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수필가 고병균 Dec 02. 2023

[8-2] 명량대첩, 이순신에게 내린 교서

수필 임진왜란

명량 해전은 1597년 정유년 (선조 30년) 9월 16일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겸 통제사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 연합함대가 명량수도에서 일본군 함대를 대파하여 망국의 위기에 처한 조선을 구해낸 기적 같은 대첩이다. 세계 해전사와 우리 역사에 길이 빛날 눈부신 대첩이며, 정유재란 판세를 완전히 뒤집은 대첩이다. 


이대첩은 일본 전함 59척을 대파한 한산도대첩, 200여 척을 대파하였고 일본군을 조선 땅에서 완전히 철수하게 했던 노량 해전과 함께 이순신 장군의 3대  해전으로 손꼽힌다.     


9월 16일에 벌어진 명량 해전을 말하기에 앞서 칠천량 해전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이 해전에서 총사령관인 삼도 수군통제사 원균이 살해되었고, 전라 우수사 이억기와 충청 수사 최호 등 뭇 장수들이 몰사하다시피 살해되었다. 병사들도 뿔뿔이 흩어졌고, 조선 수군은 완전히 궤멸당했다. 그 비극의 해전이 명량대첩의 2개월 전인 7월 15일에 벌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선조는 이순신에게 복직 교서를 내린다. 이충무공전서에 실려 있는 내용을 차분하게 읽어본다.     

왕은 이와 같이 이르노라. 아! 나라가 의지하여 보장(保障)으로 생각해 온 것은 오직 수군뿐인데, 하늘이 화(禍) 내린 것을 후회하지 않고 다시 흉한 칼날이 번득이게 함으로써 마침내 우리 대군(大軍)이 한 차례의 싸움에서 모두 없어졌으니, 이후 바닷가 여러 고을을 그 누가 막아낼 수 있겠는가. 


조선 수군이 한 차례의 싸움에서 모두 없어졌다. 바닷가 여러 고을을 그 누가 막아낼 수 있겠는가? 선조는 한탄하고 있다.      


한산을 이미 잃어버렸으니 적들이 무엇을 꺼리겠는가. 초미(焦眉)의 위급함이 조석(朝夕)으로 닥쳐온 상황에서, 지금 당장 세워야 할 대책은 흩어져 도망간 군사들을 불러 모으고 배들을 거두어 모아 급히 요해처에 튼튼한 큰 진영을 세우는 길뿐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망갔던 무리가 돌아갈 곳이 있음을 알게 될 것이고, 한창 덤벼들던 적들 또한 막아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일을 책임질 수 있는 사람은 위엄과 은혜와 지혜와 재능에 있어서 평소에 안팎으로 존경을 받던 이가 아니고는 이런 막중한 임무를 감당해 낼 수 없을 것이다. 


초미(焦眉)의 위급함이 조석(朝夕)으로 닥쳐온 상황에서, 선조는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그러면서 당장 세워야 할 대책은 흩어져 도망간 군사들을 불러 모으고 배들을 거두어 모아 급히 요해처에 튼튼한 큰 진영을 세우는 길뿐이라고 한다. 이것을 책임질 수 있는 사람은 위엄과 은혜와 지혜와 재능에 있어서 존경을 받던 이라고 한다.      


생각건대, 그대의 명성은 일찍이 수사(水使)로 임명되던 그날부터 크게 드러났고, 그대의 공로와 업적은 임진년의 큰 승첩이 있고 난 뒤부터 크게 떨쳐 변방의 군사들은 마음속으로 그대를 만리장성처럼 든든하게 믿어왔는데, 지난번에 그대의 직책을 교체시키고 그대가 죄를 묻고 백의종군하도록 하였던 것은 역시 나의 모책(謨策)이 좋지 못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며, 그 결과 오늘의 이런 패전의 욕됨을 만나게 된 것이니 더 이상 무슨 말을 하겠는가! (而尙致今日何敗言戰哉之辱也, 尙何言哉! 尙何言哉!)


선조는 이순신의 명성을 칭송하고 있다. 그러면서 나의 모책이 좋지 않았다고 후회한다. 더 이상 무슨 말을 하겠는가?라고 왕이 신하에게 사죄하고 있다. 


이제 특히 그대를 상복(黑衰) 중에 기용하고 또 그대를 백의(白衣) 가운데서 뽑아내어 다시 옛날같이 충청․전라․경상 3도 수군통제사로 임명하는 바이니, 


상복이란 이순신의 어머니가 돌아가신 것을 말한다. 마치 큰 은혜를 베푸는 양 충청․전라․경상 3도 수군통제사로 임명한다.      


그대는 부임하는 날 먼저 부하들을 어루만져 주고 흩어져 도망간 자들을 찾아내어 단결시켜 수군 진영을 만들고 나아가 형세를 장악하여 군대의 위풍을 다시 한번 떨치게 한다면 이미 흩어졌던 민심도 다시 안정시킬 수 있을 것이며, 적들 또한 우리 편이 방비하고 있음을 듣고 감히 방자하게 두 번 다시 들고일어나지 못할 것이니, 그대는 힘쓸지어다. 


수사(水使) 이하 모두 그대가 지휘하고 통제하되 만약 일에 임하여 규율을 어기는 자가 있거든 누구든 군법대로 처단하도록 하라. 그대가 나라를 위해 몸을 잊고 기회를 보아 나아가고 물러남은 이미 그대의 능력을 다 시험해 보아서 알고 있는 바이니, 내 어찌 감히 많은 말을 보태겠는가. 


선조는 이순신이 부임하면 시급히 해결해야 할 일을 말하고 있다. 이순신에게 지휘권도 부여하고 있다. ‘내 어찌 감히 많은 말을 보태겠는가?’라고 하며 반성도 한다. 그러나 이순신에게는 함선도 없고 수군도 없다. 빈 껍데기만 남아 있다.      


아! 저 육항(孫陸抗)이 국경의 강 언덕 고을을 두 번째 맡아서 변방의 군사 임무를 완수했으며, 저 왕손(王遜)이 죄인의 몸으로 적을 소탕한 공로를 세웠던 것처럼, 그대는 충의(忠義)의 마음을 더욱 굳건히 하여 나라 구제해 주기를 바라는 나의 소망을 이루어주기 바라면서, 이에 교서(敎書)를 내리는 것이니 생각하여 잘 알지어다.


애초에 이순신을 잡아들이지 아니하였다면 일어나지 않을 일이라 말하면서 ‘충의(忠義)의 마음을 더욱 굳건히 하여 나라 구제해 주기’를 강요하고 있다.      


작은 조직이건 단체이건 최고 지도자가 중요하다. 위엄과 은혜와 지혜와 재능이 있는 이순신과 같은 자를 지도자로 뽑아야 한다. 이것은 유권자의 몫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7-6] 절이도 해전, 구겨진 자존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