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다온 May 13. 2023

회복 탄력성 공부하기

* 강력한 회복탄력성의 기반이 되는 행복감은 나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서 나오는 것이지 외부적 조건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 애착과도 밀접하게 연관이 있겠네.

-> 불안정, 회피형, 혼합형, 안정형 등등.


*스스로의 결단을 통해 스스로 행복할 수 있는 사람은 자기 자신과 관계가 건강한 사람이다.

소통능력의 핵심은 자기 자신과 긍정적인 내면적인 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이다.

대인관계는 내면관계의 반영이기 때문이다.


-> 회피하고 싶은 부분, 미루고 싶은 부분들.


회복탄력성을 약화시키는 정서: 두려움

두려움-> 좌절감 -> 분노


행복의 특정한 조건(돈, 권력, 지위, 명예, 성공, 사회적 평판, 외모 등등)

-> 의존하고 믿는 사람들은 그 특정 조건을 숭배한다.


사람을 두려워하는 것 2가지.

1) 행복의 조건을 혹시 잃어버릴까봐 두려움

-내가 얻고자 하는 성공이나 성취가 행복을 가져다 주지 않는다.

-나의 행복은 나의 내면적 결단에서 나온다.

-어떤 역경이나 실패도 나를 불행하게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야 함.


*나의 삶이 어떻게 전개되도 어떠한 삶의 조건이 주어지든 만족할 수 있다.(오유지족)

  -> 마음의 걸림이 없어지고 두려움이 사라짐.

  ->  적극적 도전성이 생김.

  ->  회복 탄력성


#실패에 대한 어떤 두려움도 없는 상태 = 회복 탄력성을 지닌 상태.


*지금 이순간, 있는 그대로, 지금 그대로 오롯이 존재 -> 무한한 행복 0


필요한 것을 모두 다 가진 상태가 행복이 아니다.

모든 것을 다 놓아버리고도 더 이상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은 상태 = 진정한 행복.


성공에 대한 강한 집착 -> 어떤 상황에서 반드시 이뤄내겠다는 강한 집착, 집념

  -> 회복탄력성이 떨어짐 -> 부정적 정서를 유발


회복탄력성 = 반드시 성공해야겠다(x),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태 (0)


*자기 자신에 대한 깊은 성찰

-> 행동에 대한 뚜렷한 목적과 방향성

-> 목적 달성 여부에 전전긍긍하지 않는 삶의 태도.


*회복탄력성이 약한 사람: 

-타인과 자신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습관적으로 유발.

-자신과 남에 대해 분노하고 증오하고 미워하고 공격적인 적대감을 지닌 사람

-마음근력이 허약한 사람


두려움, 분노, 스트레스가 가득차 불행감을 느끼는 사람

=회복탄력성이 약할 수 밖에 없다.


Q 불행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불행의 요인

: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어하는 욕망

ex) 부모, 사회적 인정 -> 세뇌.


타인의 인정, 선망, 칭찬에 짜릿한 쾌감을 느낀다.

쾌감에 중독 -> 타인의 인정을 추구, 진정한 삶을 살지x


무시, 비판, 경멸을 받지 않을까? 전전긍긍하며 두려움 산다.


실패나 역경 자체를 두려워하기보다는 

그것이 가져올지도 모르는 주변 사람의 무시나 비난을 두려워함.


Q 당신의 두려움은 무엇인가요?


나와 타인의 긍정적 정보처리 -> 진정한 행복감

-> 타인의 시선이나 평가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어야만 나 자신과 건강한 관계 맺을 수 있다. 나 자신과의 관계가 건강해야 타인과 다른 사람과 건강히. 긍정적 정서가 유발됨. 그래야 회복탄력성이유발됨.


Q 무엇에 인정받고 칭찬받고 싶은가요?


진정한 행복 -> 타인의 인정이나 칭찬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심무가에, 무유공포' - 마음의 걸리는 게 없는

-> 어떤 상황에서든 스스로 오로지 만족하는 자가 되어서 어떠한 실패도 두려워하지 않게 된다.


세상의 평판이나 다른 사람의 인정에 연연해하지 않고 자기 자신과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 사람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게 되며 강력한 회복탄력성을 지니게 된다.


어떤 실패나 역경을 겪는다 해도 그것을 도약의 발판으로 삼아 더 높이 튀어오른다.

긍정적 정서는 개인보단 공동체 문제.


행복감, 불행감 -> 전염성이 강하다.


*우린 함부로 부정적 정서를 표출하여 우리 주변사람들을 불행감의 구렁텅이로 끌어내릴 권리는 없다.

-> 회피했던 이유. 땅굴을 팠던 이유. 안전하게 이야기 할 공간이 필요.


우린 행복해야 될 의무가 있다.

-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의무이다.

-행복감을 유지하는 것.


강력한 회복탄력성 = 사회 구조적 해결에도 도움이 됨.


구조 자체를 변화시키는 것은 불가능.

한 인간이 자신이 사는 정치 - 사회적 조건에 언제 어떻게, 얼만큼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작가의 이전글 박살 나고 깨지면서 더욱 강해지는 사람들의 6가지 특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