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나무꾼과 황금 도끼, 정직이 가져오는 보상

by 은파랑 Feb 13. 2025




나무꾼과 황금 도끼, 정직이 가져오는 보상


맑은 개울이 흐르는 깊은 숲 속, 나무꾼이 땀을 훔치며 도끼를 휘둘렀다. 그는 하루하루 정직하게 일하며 살아가는 성실한 사람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나무를 베던 중 손에서 미끄러진 도끼가 반짝이는 물살 속으로 빠져버렸다. 나무꾼은 황급히 개울가에 무릎을 꿇고 도끼를 찾으려 했지만 물속은 너무 깊고 투명했다. 그는 탄식하며 말했다.


"이 도끼 없이는 살아갈 수 없는데…"


그때 개울에서 환한 빛이 번지더니 한 신령스러운 신이 모습을 드러냈다. 신은 은은한 미소를 지으며 물속에서 한 자루의 도끼를 건져 올렸다. 그것은 황금으로 빛나는 도끼였다.


"이것이 네 도끼인가?" 신이 물었다.


나무꾼은 잠시 도끼를 바라보았지만 고개를 저으며 대답했다.

"아닙니다. 제 도끼는 금이 아닙니다."


신은 다시 물속을 들여다보더니 이번에는 은빛으로 반짝이는 도끼를 꺼냈다.

"그렇다면 은 도끼가 네 것인가?"


나무꾼은 다시 고개를 저었다.

"아닙니다. 제 도끼는 쇠로 만들어진 것이옵니다."


신은 미소를 지으며 마지막으로 물속을 뒤졌다. 그리고 이제는 닳고 닳은 낡은 쇠도끼를 꺼내어 보여주었다.


"이것이 네 도끼인가?"


나무꾼의 얼굴이 밝아졌다.

"네! 이것이 바로 제가 잃어버린 도끼입니다."


신은 흐뭇하게 웃으며 말했다.

"네 정직함에 감탄했노라. 그러므로 황금 도끼와 은 도끼도 모두 너에게 주겠다."


이렇게 해서 나무꾼은 정직함 덕분에 원래의 도끼뿐 아니라 더 큰 보상을 얻게 되었다.


거짓이 어둠 속에서 자랄 때

정직은 빛으로 피어난다.

눈앞의 이익이 흔들어도

참된 마음을 지키는 자는

황금보다 더 귀한 가치를 얻는다.


나무꾼의 선택은 도덕적 결정이 아니라 정직함이 신뢰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심리학적으로 볼 때 정직은 인간관계에서 신뢰(Trust)를 구축하는 핵심 요소다.


정직성 효과 (Honesty Effect): 연구에 따르면 정직한 사람은 장기적으로 더 많은 신뢰와 보상을 받는다. 나무꾼처럼 즉각적인 이익을 포기하더라도 그의 행동은 더 큰 가치를 만들어낸다.


자기 결정이론 (Self-Determination Theory, SDT)에 의하면 사람들은 외적 보상보다 내적 만족에 의해 더 큰 동기를 부여받는다. 나무꾼은 자신의 양심을 지켰고 이는 외적 보상황금 도보다 더 중요한 내적 보상도덕적 자부심을 가져왔다.


사회에서도 정직한 행동은 신뢰를 쌓고 더 큰 기회를 만든다. 반면 순간의 탐욕에 의해 거짓을 택한 사람은 결국 신뢰를 잃고 지속적인 손실을 겪게 된다.


안데르센의 <성냥팔이 소녀>에서 소녀는 끝까지 순수한 마음을 지키지만 사회적 무관심 속에서 희생된다. 반면 나무꾼은 신과의 관계 속에서 정직함의 보상을 얻는다.


괴테의 <파우스트>에서 파우스트는 순간의 쾌락을 위해 영혼을 악마에게 팔지만 결국 삶의 진정한 가치를 깨닫고 구원을 받는다.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에서 개츠비는 허영과 거짓 속에서 사랑을 좇지만 결국 진정한 신뢰를 얻지 못하고 비극을 맞는다.


기들은 정직과 거짓이 각기 다른 결말을 가져오는 것을 보여준다.


황금은 한때 반짝이지만

정직은 영원히 빛난다.

탐욕의 손길은 순간의 이익을 가져오나

양심의 손길은 평생의 가치를 남긴다.


거짓을 쌓아 올린 성은

한 줄기 바람에도 무너지지만

정직으로 세운 길은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는다.


눈앞의 이익보다 신뢰를 쌓아라.

진실한 마음이 결국 더 큰 황금을 가져온다.


은파랑



이전 26화 두 친구와 곰, 진정한 우정이란 무엇인가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