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효주 Nov 17. 2021

라면 같은 젊은은 그만

[그림]볼가강에서 배를 끄는 인부들 #노동

   

가난하고 힘든 이들에게 있어 노동은 삶을 유지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입니다. 그 옛날에도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노동의 고단함이 등장인물의 얼굴에서 하나도 빠짐 없이 나타납니다. 그림이 그려지던 19세기말 러시아는 농노제는 폐지되었지만, 농토를 소유할 경제력이 없던 농민들은 소작농이 되거나, 저임금의 노동자가 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죠. 노동 환경 역시 열악하기는 마찬가지죠. 러시아 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불어닥친 농노제의 폐지와 산업혁명은 경작할 땅을 갖지 못한 농민들의 도시로의 진입을 불러왔고, 도시는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가난한 이들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 당시 정서와 사회분위기 속에서 죽지 않고 혹은 건강하게 노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달라고 외치기는 쉽지 않았을 겁니다. 

 노동은 그 시작부터 그렇게 가치 있는 활동으로 취급받지 못했습니다. 지금 대한민국에서도 노동은 그렇게 취급되는 것 같습니다.     

 1986년 이었음이 정확합니다. 아시안게임 때문이죠. 당시 시골에 살던 외사촌 언니들이 직장을, 학업을 이유로 대구로 나와 우리 집 근처에 셋방을 얻게 되었습니다. 언니들이 근처에 있어 가장 좋은 이유는 그 셋방에 놀러 가면 늘 곤로에 끓여낸 라면을 얻어먹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죠. 그 시절 라면을 앞에 놓고 텔레비전의 길쭉한 안테나를 이리저리 돌려가며 채널을 맞춘 9시 뉴스는 온통 아시안게임 이야기였죠. 그중에 단연 화제는 임춘애라는 선수였습니다. 육상에서 우리에게 금메달을 안겨준 그녀는 너무나 가난하고 힘들어 라면만 먹고 뛰었다고 했습니다. 내 앞에 차려진 이 맛있는 라면과 임춘애의 고단함이나, 퇴근한 언니들의 피곤함을 연결해 생각하기에는 너무 어린 나이였긴 하지만 뭔가 뭉클거렸습니다.     

30년이 지난 2016년. 서울 구의역에서 홀로 지하철 전동문을 수리하던 김 군이라는 청년이 죽었습니다. 김 군의 가방에서는 엄마가 밥이라도 같이 먹으라며 챙겨준 숟가락과 컵라면이 나왔다고 합니다. 태안화력발전소에서 노동하다 사망한 김용균 씨의 마지막 유품도 컵라면이었습니다. 제시간에 따뜻한 김이 나는 밥 한 그릇 먹을 시간도 없이 고단한 그들의, 노동의 마지막 음식이 컵라면이었던 거죠. 그들의 라면은 삼십 년 전 가난하고 힘들어 뛰었다는 임춘애의 라면과 분명히 노동으로 고단했을 외사촌 언니들이 끓여낸 라면과 겹쳐졌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대한민국 곳곳에서 청년들은 노동 현장에서 떨어지고 깔리고 불에 타서 혹은 스스로 죽어간 뉴스들이 이어졌습니다. 죽음의 순간에도 비정규직, 일용직, 임시직, 계약직이라는 이름으로 말이죠. 청년들의 목숨이 오 분이면 혹은 삼 분이면 뚝딱 완성되어 젓가락질 몇 번이면 끼니가 해결되는 라면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소중하지 않은 목숨은 없지만 가장 아름답고 찬란한 젊음이 살아남기 위해 노동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그렇게 노동해야 하는 이유가 물려받은 것이 없어서일 것이니까요. '수저'라는 신종 계급론에 따라 금수저를 가지지 못했기에 죽음을 목전에 둔 노동 현장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노동은 의무이기 이전에 권리라는 인식을 모든 사람들이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인간이 누려야 하는 존엄한 가치로서의 권리니까요.  세계인권선언 23조와 24조는 노동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유리한 노동 조건에서 일하며 실업에 대한 보호의 권리를 가질 수 있다.’ , ‘차별 없이 동일한 노동에 대하여 보수를 받을 권리를 가지며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가입할 권리를 가질 수 있다.’,  ‘거기에 더해 정기적인 유급휴가와 휴식과 여가를 누릴 권리도 가질 수 있다’고 말입니다.     

공동체 유지를 위해 건강한 노동을 지속해야 할 의무는 있지만, 노동은 인간이 가져야 할 권리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말이죠. 오히려 젊은 노동이 안전하도록, 차별받지 않도록 건강한 노동 환경을 제공해야 하는 의무는 국가가 수행하여야 하며, 더 이상 노동이 계급으로 차별받지 않도록 제도와 경제 구조를 개선해야 할 의무도 젊은 노동자가 아니라 국가에 있다는 것입니다.     

그 시절 외사촌 언니들의 젊음도 쌀밥에 반찬을 차려내어 먹고 다니기에 버거웠을 겁니다. 그래서 가벼운 라면이 주식이 되었을테죠. 임춘애 역시 라면 발언은 오해로 밝혀지긴 했지만 30년 전 청년들의 가난함과 고단함을 상징하는 것이 라면이었기에 그런 오해도 당연히 받아들여졌던 것이고요.     

아름답고 고귀한 젊음의 노동의 대가가 오백원에서 천원 하는 라면으로 메꾸어지지 않기를 , 젊음들의 허기진 노동 역시 라면 한 그릇으로 충족되는 가치가 아니기를 바랍니다. 더 이상 노동에 예속되는 삶을 사는 젊음이 아닌, 내 삶을 위해 존재하는 노동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림1> 막스리베르만( Max Liebermann)_바구니를 만드는 사람들 (Die Korbflechter), 1872 

<그림2> 일리야 레핀(Ilya E. Repin, 1844~1930), 볼가강에서 배를 끄는 인부들Volga_Boatmen_(1870-1873)

출처 : 위키미디어커먼스 (https://commons.wikimedia.org/)

이전 18화 다름이 만들어낸 학살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