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티제 Jul 23. 2024

인간관계의 항생제심리

좋은 균, 나쁜 균 모두 정리해 버리는

우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항생제를 맞는다. 예를 들어, 설사를 하면 대변검사를 나가 어떤 균에 감염되었는지 원인을 찾고 그에 맞는 항생제를 맞는다.



항생제 알레르기 검사

항생제를 맞기 전에는 꼭 피부반응검사(AST test)를 한다. 이 항생제가 내 몸에 맞는 항생제인지 아닌지. 회에 포 뜨듯이 살갗을 살짝 찔러 거기에 소량의 약물을 주입한다.


검사한 주변이 가렵고 부풀어 오르면 양성(+), 항생제에 알레르기가 있기에 다른 항생제로 바꿔 또 검사를 해야 한다. 음성(-)이 나오면 그제야 몸에 주입하기 시작한다.


이렇듯, 나의 인간관계도 항생제와 비슷하다고 느껴졌다. 사람들을 알아가고 지내다 보면 자연스레 아는 사이정도가 된다. 지내다 보면 '이 사람은 나와 맞을까?' 한 번쯤 생각해보곤 한다. 오래 지켜보다가 성향이 안 맞을 때 나는 이것이 관계에서는 항생제 알레르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반면에, 대화가 통하고, 티키타카가 잘 되는 사람을 만나면 항생제를 몸에 주입하듯이 그 사람에 대해 알아가고자 다양한 질문을 하게 된다. 



좋은 균까지 죽이는 게 문제

항생제는 장단점이 확실하다. 좋은 균, 나쁜 균 모두 죽인다는 것이다. 나는 서운한 걸 잘 느끼지 못하는데 만약에 공을 들였던 관계에서 서운한 일이 생기면 모든 것을 부정해 버리는 생각을 하곤 한다.

나를 별로 소중하게 생각 안 해주는 것 같아


인간의 연약한  심리일까? 나만 그런 걸까? 갑자기 궁금해졌다. 이렇듯 항생제처럼 좋은 균(공 들였던 추억들)까지 죽이는 것과 비슷하다고 느껴졌다.

매거진의 이전글 감정 알기 연습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