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 서비스 분석의 시작
세모경은 <세상의 모든 경험>을 해보고 싶은 UX 리서처(재경)와 PM(현정)이 매달 하나의 경험을 선정하여 직접 겪어보고 이를 분석하는 시리즈에요. 세모경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이번 달 세모경에서는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맵을 통해 지도 서비스를 분석하고 지도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의도와 경험을 조사하여 정리했어요. 세모경에서 주목한 경험은 <만남을 위한 지도 서비스 사용 경험>입니다.
먼저, 지도 서비스를 분석하고자 한 이유는 아래와 같아요.
1. 계속 이슈화되던 ‘카카오맵’의 리뷰 문화에 관심이 생겨 사용자 관점에서 지도 서비스를 바라보고 싶었어요.
2. ‘카카오맵’과 지도 서비스 분야에서 긴 시간 지배적 위치를 선점하고 있는 ‘네이버 지도’를 비교하여, 지도 서비스가 나아갈 방향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자 했어요.
그러나 지도 서비스는 오래된 도메인인 만큼 매우 다양한 서비스가 있어요. ‘티맵(Tmap)’처럼 내비게이션 특화 서비스도 있고, ‘트랭글(Tranggle)’과 같은 하이킹 특화 서비스도 있죠. 그래서 우리는 누군가를 만나기 위해 대중교통으로 이동하는 상황을 주요 상황으로 설정하고, 이에 특화된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맵’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어요. 이러한 맥락에 주목한 이유는 아래와 같아요.
1. 지도 서비스 전체를 다 볼 수 없기에, 선택과 집중을 해야 했어요.
2. 우리가 가장 흔하게 경험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맥락을 포함하는 상황을 설정하고자 했어요.
3. 지금까지 논의되어 온 단순한 길 찾기 여정을 확장하여 더 넓은 사용자 여정을 살펴보고자 했어요.
위와 같은 이유로 <만남을 위한 지도 서비스 사용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우리는 세 가지 단계를 거쳤어요.
1. 데스크 리서치(Desk Research) 단계: 서비스 변천사 및 관련 연구에 대한 문헌 조사 수행
2. 사례 연구(Case Study) 단계: 네이버 지도 및 카카오맵의 주요 기능 비교 분석 수행
3. 사용자 연구(User Research) 단계: 지도 서비스 사용자 대상 설문조사 수행
첫째, 데스크 리서치 단계에서 지도 서비스의 분석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맵’의 서비스 변천사를 살펴보고 지도 서비스에 관한 사용자 경험 연구 조사를 수행했어요.
둘째, 사례 연구 단계에서 지도 서비스의 상세 기능을 살펴보기 위하여 지도 서비스의 사용자 여정을 구조화하여 분석했어요. 특히, 두 개의 지도 서비스에서 공통으로 제공하는 주요 기능과 각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특화 기능을 고려하여, 공통 사용자 여정에 대한 서비스 비교 분석 및 특화 사용자 여정에 대한 서비스 분석을 수행했어요.
마지막으로, 사용자 연구 단계에서 지도 서비스 사용자들의 행위를 파악하고 선호 기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사용자 연구를 수행했어요.
‘카카오맵’에 대한 호기심에서 시작한 이번 글을 통해 우리는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맵’에서 제공하고 있는 경험을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지도 서비스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각자의 생각을 정리하며 마무리하고자 해요. 자세한 질문은 아래에서 읽어보실 수 있어요.
1. 길 찾기 여정을 어떻게 구분할 것이며,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맵’은 어떤 경험을 제공하는가?
2. 사용자는 지도 서비스를 통해 무엇을 하고자 하며, 우리는 어떤 경험을 제공해 주어야 하는가?
3. 결국 지도 서비스는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해야 하는가?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답은 사례 연구 단계를 통해,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답은 사용자 연구 단계를 통해, 마지막으로 세 번째 질문에 대한 답은 종합 결론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요.
다만 본 글은 시리즈로 구성된 만큼 앞 단계의 분석 결과가 다음 단계의 분석 방향에 영향을 미치므로 순서대로 읽는 것이 전체 흐름을 이해하시기에 좋을 거예요. 또한 본 글은 세모경의 개인적 견해를 포함하고 있기에,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 비판적인 시각으로 혹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하며 읽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