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만식 May 01. 2024

고희를 맞이하여

존경하는 아버지께


아버지의 칠순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평소에 말씀은 못 드렸지만 항상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으며 아버지의 아들로 태어나 한평생 부족함 없이 좋은 환경에서 잘 살 수 있어서 행복했습니다. 앞으로도 공부 열심히 하여 훌륭한 변호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평생 효도하며 은혜 갚는 아들이 되도록 할게요.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2024. 4. 27  

                                 아들 성수 올림

손자와 함께

며칠 전,  고희 생일에 아들이 건네준 축하 카드에 적힌 글귀다. 나는 아들이 쓴 축하 카드를 읽으면서 만감이 교차했다. 내가 어느덧 칠순이 되었다고 생각하니 축하할 일이지만 동시에 죽음이 가까이 다가온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되었다. 직장을 다닐 때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 인생의 본래 의미를 새겨볼 겨를이 없이 경제적, 사회적 역할과 자신의 명예를 위해 온종일 일에 파묻혀 하루하루를 보낼 수밖에 없었다.


고희는 중국 당나라 시인, 두보의 곡강시에 나오는 '인생칠십고래희'에서 유래한 말인데 다음은 두보의 곡강이수에 나오는 시구다.


"인생 칠십은 예로부터 드물었다네


꽃사이로 나비가 분분이 날아들고


잠자리는 물 위를 여유롭게 나는구나


듣자니 좋은 경치는 함께 즐겨야 하니


잠시라도 서로 즐기며 기쁨을 나눠보세"           


내가 이 세상에 온 지 어느칠십 년. 부모님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의 덕분에 회갑이 지나 고희를 맞이했다는 실이 가슴이 벅차고 감사하기도 하다. 그런데 퇴직 후 요즘 일상이 단순한 생활의 연속이며 친구들도 하나둘씩 질병으로 시달리거나 심지어는 저세상으로 떠나가기에 행복과 불행, 삶과 죽음에 대한 생각에 몰두할 때가 많다. 즉 ' 인간은 태어났으며 죽음을 맞이해야 하는가?'라는 명제로 그 해답을 찾는데 갈급하기도 한다.

고희란 말도 죽음을 전제로 존재하는 단어다.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듯이 생이 있으면 죽음이 있는 법이다. 달리 말하자면 이 세상의 모든 사물은 바람 속에 먼지처럼 사그라진다.


인간은 무엇을 위해 살아가는가?

어느 철학자는 삶은 원래 의미와 목적이 없고 그저 살아갈 뿐이라고 했다. 새봄에 새싹이 돋아나고 가을에 낙엽이 지는 이치와 같다는 것이다. 


인생의 목적은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까지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살아간다는 주장이 일반적이다. 행복에 대한 가장 인기 있는 정의는 '주관적 안녕감'이다. 안녕이란 평안하다는 뜻으로 즐거움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특별한 사건이 없는 편안한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에는 직장, 건강, 가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기 삶에 대한 만족도가 중요하다고 한다. 물론 슬프고 괴로운 사람이 자기 인생에 만족할 리 없고 만족감에는 기쁨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이 필요하다. 그래서 행복이란 만족과 즐거움을 지속적으로 느끼는 상태라고 정의한다.


죽음이란 무엇인가?

학자들은 "한 생명체의 모든 기능이 완전히 정지되어 원형으로 회복할 수 없는 상태가 죽음이다"라고 규정한다. 하지만 삶을 규정하지 않고 죽음에 대한 완전한 답이 있을 수 없으며 또한 죽음의 세계는 인간의 경험 영역, 지각 영역을 넘어서는 차원의 문제이기에 그 본체를 파악하기란 사실 어려운 일이다. 인간은 죽음으로 향하는 존재라 규정한 철학자도 있고 산다는 것이 무덤을 향하여 한 발자국 한 발자국 다가가는 과정이라고 말한 소설가도 있다. 프랑스 사상가 몽테뉴는 그의 수상록에서 이렇게 말했다.

'죽음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지 모른다. 곳곳에서 기다리고 있지 않겠는가. 죽음을 예측하는 것은 자유를 예측하는 일이다. 죽음을 배운 자는 굴종을 잊고 죽음의 깨달음은 온갖 예속과 구속에서 우리를 해방시킨다.'

나는 죽음이 두려워할 일 아니지만 죽어가는 과정이 두렵다고 생각한다. 사람은 후회 없이 살았다는 신념과 존엄성이 유지되고 죽음의 과정도 깔끔해야 아름다운 마무리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사실 잘 죽어야 하는 것도 하늘의 심판이나 윤회의 과보처럼 중요한 일이다. 죽는 순간까지 주위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 고통스럽지 않게 하늘나라로 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바람이다. 하지만 '인명재천'이라 죽음은 인간이 스스로 해결할 수 없으며 미경험, 미지각의 영역이기도 하다. 그래서 인간은 죽음을 신의 영역이라 여기고 자신의 소원을 절대자인 신에게 의지하며 기도하는 것이 아닐까ᆢ.

독일 철학자 칸트는 행복의 조건을 이렇게 말했다. "첫째, 할일이 있고  둘째, 사랑하는 사람이 있고 셋째, 꿈이 있어야 한다." 

나는 여생이 얼마인지는 알 수 없다. 종교적으로 표현하자면 하느님이 부르시면 언제든지 귀천할 수밖에 없는 나이다.

남자의 평균수명이 80세고 건강수명은 71세라는 통계 발표가 있다. 오래 사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죽음을 맞이하는 날까지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존경받는 노인으로 생활하기를 희망한다.


오늘 아침, 집 근처 늘벗공원으로 산책을 갔는데 그토록 화사하게 피었던 영산홍이 어느덧 시들어버렸다. 최근에 유행한 대중가요, <바람의 노래>에는 이런 가사가 담겨있다. '세월 가면 그때는 알게 될까 꽃이 지는 이유를.'


작가의 이전글 제주를 살린 빛 김만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