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아옹 Nov 21. 2023

자식은 엄마의 살점을 떼어가는 악마인가 (상)

모유수유를 끝내던 그날의 기억들

우리 아버지는 할머니가 마흔일곱에 낳은 늦둥이이다. 4남 3녀 중 막내. 첫째 큰아버지와 아버지 나이는 20살 이상 차이가 난다.


따져보니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는 지금으로부터 무려 110년 전에 태어난 분들이시다. 할아버지는 내가 스무 살이 된 해에 아흔의 나이로 돌아가셨고, 할머니는 아버지가 스물여섯 살 때, 우리 부모님께서 결혼을 하기도 전에 돌아가셨다.


그래서 나는 할머니를 태어나서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할머니는 그저 구전으로만 들은 존재다. 할머니는 할아버지보다 세 살이 많았고, 열아홉 살에 열여섯 살인 양반 삼대독자 할아버지와 결혼하셨다는 것. 이북 함경도 출신인데 남쪽으로 내려오셨다는 것. 110년 전 사람, 그것도 여자였는데 아주 현대적인 이름을 쓰셨다는 것. 이 정도가 내가 아는 할머니에 대한 거의 유일한 정보다.


부모님이 귀농하여 살고 계시는 시골집에 어느 날 처음 보는 사진이 하나 생겼다. 갓을 쓰고 두루마기를 입은 할아버지. 그리고 그 옆에 나란히 서있는 한복을 입은 할머니. 아주 옛날 흑백사진이었다. 요즘은 사진 복원 기술이 좋아졌다. 빛바래 스러져가는 사진을 복원해 아버지는 액자에 끼워놓았다.


엄마도 뵌 적이 없다는, 나는 이야기로만 들은 생전 처음 보는 할머니 모습. 바라보니 기분이 참 묘했다. 볼록 튀어나온 짱구이마와 쌍꺼풀 진 커다란 눈. 수많은 손주들 중 막내 손녀인 내가 가장 할머니를 많이 닮았다더니, 정말 그랬다. 재미있게도 할머니 얼굴의 그 가장 특징은 어린 내 딸에게까지 또 고스란히 전해졌다.


아버지가 완전 늦둥이인 탓에 우리야 할아버지 할머니 금슬이 오래도록 좋으셨던 게 아니냐고 웃으며 추측하지만, 할머니께서는 그 당시 대놓고 너무 창피해 차마 죽고 싶다고 하셨단다. 심지어 며느리 하고 같이 임신을 하게 되셨으니 말이다.


어느 날 만삭이던 할머니께서 조용히 방에 들어가셨는데 바로 금방 아기 우는 소리가 들렸단다. 산파도 누구의 도움도 없이 할머니는 방에서 혼자 출산을 하신 것이었다. 영아 때 죽어버린 자녀를 포함하면 그게 10번째 출산이었으니. 할머니는 출산의 프로였을 터. 다른 가족들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할머니 행동에 설마 그게 아기를 낳으러 들어간 것이었다고 생각조차 못하셨다나.


아버지는 가끔 그 이야기를 하며 늦둥이의 설움에 대해 가끔 말씀하시곤 하셨다. 늦둥이라서 마치 어릴 때 할머니의 사랑을 많이 못 받았던 것처럼 말이다.


나와 일면식도 없는 할머니의 모정을 이해하게 된 건 내가 출산과 육아를 겪고 나서였다. 부끄럽다고 하셨지만 막상 막내아들이 예뻐서 견딜 수 없을 정도였을 것이다. 그 예로 아버지는 국민학교에 입학하던 8살 때까지 할머니의 젖을 먹으셨단다. 학교에 다녀오면 책보자기를 던져놓고 안방에 들어가서 엄마 젖부터 찾으셨다고. 그 말 대로라면 할머니는 50대 중반까지 수유가 가능하셨다는 것이었다. 단지 옛날에 먹을 게 많지 않아서 오래도록 수유를 하신 건 아니셨을 거다.


수유를 끝낸다는건, 내가 두 번이나 끝내본 경험으로는 칼같은 단호함이 필요했다. 그것이 내 인생 마지막 수유라고 생각하면 더더욱 큰 결단을 해야했다.


지금 와서 만약 초등학생인 아들이 집에 오자마자 엄마 쭈쭈가 먹고 싶다고 깐죽거린다면 나라면 어떻게 할까? 당연히 아들의 양 볼기짝을 만지작거릴 거다. 아들이니 귀엽기는 하니까. 하지만 그 무슨 황당한 이야기냐는 표정을 지으며 얼른 숙제나 하라는 말을 할 거다.


내가 이 이야기를 처음 들은 건 결혼하기 한참 전이었는데 그때는 솔직히 어딘가 징그럽다고까지 생각했다. 애써 인체의 신비에 관한 기묘한 이야기 정도라고 생각하고 듣고 흘렸다.


나도 두 아이를 1년간 꼬박 모유수유를 하고 나니 이 이야기가 다시 생각이 났다. 특히 초보 엄마로 난관 봉착의 연속이던 첫째 모유수유는 애증 그 자체였다. 8년이나 지난 지금 돌이켜봐도 그 감정은 고스란히 그러하다. 그 시절 나혜석이 <모 된 감상기> 수필에 쓴 문장인 “자식은 모체의 살점을 떼먹는 악마다. “라는 말에 심히 공감했으니. 사람들의 머리 속에는 강렬한 것만 꽂히다보니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본질이 왜곡되기 쉽다. 알고 보니 그 수필의 그 유명한 문장 이후에 쓴 문장들이 더 중요한 것이었다.


이 이야기를 다 적고 보니 5000자가 훌쩍 넘어가 끊어서 올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분량 때문에 의도치 않게 연재라는 걸 해보게 되다니. 누가 읽으실지는 모르겠지만 부디 재미있게 읽어주시길 바란다.


** 다음 편 확인

https://brunch.co.kr/@naaaong/20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