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Fixframe Nov 02. 2022

방법론이란?

올바른 방법론 없이 프로젝트의 성공은 없다

오래전에 회사의 기획팀의 인턴사원을 배정받아 교육을 맡아 진행한 적이 있었다. 그때는 사람을 찾는 것보다 키워서(인큐베이팅) 일을 시키자는 취지였지만 그 인력 들은 머리가 굵어지면 다른 회사로 이직을 했다.

아무튼 기획팀 인턴 교육  가장 많이 듣던 말이 '방법론이  필요한가?' 였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런저런 얘길 했는데 그중에 이 말이 가장 와닿을 듯해서 한 이야기가 있다.

긴 여행을 떠는 사람이 사전 준비 없이 여행을 떠난다면 그 여행은 분명 힘든 여행이 될 것이다.


긴 여행을 떠나는 사람에게 사전 준비가 되는 가이드북이 바로 방법론이다.


방법론은 선사시대부터 있었다.


예를 들어 집을 짓는다 치자 그 집을 짓기 위해서 다양한 먼저 부지를 선정하고 이때 부지가 얼마나 좋은 환경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모래 위에 집을 짓을 순 없으니까. 그리고 어떤 집을 지을지 설계를 하고 그 설계에 맞게 자재를 구하고 인력을 세팅하여 집을 짓는다 인테리어도 하고 외관도 꾸미고... 이런 일련의 작업들을 한순간에 이루어졌겠는가?

분명 시행착오를 거처 어떻게 하면 빨리 튼튼하게 집을 지을지를 고민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해보니 집이 빨리 지어지더라... 이렇게 해보니 튼튼하게 지어지더라... 이런 것들의 경험에서 얻어지는 모든 것들을 모아서 하나의 틀로 꾸며지게 되고 그 꾸며진 것들이 바로 방법론인 것이다.


웹 방법론에서도 똑같은 프로세스를 따른다.

컨설팅(영업) : 영업 및 제안, 우선 사업자 선정 이후 기술협상까지의 일련의 흐름

착수 : 실제 프로젝트 투입 (착수보고, 사업수행계획서, 계약)

분석 : 환경 분석, 고객의 요구사항 분석

설계 : IA정의, 화면 설계, 디자인 시안, 아키텍처 정의, 프로토타입, 개발환경 세팅, 개발 설계

구현 : 실제 개발, 상세 설계, 상세 디자인, 코딩, 모듈별 개발, 융합, 단위 테스트 등까지의 흐름

검수 : 작업 완료된 모든 작업들의 검수 (통합 테스트, 체크리스트, 검수확인서)

전개 : 완료 후의 작업 (운영자/관리자 교육, 안정화 작업, 완료보고, 산출물 제출)

유지보수 : 유지보수 및 하자보수 처리 (고객응대 및 지원요청서)


시스템 개발 방법론의 종류


1. 폭포수 모델 (Waterfall model)



특징 : 단계별 순차적 진행, 작은 규모의 시스템 개발에 주로 사용됨
약점 : 전 단계로의 피드백 불가능 초기 시스템 기능 구체적 기술의 어려움, 개발 완료 시점 발생 문제점 해결 어려움


2. 원형개발법 (Prototyping)






개발 초기단계에서 웹 사이트의 원형 즉 프로토타입(prototype)을 만들어 고객과 의사소통을 명확하게 하고 다음 단계의 개발절차를 진행하는 방법


특징 : 원형의 개발 및 평가 개발 초기부터 Prototype을 만들어 고객과의 의사소통이 완료 시점까지 진행됨
이점 : 개발 중 발생하는 디자인 및 기능적 오류를 방지할 수 있음. 사용자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사이트 구축 가능 개발 기간 단축 (순환적 접근 방법)


3. 나선형 접근법 (Spiral approach)



주로 위험도가 높거나 국방 프로젝트 등의 대규모 프로젝트나 국가적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방법


특징 : 폭포수 모델, 원형개발법, 위험 분석법을 혼용 예고된 순환 즉, 계획된 반복에 의해 오류 수정을 통해 점진적으로 완성체의 형상화
이점 : 대규모 프로젝트에 적합, 국방 프로젝트 등의 정확도를 요하는 프로젝트에 많이 사용됨


4. RUP 개발 방법론




객체지향 모델링 자동화 도구인 Rose 개발업체로 유명한 Rational사는 지난 1990년 중반부터 객체지향 산업계의 표준인 OMG(Object Methodology Group)의 UML을 기반으로 개발한 객체지향 방법론인 RUP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킴


5. CBD 개발방법론




80년대에 떠오른 소프트웨어 위기(Software Crisis)로 떠오른 객체지향의 개념의 방법론

컴포넌트란?

객체지향의 의미를 알려면 컴포넌트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위의 사진처럼 수십만 가지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나사 같은 하나의 부품이 컨포넌트라고 보면 되겠다.

다른 공장에서 나사만 가지고 와서 조립하면 되는... 의미 전달이 되었는지.. ㅋㅋ


이점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 소프트웨어의 생산성 및 고품질 보장

병렬 개발 가능 : 컴포넌트는 동일시점에 서로 동시에 개발 가능

복잡성의 감소 : 적절한 문제의 분할, 단순한 기초 기능으로부터 복잡/정교한 솔루션으로 조립

컴포넌트의 쉬운 교체 : 새로운 컴포넌트 또는 변경된 컴포넌트의 사용

유지보수 용이 및 비용 감소 : 컴포넌트의 캡슐화 및 표준적 지침에 의하므로 일관성 유지


6. 애자일 방법론




정해진 계획만 따르기보다, 개발 주기 혹은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으로 근래 가장 핫한 방법론이다.

- 해당 방법론은 나중에 자세하게 알아보자 -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Agile 할 거면 제대로... : https://brunch.co.kr/@7acfc471286047a/29


기존 방법론과의 차이점


출시 주기를 짧게 한다. (다양한 요구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 일반적으로 2주~ 4주의 반복 주기를 권장함 (출시 주기는 짧을수록 좋다)

고객과 팀, 팀원 간의 소통, 협력을 극대화하는 실천법을 제공

고객의 가치를 생성하는데 중점을 둠





이전 06화 유지보수 프로젝트의 관리 업무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