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심리학관 Dec 08. 2024

사랑은 우리의 가슴과 가슴 사이를 연결해주는 금실이지

한강 작가님의 노벨상 강연 / 심리학관

지난해 1월 낡은 구두 상자에서 찾아낸 중철 제본에서,

1979년 4월의 나는 두 개의 질문을 스스로에게 하고 있었다.


사랑이란 어디 있을까?

사랑은 무얼까?


한편 <작별하지 않는다>를 출간한 2021년 가을까지,

나는 줄곧 다음의 두 질문이 나의 핵심이라고 생각해왔었다.


세계는 왜 이토록 폭력적이고 고통스러운가?

동시에 세계는 어떻게 이렇게 아름다운가?


이 두 질문 사이의 긴장과 내적 투쟁이 내 글쓰기를 밀고 온 동력이었다고 오랫동안 믿어왔다. 첫 장편소설부터 최근의 장편소설까지 내 질문들의 국면은 계속해서 변하며 앞으로 나아갔지만, 이 질문들만은 변하지 않은 일관된 것이었다고.


그러나 이삼 년 전부터 그 생각을 의심하게 되었다. 정말 나는 2014년 봄 <소년이 온다>를 출간하고 난 뒤에야 처음으로 사랑에 대해- 우리를 연결하는 고통에 대해- 질문했던 것일까? 첫 소설부터 최근의 소설까지, 어쩌면 내 모든 질문들의 가장 깊은 겹은 언제나 사랑을 향하고 있었던 것 아닐까? 그것이 내 삶의 가장 오래고 근원적인 배움이었던 것은 아닐까?


사랑은 ‘나의 심장’이라는

개인적인 장소에 위치한다고

1979년 4월의 아이는 썼다.

(팔딱팔딱 뛰는 나의 가슴 속에 있지.)


그 사랑의 정체에 대해서는 이렇게 대답했다.

(우리의 가슴과 가슴 사이를

연결해주는 금실이지.)


소설을 쓸 때 나는 신체를 사용한다.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부드러움과 온기와 차가움과 통증을 느끼는, 심장이 뛰고 갈증과 허기를 느끼고 걷고 달리고 바람과 눈비를 맞고 손을 맞잡는 모든 감각의 세부들을 사용한다. 필멸하는 존재로서 따뜻한 피가 흐르는 몸을 가진 내가 느끼는 그 생생한 감각들을 전류처럼 문장들에 불어넣으려 하고, 그 전류가 읽는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것을 느낄 때면 놀라고 감동한다.


언어가 우리를 잇는 실이라는 것을,

생명의 빛과 전류가 흐르는 그 실에

나의 질문들이 접속하고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는 순간에.


그 실에 연결되어주었고,

연결되어줄 모든 분들에게

마음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 한강 작가님의 노벨상 강연 전문(PDF File)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