면 좋은 사이트가 있다. 바로 '정보공개포털(open.go.kr)'이다.


  목 마른 공공기관 실무자에게 open.go.kr은 오아시스와 같다. '정보공개포털'은 정보공개법의 시행으로 인해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이 자기 기관에서 생산하는 문서들을 국민 대상으로 공개하는 플랫폼이다. 기안문 등 대부분의 문서(비공개할 사유가 있지 않은 문서)가 이 플랫폼을 통해 국민 대상으로 오픈된다. 회원가입 등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누구든지 검색을 통해 궁금한 키워드 관련 정부/지자체/공공기관의 문서와 첨부파일을 열람·다운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자기 기관장님이 사내 직원 교육을 지금 방식 말고 새로운 방식으로 해보라고 지시했다고 해 보자. 전년 자료를 기반으로 문제점을 일부 개선해 올해 계획을 세워 운영해 왔던 직원은 갑자기 '직원 교육 개선 계획'을 작성해야 할 것이다. 지금 교육의 문제는 뭔지, 그래서 어떤 교육을 새로 추진해야 하는 건지, 아무 힌트도 없는 상황에서 제일 먼저 궁금해지는 것은 '다른 기관은 어떻게 하고 있을까?'이다. 이 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비슷한 규모/성격의 기관 몇 개를 골라 전화번호를 찾아 일일이 담당자에게 전화해보기, 그리고 open.go.kr에 접속하기이다. '담당자에게 일일이 전화하기'가 일견 바보같아 보이고 무식한 방법 같아 보이긴 하지만, 사실 이보다 더 실제 현장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그래서 나는 이 방법을 완전히 비추천하지는 않는다. 다만 시간이 매우매우매우 오래 걸리므로, 전화라는 최후의 수단을 쓰기 전에 사전 조사 차원에서 '정보공개포털'에 들어가보기를 권한다. 



  open.go.kr에 접속하면, 검색창이 하나 보인다. 여기에 생각할 수 있는 여러 검색어를 입력해 다른 기관이 어떤 문서를 만들었는지 확인해본다. '교육', '직원 교육', '교육 계획', '연간 교육', '교육 개선' 등등.. 각 기관마다 쓰는 단어가 미묘하게 다르기 때문에, 검색어를 계속 바꿔 가며 입력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검색 결과에 나오는 문서 중 의미 있어 보이는 것들(기본계획이나 시행계획 등)을 클릭해 보고, 내가 문서 작성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양식이나 내용이 있을 경우 파일을 다운받아 둔다(대부분의 파일은 pdf 또는 hwpx 형식이다). 


  검색을 하다 보면 나와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실무자가 참 많구나 싶은 생각에 한편 안심이 되기도 하고, 실제로 작성에 도움이 되는 아이디어도 많이 건질 수 있다. 결국 공공기관의 실무자들이 하는 고민은 다 비슷비슷하기 때문이다.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참고할 수 있는 다른 기관의 사례가 필요할 때, 정보공개포털만큼 좋은 참고 사이트도 없을 것이다.




  이쯤 되면 '대체 왜 함정이라는 것일까?'란 생각이 들 것이다. 내가 '정보공개포털'을 공공기관 근무자에게 '오아시스이기도 하지만 함정이기도 하다'라고 하는 이유는 두 가지다. 첫 번째로는 아무 생각 없이 그대로 옮겨 쓰다가 다른 사람이 한 실수를 그대로 할 수 있다는 점을 말할 수 있다. 정보공개포털에 있는 수많은 문서들은 수많은 예시일 뿐이지, 정답이 아니다. 참고는 할 수 있겠지만, 무심코 그대로 따라 쓰다가는 그 예시에 들어있는 실수까지도 그대로 쓸 수 있으니 늘 조심해야 한다.

  두 번째는 결국 '정보공개포털'은 내가 다른 사람의 문서를 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지만, 내가 쓴 문서도 다른 사람들에게 공개되는 플랫폼이라는 것이다. 공공기관에 다니는 사람이라면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는 문서를 '정보공개포털'을 통해 전국민에 공개해야 한다. 결국 누군가는 내 문서를 보고 따라 쓸 수도 있다(ㅎㅎ). 그 점을 명심하기만 한다면, open.go.kr은 오아시스로서만 기능하고 함정은 잘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전 09화 공공기관 재직자의 생존형 한글(hwp) 팁, 두 번째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