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차돌쌤 Mar 14. 2024

파도치는 잠

알람이 없어도 새벽에 눈이 떠진다.

뒤척이고, 뒤척이고, 뒤척인다. 몇 시지?

아직 더 잘 시간인데?

일어나서, 아이들의 방을 살펴본다. 아이들은 잘 잔다. 이불을 덮어 준다.

이른 새벽이라, QT를 할까? 책을 읽을까? 유튜브를 볼까?

그냥 유튜브를 본다, 떨어지는 머리를 느낀다. 다시 침대에 눕는다.

가끔 새벽에 벌어지는 일상이다.

잠은 나이가 듦에 따라 변화하는 것 같다.     


생각해 보면     


10대에는 

저녁잠: 자기 싫었는데, 부모님의 고함에 잠든다.

아침잠: 더 자고 싶은데, 부모님의 고함에 일어난다.     


20대에는 

저녁잠: 책만 펴면 잠이 온다. 언제 잠들었는지, 머리만 대면 잠든다.

아침잠: 알람 없이는 일어날 수가 없다.     


30대에는 

저녁잠: 취업 준비로 잠을 잘 수가 없다, 자녀들을 재우기 위해 이른 잠을 못 잔다.

아침잠: 잠들었지만 피곤한 몸, 할 것이 많아 무거운 몸을 일으켜야 한다.      


40대에는 

저녁잠: 만남이 많아지고, 업무를 해야 하고, 자녀를 돌봐야 하므로 이른 잠이 어렵다.

아침잠: 자고 싶지만, 아이들을 챙겨야 하고, 출근해야 하므로 일어나야 한다.     


50대에는 

저녁잠: 잠자기는 아까운 시간, 생산적인 일을 해 볼까? 피곤해서 그냥 자려고 누워도 쉽게 잘 수가 없다.

아침잠: 새벽에 그냥 눈이 떠진다. 무엇을 하지?     


새 나라의 어린이는 일찍 일어납니다.

잠꾸러기 없는 나라 우리나라 좋은 나라~

새 나라의 어린이 노래가 귀에 아직 남아 있다. 

그리고 9시 뉴스가 시작되면 잠이 든 기억이 있다.

그래서 누우면, 그냥 잠들었다.

그렇게 멀지 않은 저녁의 모습이다.      


뒤돌아보면, 

젊었을 때는 학업과 취업 준비 그리고 자녀 양육으로 인해 잠은 부족했고, 잠은 어려운 상대였다. 

하지만, 

어느 순간 내 마음대로 잠들지 못하는 나의 육체를 느끼면서, 또 이거는 뭐지?

잠들 수 없는 이 시간, 무엇을 하지? 

다행히 오늘은 이렇게 낙서라도 하니, 조금은 의미 있는 듯하다.     


2024년 2월 18     

이전 09화 50의 십계명 (부제: 50대 살기 위한 발버둥)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