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ake Shin Apr 12. 2024

9. 경영자가 알아야 할 문제해결의 모든 것 아마존에서

조직의 유연성 및 중장기적 방향성

Google, Apple, Meta, Amazon 등 미국 프런티어 업체들의 활동은 국내외 많이 회자가 됩니다. 국내기업들 특히 대기업들은 대부분 Top Down 기반의 의사결정 체계이고, 조직문화도 보수적이며 유연성도 부족하다는 평가가 많죠.이에 대비 벤처기업/스타트 기업은 아마존에서 지향하는 방향성과 같은 맥락을 추구하는 것 같습니다.



본 서적은 기업 경영상에 있어서 조직 외부/내부적으로 Profit Growth 및 사업의 연속성을 지속할 수 있는 팁/가이드를 잘 조명합니다. 특히 베조프의 비행기 탑승 중에 냅킨에 그린 1장의 Biz Model은 본인 회사에서도 Case Study시에 많이 소개가 되죠. 역시 기업의 성장은 그 기반이 Customer(고객) 및 내부 조직/인원의 마인드셋(Innovation)이라는 것은 특히 대기업들의 경영자는 반드시 리마인드가 필요한 항목입니다.




조직운영상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게 공통된 목표 수립입니다. 경영자와 조직원 간 Align가능한 목표(KPI) 수립 관련 아마존에서는 최고경영자와 조직원 간의 같은 목표를 가지기 위해, 업무에 대해 다른 방식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일에 대한 가치/목적 기반으로 납기(일정) 수립, empowerment(권한 위임), 진행사항 가시화가 기본 전체조건으로 설명하고 있죠. 특히 일을 하는 구성원에게 권한 위임을 통한 일에 대한 Ownership을 추구하는 것은 벤치마킹 포인트입니다. 부하의 일하는 역량을 올릴 수 있는 문화가 필요하다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목표와 실적 간의 Gap에 대해서는 당연히 조직원 전원과 공유를 해야 하고 이를 극복가능한 개선책 수립은 당연히 해야 할 것입니다.



주요 정보에 대한 히에라르키가 없도록 하여 구성원 <->경영자 간 목표 Align 및 이견이 없도록 하는 게 아마존의 특징인 것 같습니다. 한국사회는 주요 정보는 오직 경영자만 알고 아래 구성원에게는 비밀로 하는 관행은 서둘로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성적 기반 아닌 정량적 기반으로 문제에 대한 개선 및 진행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게 필수적인 항목입니다.



사업의 성패는 고객을 이해하는 것이지요. 요즘 '디자인싱킹'이 업계에서 많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처음단계가 '공감하기'인데 이는 그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에 대한 이해입니다. 고객이 무엇을 필요하는지 등 요구사항을 확실히 정의를 하는 게 핵심 Activity가 되겠습니다. 이후에 고객 요구사항기반으로 PoC(Proof Of Concept)를 하는데, 아마존에서는 비슷하게 작게 시작하기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실제 현물로 확인하고 개선사항을 반영하여 실제 제품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게 핵심이지요. SW업계도 Agile development가 중요한 프로세스로 인지가 되고 있는데, 이는 Time To Market을 위해 어떻게 회사가 준비하고 어떤 마인드셋을 가져야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궁극적으로 고객에 대한 이해로 제품성공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화가 돼야 사업의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습니다.



고객만족을 추구하지만, 이에 따른 Risk가 존재하게 마련입니다. 소위 Risk Management 강구입니다. 현재는 문제가 없으나 추후에 문제/이슈로 발생가능성 있는 Factor에 대해서는 지속 모니터링 및 개선안 수립이 필요합니다. 예전 COVID-19시 사업 불확정성이 클 때, 아마존은 Cloud사업(AWS)을 확장하여 이를 극복하였습니다. 고객을 위한 경영이지만, 이를 위한 불확정 요소가 없도록  하는 것이 기업생존을 좌우하는 중요한 활동이라고 생각합니다.



베조프가 냅킨 1장에 그린 Biz Model입니다. 비행기 탈 때 그린 것으로 유명하죠. 역시 중심에는 (사업) 성장이지만, 이를 위해서는 고객을 만족하는 게 필수요구조건입니다. 추가로 Cost Innovation(Reduction)을 위해 어떤 사업요소를 Trade-off로 할 것인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조직상의 낭비제거 활동이 필요함을 암시합니다. 1) 기업혁신 2) 비용절감 3) 판매자수 4) 방문자수 관점의 Cycle 기반 사업 안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고객뿐만 아니라 내부조직원에 대한 Care(조직원 역량 강화)도 있어야 완벽한 조직체계 정립이 가능하지 않을지도 생각해 봅니다.




1인기업을 꿈꾸는 분들께는 사업을 어떤 관점으로 봐야 할지 좋은 가이드가 될 것 같습니다. 사업 목표 달성하기 위한 문제 해결 방법론적 측면 이겠습니다. 사업을 보다 성장하기 위해 위에서 제시한 '아마존 비즈니스 모델' 기반으로 상황에 맞게 수정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조직적 측면에서 불필요한 낭비 없게 하는 방식이 마음에 들더군요.



매거진의 이전글 8. 성공을 위한 내려놓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