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숙 Oct 22. 2023

고향만두

지금으로부터 20여 년도 더 된 일이다. 오빠, 어린이 김대원과 나, 어린이 김은숙이 환장하고 먹던 간식이 있었다. 바로 찐만두다. 지금이야 전혀 쓸 일이 없지만 그 시절 우리 집 조리도구 중 가장 바쁜 녀석들 축에는 언제나 스탠리스 삼발이 찜기가 있었다. 삼발이 찜기는 주로 쑥개떡, 고구마, 만두 조리를 담당했는데, 만들어내는 요리 종류는 많지 않았지만 하루가 멀다 하고 싱크대에 놓여 있었다. 들러붙은 녹색의 떡이라든지 고구마 껍질이라든지 만두피를 불리기 위해 물에 담긴 채로 말이다. 

 우리 집 어린이들은 찜기에 조리되는 음식 중 만두를 가장 좋아했다. 우리 집은 언제나 고향만두를 먹었는데, 엄마는 고향만두 한 봉지를 트면 그게 몇 g짜리든 상관하지 않고 한 봉지를 몽땅 쪄냈다. 삼발이 찜기 안에 산처럼 수북이 쌓인 채 모락모락 김을 내는 만두. 만두가 식탁에 오르면 정말이지 단 한 개조차 남지 않았다. 우리는 손가락 끝으로 만두피가 찢어지지 않도록 만두를 하나씩 떼어서 입으로, 목구멍으로 밀어 넣었다. 뜨겁기는 하고, 빨리 입에 넣기는 해야겠고... 입에 넣고서 채 씹기도 전에 다음 만두를 떼내는 모습이 영락없이 며칠은 굶은 어린이들 같았다. 


 우리 집 식탁에 다시 만두가 오르기 시작한 건 아빠 때문이었다. 언제부터인지 전혀 기억나지 않지만 언제부턴가 아빠가 요리를 하기 시작했다. 엄마 돌아가신 직후 우리 집 식탁은 할머니, 외할머니, 고모, 이모 등 주변에서 보내주신 밑반찬과 아빠가 집 근처 식당에서 포장해 오는 동태찌개나 순댓국 같은 찌개류로 차려졌다. 그러다 밑반찬은 할머니와 외할머니, 또는 반찬가게나 셋째 아연이의 것이 번갈아 가며 식탁에 올랐고, 국은 아빠가 요리한 것들이 식탁에 오르기 시작했다.

 처음 아빠가 끓인 국을 먹었을 때는 다소 당황함을 금치 못했다. 김치찌개는 물기 많은 김치볶음 또는 김치찜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건더기 밀도가 빡빡한 게 도무지 국물을 찾아볼 수 없었다. 아주 빨갛고 건더기 밀도가 높은 찌개는 당연하게도 굉장한 짠맛이었고, 우리는 아빠 모르게 물을 한 컵씩은 넣고 다시 찌개를 끓였다. 반면 같은 사람이 요리한 게 맞나 싶을 정도로 된장국은 아주 허여멀건했다. 감자와 청양고추를 넣고 자작하게 끓여낸 엄마의 된장찌개가 익숙한 나는 허여멀건한 국물에 두부와 팽이버섯이 떠다니는 아빠의 된장국이 낯설기만 했다. 하지만 아빠의 국은 나날이 일취월장했다. 김치찌개건 된장국이던 건더기와 국물이 조화를 찾기 시작했고, 우리는 밑반찬 없이도 아빠 국 하나면 밥 한 그릇을 뚝딱할 수 있었다. 퇴근 후 돌아오면 자식들이 싹싹 비운 냄비가 뿌듯했는지 아빠의 국 요리는 가짓수가 점점 다양해졌다. 돼지고기 김치찌개, 참치 김치찌개, 된장국에서 청국장, 계란국, 콩나물국, 김치 콩나물국, 소고기 미역국, 만둣국으로 말이다. 


 만둣국. 그렇게 고향만두는 다시 우리 집 식탁에 올랐다. 사실 만둣국은 이름부터가 내게는 매우 생소한 음식이었다. 나에게 만두는 찐만두 아니면 군만두뿐이었다. 찐만두야 어렸을 적 환장하고 먹었으니 더 말할 게 없고, 군만두는 짜장면을 시키면 서비스로 주셔서 먹어보았지만 굳이 조리를 해 먹는다던지 사 먹는다던지 하게 되지는 않았다. 명절에도 소고기 뭇국을 주로 먹고, 어쩌다 한번 떡국을 먹으면 말 그대로 떡만 들어간 떡국을 먹었으며, 그래서 만둣국은 요리해먹지도, 사 먹지도 않는 음식이었다. 

 아빠가 처음으로 만둣국을 끓인 날, 흡사 아빠의 김치찌개를 처음 마주했던 때처럼 다소 당황스러웠다. 수프인지 국인지 알 수 없는 음식. 불어 터진 만두는 원형 그대로 살아남은 녀석들을 찾기 어려웠고, 흐물흐물한 만두와 계란으로 냄비 안이 혼잡스러웠다. ‘먹어도 될까...?’ 별 기대하는 마음 없이 국을 그릇에 퍼 담지도 않고서 냄비 앞에 선 채로 맛을 봤다. 형체를 알아보기 힘든 불어 터진 만두를 숟가락으로 떠서 입에 넣었는데… 이게 무슨 일이람? 

 거짓말 하나 보태지 않고, 그날 나는 냄비 앞에 선 채로 아침 식사를 마쳤다. 그러니까 그 한입으로 식사를 마무리했다는 게 아니라 선채로, 냄비에 담긴 만둣국 절반은 해치운 채로 아침 식사를 마쳤다는 얘기다. 온전한 원형을 보존한 만두를 찾기 힘들 정도로 보기에는 엉망인 만둣국이었지만 그게 포인트였다. 흐물흐물 불어 터진 만두피가 멸치 육수를 흠뻑 빨아들여서 간도 딱이고, 호로록 부드럽게 넘어가는 식감이 아주 좋았다. 터져 나온 만두소는 국 전체 간을 조절하는 동시에 역시 육수를 빨아들여서 촉촉한 것이 자꾸만 떠먹게 되었다. 밥이 따로 필요 없었다. 그 자체로 뚝딱, 훌륭한 한 끼 식사였다. 

 요즘처럼 날이 쌀쌀해질 때면 아빠의 만둣국이 생각난다. 똑같은 고향만두로 다른 두 요리를 만들어낸 엄마 아빠의 다름을 생각한다. 만두 말고는 더 필요한 게 없는 찐만두와 멸치 육수부터 간 맞추기, 계란물 풀기, 파 어슷썰기 등 자잘하게 손이 많이 가는 만둣국은 조리법도, 외관도 상당히 다르지만, 따뜻함과 촉촉함이라는 공통분모로 통한다. 따뜻함도, 촉촉함도 모두 엄마 아빠와 잘 어울리는 형용사다. 두 사람이 그렇고, 두 사람이 쏟아준 사랑이 그렇다. 멀리 전주에서 쏟아주시는 아빠의 사랑만으로 충분히 따뜻하고 촉촉하지만, 두 분이 같이 쏟아부어주시는 따뜻하고 촉촉한 사랑이 그립다. 찐만두와 만둣국으로 만두 파티를 벌이고 싶은 날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