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딴생각 brant Feb 23. 2022

따듯한 식혜 드셔 보셨나요?

 보통 식혜는 시원하게 먹는 음식으로 알고 계실 겁니다. 아마 식혜를 가장 많이 드시는 장소는 찜질방(?)이겠죠? 저 역시 빨대가 꽂혀있는 플라스틱 통 속에 살얼음이 동동 떠있는 식혜나, 마트 냉장고에 들어 있는 노란색 캔음료가 먼저 떠오릅니다. 그래서 한 동안 따듯한 식혜의 존재 자체를 잊고 지냈습니다.


 하지만, 제 기억 속의 첫 번째 식혜는 따듯한 식혜입니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따듯한 게 아니라 아주 뜨거운 식혜입니다. 어머니께서 커다란 전기밥솥에 직접 만들어주신 식혜였기 때문입니다.


 식혜를 좋아하시는 아버지 때문에 겨울마다 어머니께서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 저는 덕분에 맛있는 음식들을 다양하게 먹어볼 수 있었던 것 같네요. 하지만, 부모님과 함께 생활을 한 지도 꽤 오래되었고, 결혼해서 가정을 꾸리면서 어머니의 손맛을 볼 기회도 점점 줄어들다 보니, 한동안은 집에서 만든 식혜를 먹을 일이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지난 설에 부모님 댁에서 하루를 보내며, 오랜만에 어린 시절 기억 속에 있었던 뜨거운 식혜를 다시 맛볼 수 있었습니다. 사실 저보다 더 놀란 것은 태어나서 처음으로 뜨거운 식혜를 맛본 아내였습니다.


 처음에는 "뜨거운 식혜? 윽!"이라는 반응이었습니다. 그런데, 한 입을 먹어본 후에는 정말 달고 맛있다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사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아이스크림처럼 시원한 상태에서도 달콤함을 느낄 수 있게 하려면, 상온에서는 훨씬 더 달게 느껴지도록 설탕을 듬뿍 넣어야만 하니까요.


 겨울이라는 계절도 한몫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여름이었다거나, 여름이나 다름없는 뜨거운 찜질방에서는 차가운 식혜가 제격일 겁니다. 하지만, 아무리 엉따를 켜도 추운 겨울이기 때문에, 오랜만에 시댁에 온 며느리에게 따듯한 식혜를 한 대접 주셨던 시아버지가 아주 좋은 타이밍에 그 맛을 보게 해 주신 것 같기도 합니다. 집으로 올 때 여러 가지 음식들을 싸주셨는데, 식혜도 한 통 싸주셨습니다.


 아내는 집에 돌아와서도 따듯한 식혜를 먹고 싶다고 해서, 어렸을 때의 기억을 살려 전자레인지에 1분 정도 데워주었습니다.  저는 보통 전을 데우기 귀찮을 때 따듯한 식혜를 함께 먹었었는데, 맛잘알인 아내는 차갑게 먹는 음식인 도토리묵이랑 같이 먹으면 더 맛있을 것 같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래서 다음에는 저희도 한 번 시도를 해보려고 합니다.

1분이면 충분합니다.

 다른 음식이 없더라도, 추운 겨울날 차 한잔을 대신해 드시면 따듯함과 달콤함을 함께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이 겨울이 다 지나가기 전에 따듯한 식혜 한 대접 드셔 보세요.


 

작가의 이전글 iphone을 쓰는 선생님의 나이를 알아내는 방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