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꼼꼼 Nov 18. 2024

‘총체적’ 교회개혁을 이루자

교회개혁, 은 교회를 바꾸자는 것인데 그 ‘교회’가 정확하게 무엇인지 서로의 이해가 다르다.  


개인인지, 공동체인지, 개 교회인지 아니면 노회나 총회를 말하는 것인지, 

교회의 전통과 문화를 말하는 것인지, 

아니면 명문화된 제도를 말하는 것인지, 관행인지 분명한 약속인지, 목사인지 성도인지, 아니면 또 다른 ‘누구’인지, 또 다른 ‘무엇’인지, 우리는 쉽게 이해할 수 없을 때가 많았다.  


누구일 수도 있고, 무엇일 수도 있는 이 상황에서 우리는 

‘교회’라는 통칭 하나에 모든 것을 묶어 두었다.  


성도 개개인의 신앙 성숙을 도모해야 하는지, 공동체를 세우기 위한 다양한 솔루션이 필요한지. 

개 교회를 바꾸어야 하는 것인지, 교단의 법과 제도를 정비해야 하는지, 

법과 제도는 괜찮은데 그 안에 사람이 문제인지, 정관이 문제인지, 해당 교회 의사소통의 문제인지, 

목사의 전문성과 윤리의식이 문제인지 아니면 이를 방관하던 성도의 문제인지 더 세밀하고 정확하게 들여다보아야 했다.  


아마 이 글을 읽는 독자는 열거한 내용보다 더 많은 주제를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교회개혁’이라는 말 안에 수많은 ‘작은 주제’가 있다. 

그리고 각각의 주제는 흩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개인은 공동체와 나눌 수 없고, 개 교회는 교단과 나누어지지 않으며, 전통과 비전은 정관에 포함되며, 정관은 다시 교회의 문화와 비전이 기록되어 남겨진다. 

목사와 성도는 나누어지지 않으며, 누구와 무엇이 분리되지 않는다. 

‘나’와 ‘너’가 연결되어 있고, ‘너’와 ‘우리’가 연결되어 있고, ‘우리’와 ‘그것’이 또 연결되어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는다.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 각 개인은 연결되어 있다. 

개인의 변화는 공동체의 변화에 영향을 주고, 총회의 개혁은 개 교회에 영향을 준다. 사람은 제도를 만들지만 제도는 문화와 사고를 바꾸어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이런 종합적 메커니즘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개혁과 변화는 구호에 그칠 수밖에 없다.  


근래에 개혁의 필요가 보이는 ‘축구’를 생각해 보자. 

축구를 하려면 선수가 필요하다. 하지만 축구를 잘하기 위해서는 전략을 책임지는 감독도 필요하고, 선수를 관리해 줄 코치도 필요하다. 응원해 주는 팬들도 있고, 경기장도 있어야 하며, 축구공도 필요하다. 여기에 동네에서 친구들끼리 하는 경기가 아니라 리그로 확장되거나 국가 간의 경기가 있게 되면 더 많은 요소가 필요하다. 


더 복잡한 것은 참여자의 기대가 서로 다르다는 것이다. 선수는 축구를 돈을 버는 수단으로 생각하고, 팬은 즐거움의 요소로 생각하며, 팀은 생산적 요소를 기대한다. 후원하는 기업은 이를 통해 새로운 이익을 창출하려고 애쓴다. 애초에 공 하나 가지고 운동장에서 공 차는 것에서 시작했지만, 서로 다른 요소와 서로 다른 기대들이 상호작용을 한다. 

축구를 개혁한다는 것. 그것은 여러 요소와 기대를 어떻게 변화시켜 모두가 납득될 만한 결과로 이끌어 갈 수 있는가다.  


교회를 개혁한다는 것도 다르지 않다. 


‘교회’라는 범주 안에 있는 여러 요소를 어떻게 통합하고, 어떻게 개선하여, 교회가 이 땅에서 공평과 정의를 세워가는 하나님나라를 실현해 갈 수 있는가를 살펴야 한다. 


성도는 어떻게 공동체를 이루고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선교적 소명을 다할 수 있을 것인지, 이 가운데 목사의 역할과 교단의 정체성은 무엇인지, 한 걸음 더 나아간다면 교회 밖의 모든 사람과의 관계는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그리고 창조세계와 어떤 관계여야 하는지를 총체적으로 고려할 줄 알아야 한다.  


나는 단순히 어느 한 부류의 사람만이 혹은 어떤 한 제도만이 변화되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교회의 총체적인 개혁과 변화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교회 전체를 조망하는 시야를 필요함을 말하려는 것이다.  

총체적 개혁이 너무 이상적이며 허무맹랑하다고 여길 수 있다. 


하지만 전체 시스템을 이해하지 못하고 지엽적인 개혁과 변화만을 도모한다면 우리가 받아들여야 하는 결과도 단기적이고 지엽적일 수밖에 없다. 이런 변화는 지속성에서도 단점이 있어 아무리 개혁과 변화를 일으켜도 제자리처럼 느껴진다.  


전체를 이해하는 힘이 작은 곳에 미치는 영향을 바로 보게 하고, 

어디에 힘을 주어야 움직이는지 깨닫게 된다. 

그래야 비로소 어떤 방법으로 대응해야 교회를 개혁할 수 있는지 보인다.  


과거, 교회개혁 담론과 행동이 전체를 바꾸지 못한 것처럼 느꼈던 것은 전체를 이해하고 개혁의 힘으로 가격해야 하는 위치를 제대로 보지 못한 것은 아닐지 생각하며, 지금이라도 지렛점을 찾아 힘을 가해야 한다.  


총체적 개혁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몇 가지를 이야기하고 싶다.  


첫째, 교회개혁에 대한 연결된 전체를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전통적 사고방식은 단선적이고 원인과 결과에 대한 정답을 단번에 내린다. 그러나 연결된 전체에 대한 시각은 각각의 요소가 어떻게 영향을 주고 받는지를 생각하는 것이다. 교회가 어떻게 부패하게 되었는지 그 요소들의 연결은 어떻게 되고,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힘이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는지를 이해할 때, 교회를 개혁하기 위한 변화의 힘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변화가 일어났다면 이 변화가 다른 요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다. 


출처: https://bootcamp.uxdesign.cc/how-does-systems-thinking-help-design-thinking-4553a7133e38 


둘째, 다양한 교회개혁 단체와 의지가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개혁의 대상과 문제가 연결되어 있듯이 이를 극복하려는 사람과 단체, 개혁의 의제도 서로 연결되어 연대할 수 있어야 한다. 서로의 장점이 더 전문화되도록 지지하는 마음도 필요하다. 부채감이 아닌 편한 마음으로 도움을 청하고, 거부감 없이 상대의 요구를 들어 줄 수 있는 연대의 감정이 더욱 요청된다.   


셋째, 교회개혁, 홈런이 아니라 안타가 필요하다. 

솔로 홈런은 한 점을 얻을 뿐이다. 주자가 있어야 다득점을 올릴 수 있다. 큰 점수 차로 지고 있는 팀은 선수들이 ‘주자를 모아야 한다’고 서로 독려한다. 한 점 홈런으로는 경기에 이길 수 없기 때문이다. 혼자 홈런 치고 나머지 선수가 모조리 OUT되는 상황보다는 9명 선수 모두 안타를 치는 경기여야 한다. 홀로 교회개혁의 홈런 타자가 되려고 욕심내기 보다 팀을 위해 팀 배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여러 매체를 통해 다양한 주제로 교회개혁의 목소리가 더 힘차게 들리길 기대한다. 이로써 부서지지 않을 것 같던 부패한 교회가 조각나기 시작할 것으로 생각한다. 

작가의 이전글 교회의 위기, 당신의 대안은 무엇인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