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ed Oct 23. 2021

최최최종

현재

 21년을 대학만 바라보며 살아왔다. 대학을 졸업하면 죽을 것도 아닌데 나는 대학만 바라보고 살아왔다. 마침내 대학에 왔다. 그런데도 불행했다. 뭔가 잘못되었다.   

   

 '내가 다니는 대학이 서울에 있지 않고 게다가 분교라니. 과도 안 맞고 남들보다 내가 더 잘난 것 같은데 공정하게 시험 쳐서 들어온 내 급의 학교라니.' 대학에 오고 나는 패배주의에 젖어 살았다. 소위 지잡대를 나와도 성공하는 사람들을 보면 화가 나기까지 했다. 친척들이 놀러 오면 당당하게 대학을 밝힐 수 없었다. 왜 그깟 학벌 때문에 내 인생을 떳떳하게 살지 못하며 그깟 학벌 가지고 남들을 속단하는지. 나 자신이 너무 싫었다. 그래서 너무 깊어 빛이 보이지 않는 우물에서 빠져나오려고 발버둥 쳤다.    

 

 고작 혹은 벌써 21살인 내가 지금까지 느낀 것들을 말하고 싶다.      

 첫째, 모든 것은 운이다. 내 실패를 정당화하기 위함도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내가 유일하게 당당히 내세울 수 있는 외고에 갈 수 있었던 것도 내 실력 때문만이 아니라는 걸 깨닫고 조금이라도 더 겸손해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내가 대학에 입학해서 무언가라도 배울 수 있는 것에도 감사함을 느낀다. 둘째, 세상에 같은 사람 하나 없다. 어렸을 때 ‘나’라는 존재는 세상에 하나라 소중하다는 말을 지겹도록 들었다. 냉소적인 사람이라 그냥 오글거려서 듣고 넘겼다. 그런데 정말 맞는 말이라는 걸 뼈저리게 느낀다. 모두가 다른 성공을 하고 다른 실패를 해서 독특하고 의미 있는 존재이다. 그래서 내가 살아왔던 삶의 배경으로 남을 함부로 판단하는 건 정말 위험한 짓이다.      

  

 두 개 깨달은 것 가지고 너무 생색낸 것 같다. 아직 세상에 대해 모르는 게 많다. 특히나 ‘나’에 대해서 모르는 게 많다. 나에게 맞는 과를 가기 위해 삼수를 할지도 모르고 그냥 이대로가 좋아서 건축 일을 할 수도 있고.. 앞으로의 내 미래가 어떻게 흘러갈지 모르겠다. 지금 시점에서는 ‘나’라는 사람에게 질문하고 답하며 ‘나’를 알아 가는 것이 최선인 것 같다.      


 ‘네 마음을 찢어놨던 것을 써라’ 영화 ‘벌새’의 김보라 감독님의 강연을 보던 중 인상 깊어서 메모해 둔 한 줄이다. 피가 난 무릎에 피는 그치고 곧 딱지가 난다. 딱지를 보고 상처가 아물었다고 생각하고 그냥 떼어버리면 순간 무릎에서 찌릿함을 느끼게 된다. 쓰는 것도 그렇다. 쓴다는 행위가 얼마나 괴로운 건지. 아물지 않은 과거를 건드릴 때는 더더욱 아프다. 어린 나는 무턱대고 글을 쓰려고 하다가 아릿함을 이기지 못하고 그만두었다. 글을 쓰는 게 고통스러워서 그만뒀다. 이제는 바라보고 넘길 수 있을 정도로 과거의 상처가 아물었다고 생각했고, 마침내 써냈다.     


 글을 쓰면서 신기했던 게 한 가지 있다. ‘나에 대해 더 알게 된다.’ 혹은 ‘과거가 다 치유됐다.’ 같은 식상한 말은 아니다. 글을 쓰면서 고마웠던 존재들이 떠올랐다는 것이다. ‘연대기’의 특성상 필연적으로 과거에서 현재까지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야 했다. 내가 살아온 시간 속에서 많은 얼굴들이 나를 생각해 줬고 도와줬고 응원해 줬음을 깨달았다. 물 없이 입안에서 알약을 녹여먹는 것처럼 쓰디쓴 세상이라고 생각했는데, 혼자가 아니었고 지금도 곁에 누군가 있다는 걸 느꼈다. 다시 생각하니 식상한 것 같지만 확실하다. 글을 이렇게 끝맺을 줄은 몰랐지만 내 인생에 있어준 모든 사람들에게 고맙다고 말하고 싶다.        

이전 14화 PAUSE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