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 미술은 일찍부터 현실의 객관적인 묘사보다는 형태 이면에 내재한 정신(神)을 추구하였다. 전통적인 동양미술은 대상을 어떤 한 측면에서 관찰하거나 묘사하지 않는다. 동양의 미술은 관찰에서 묘사에 이르기까지 개괄과 취사선택을 거치게 되는데, 그것을 유모 취신(遺貌取神)이라 한다.
유모 취신(遺貌取神)은 현실의 모습을 버리고(遺貌) 정신을 취한다(取神)는 뜻이다. 동양미술에서 중요한 것은 늘 형태의 이면에 존재한다고 믿는 정신(神)과 원리(理)였다. 유모 취신(遺貌取神)의 핵심은 대담한 취사선택이다. 유모 취신은 정신이 깃들어 있는 부분은 될 수 있는 한 분명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특출 나게 공들여 표현하고 그 나머지 덜 중요한 부분은 최대한 간략하게 생략해 버린다. 사실, 이 말대로 하면 추상미술이 되는 것이다.
남송 화가 양해(梁楷)의 「이백 음영도(李白吟詠圖)」이다. 술에 취해 자연을 노닐며 달을 보며 시를 읊는 시성(詩聖) 이백(李白)의 특징적인 모습을 간략하게 표현해냈다.
동양의 화가들은 예술의 본질이 자연의 객관적 재현에 있지 않고 “닮지 않은 닮음”에 있다고 생각했다. 이를 불사 지사(不似之似)라 한다. 동양의 미술가들은 불사 지사(不似之似)한 그림이라야 비로소 뛰어난 그림이라고 생각했다.
중국의 근대화가 제백석(齊白石)은 그림을 보고 그것이 무엇을 그렸는지조차 알 수 없다면 그것은 사람을 속이는 예술이고, 반대로 그림이 지나치게 현실과 닮았다면 그것은 고의로 감상자의 비위를 맞추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예술은 “닮음과 닮지 않음의 사이(似與不似之間)”에 있어야만 비로소 귀한 그림이 된다고 주장했다. 동양의 미술은 이미 오래전에 추상에 도달해 있었던 것이다.
서양에서는 인상파에서 시작된 모던 아트가 추상미술로 이어졌던 반면, 동양에서는 순수 추상미술 에로 이어지지 못했다. 동양의 미술은 눈앞의 대상을 객관적으로 관찰하지 않는다. 늘 대상에 감정을 이입시킨다. 감정이입은 동양 예술의 가장 큰 특징인데, 감정이입은 다른 말로는 주체와 객체가 분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주체와 객체의 분리가 없는 곳에서는 객관적 관찰이나 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추상미술은 생겨날 수가 없다.
그러나 극단적인 감정을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추상표현주의 미술은 동양에서도 상당히 진행되었다. 청나라의 화가 석도나 금농, 팔대산인의 수묵사의화를 보면 동양의 미술도 거의 추상표현미술의 입구까지는 도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의 그림은 바로 정신이 깃들어 있는 부분은 분명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특출 나게 공들여 표현하고 덜 중요한 부분은 간략하게 생략해 버리는 추상미술이기 때문이다.
20세기 추상표현주의가 한국, 일본, 대만, 중국에서 쉽게 수용되고 많은 대가들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이미 동양의 수묵화, 특히 수묵사의화에 추상표현주의의 씨앗과 에너지가 숨겨져 있었던 것이다.
청나라 금농(金農)이 그린 「채릉도(採菱圖)」이다. 「채릉도」는 커다란 연못에서 능(菱)이라는 수초를 따는(採) 모습인데, 이 그림을 한 폭의 색채 추상화를 보는 듯한 멋진 작품이다. 금농은 멀리서 수초와 배, 그리고 모래언덕이 만드는 광경의 정수(精髓)를 색채의 조화로 절묘하게 그려냈다. 작가가 얻으려고 한 것은 단순히 능(菱)을 채취하는 작업이 아니라 능과 배, 사람들이 어울려 만들어내는 한 폭의 색채 추상화와 같은 멋진 구성이 아니었을까!
20세기 초, 고흐와 고갱으로부터 강렬한 영향을 받은 표현주의 미술가들은 대담하게 형태와 색채를 변형시켰고 더 나아가 형태와 색채를 분리시키기 시작했다. 그들은 강렬한 원색과 거친 터치, 대담한 형태의 변형, 표현의 단순화 등으로 원하는 것을 표현해냈다.
물에서 새우를 희롱하는 물고기의 재미있는 장면을 순간적으로 포착하여 손가락으로 그려낸 고기 패의 그림은 색채만 없을 뿐 표현주의 미술과 아주 비슷하다. 유모 취신(遺貌取神)이나 불사 지사(不似之似)에 바탕한 동양의 미술은 사실 추상미술이었다.
동양에는 분석에 의한 추상미술은 없다. 분석이라는 도구가 없어서이기도 하지만 애초 동양사회에서는 대상을 해체, 파괴시키는 추상미술이 필요하지 않았다. 동양미술은 형태를 파괴시켜 추상에 이르려는 목표가 처음부터 없었던 것이다. 동양의 미술이 완전 추상에 이르지 않은 것은 대상이 깨어지면 대상에 감정을 이입시키는 차물 서정(借物抒情)을 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