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그루잠 Dec 02. 2023

연준의 미친듯한 손실은 무엇을 의미할까?





미국 연준의 막대한 손실을 보여주는 다음 스레드에 대해 따로 질문을 많이 주셔서 추가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https://www.threads.net/@gruzam_labs/post/CzuuRmgPTvf






1. 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손실을 보고 있을까?


2. 연준은 자체 자금으로 운영되며 보통 필요한 비용보다 더 많은 수입을 올림. 



3. 이 차액은 재무부에 송금됨.



4. 2022년에는 760억 달러를 송금했음. 



5. 그러나 2022년 9월 이후로, 연준의 지출이 수입을 188억 달러 초과하여 송금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음



6. 향후 금리에 따라 순수입이 몇 년 동안 부정적일 수 있으며, 송금이 더 오래 중단될 수 있음.



7. 왜 이런 일이 발생했을까? 그리고 이 상황은 얼마나 오래 지속될까?



8. 통화 정책 운영의 결과로, 연준은 자산 대차대조표에 약 8조 달러의 국채 및 모기지 담보 증권(MBS)을 보유하고 있음.





9. 연준은 이 증권에서 수익을 얻으며, 다른 수입과 수수료를 통해 운영 비용과 은행 준비금 및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에 대한 이자를 지불함.



10. 이자와 비용 간의 차이는 순수입으로, 이익과 유사함.



11. 순수입은 (1) 주주들에게 법적으로 요구되는 배당금을 지불하고 (2) 연준의 잉여금이 법적 한도 이하일 때 이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됨. 



12. 나머지는 재무부에 송금되며, 이는 연방 정부의 일반 수입에 추가됨.



13. 송금은 연방 지출 수준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예산 적자와 연방 부채를 줄여줌.



14. 연준의 대차대조표는 주로 장기 자산과 초단기 부채로 구성됨.


15. 일반적으로 장기 자산은 단기 채무보다 높은 수익률을 가지므로 순수입은 플러스임.



16. 그러나 2022년 금리가 급격히 상승하여 2022년 9월 이후 순수입이 마이너스가 되었음.


17. 이로 인해 은행 준비금 및 역레포에 대한 이자율이 현재 5% 이상으로, 이전에 낮은 금리로 취득한 증권의 수익률보다 높아졌음.





18. 2022년 이자 수입은 증가했지만 이자 비용은 더 많이 증가했음(2021년 57억 달러에서 2022년 1,024억 달러로).



19. 연준은 팬데믹 기간 동안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양적 완화(QE)를 통해 낮은 수익률의 증권을 대규모 보유하게 되었음.



20. 예를 들어, 2021년 말 기준으로 MBS 보유액의 70% 이상이 2020년이나 2021년에 발행되었으며, 70%가 2.5% 또는 그 이하의 쿠폰 금리를 가지고 있었음.



21. 2023년 내내 송금액이 제로가 된다면, 이는 1934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일 것임.


22. 시간이 충분히 지나면 연방준비제도(Fed)의 자산 수익률이 결국 그 채무의 수익률을 초과할 것임.



23. 왜냐하면 단기 이자율이 하락하거나 연방준비제도의 장부상 저수익 자산이 만기가 되어 더 높은 수익률을 가진 자산으로 대체될 것이기 때문임.



24. 그 시점에는 순수익이 다시 플러스가 될 것이지만, 예측에 따르면 이는 몇 년이 걸릴 수 있음.



25. 인플레이션이 다시 낮아질 때까지 단기 이자율이 크게 떨어질 가능성은 낮음. 



26. 연준이 계획대로 증권을 만기까지 보유한다면, 이 증권들의 매각을 통해 어떠한 손실도 실현하지 않을 것임.



27. 현재의 연방준비제도(Fed) 손실은 과거 송금액과 어떻해서 어떤 수준일까? 



28. 연방준비제도의 손실이 연방 수입을 줄이겠지만, 2009년부터 2022년까지의 비정상적으로 큰 송금액이 일시적인 손실을 상쇄하는 측면이 있음. 




29. 2009년부터 시작하여, 연준의 순수익과 송금액은 양적완화(QE) 및 낮은 단기 금리로 인해 장부 성장의 결과로 크게 증가했음.



30. 2009년에서 2022년 사이에, 연간 송금액은 매년 470억 달러에서 1,170억 달러 사이였음.



31. 2009년 이전에는 가장 큰 연간 송금액이 350억 달러였음.



32. 또한, 이는 양적완화가 연방 예산에 미친 직접적인 영향만을 고려한 것임. 



33. 만약 양적완화가 경제를 더 빠르게 완전 고용으로 되돌렸다면, 그것은 연방 예산에 긍정적인 간접적 영향을 미쳤을 것임.



34. 연방준비제도(Fed)가 파산하거나 구제금융이 필요할까?



35. 민간 회사들은 자본을 보유하여 손실이 부도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함.



36. 하지만 연방준비제도의 경우, 손실이 그것의 채무 이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민간 회사와 마찬가지로), 채권자들은 손실이 자본을 초과할 때 연방준비제도가 파산을 선언하도록 강제할 수 없음.



37. 연방준비제도는 법적으로 제한된 잉여금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자본을 채무와 비교하여 보유하고 있으며, 2022년 9월 이후의 손실은 그 전체 잉여금보다 큼.



38. 그러나 민간 회사와는 달리, 연방준비제도는 손실에 대응하여 자본을 감소시키거나 부도 상태가 되거나 솔벤시를 유지하기 위한 자본 주입을 요구하지 않음.



39. 대신, 그것의 회계 관행에 따라 손실을 연기된 자산으로 기록함.



40. 미래 연도의 긍정적인 순수익은 재무부에 송금되는 대신 이 연기된 자산을 제거하는 데 사용될 것임.



41. 플러스 순수익은 송금 재개 전에 이루어질 것임.



42. 연준의 영향과 앞으로의 선택 사항은? 



43. 연준은 이익 극대화를 목표로 하지 않음.



44. 연준의 송금은 통화 정책의 부산물이며, 통화 정책의 성공을 평가하는 기준이 아님.



45. 손실은 경영의 불량이 아니라, 그것의 이자 부담 채무가 이자 부담 자산보다 높은 수익률을 가졌음을 나타냄.



46. 만약 연방준비제도가 수익과 손실에 대한 우려를 기반으로 통화 정책을 결정한다면, 그것은 그 법적 의무인 최대 고용과 안정적인 가격 달성에서 벗어나게 될 것임. 



47. 만약 연방준비제도가 2008년 이전의 통화 정책 수행 프레임워크로 되돌아간다면, 평균 수익은 낮아질 것이지만 손실 가능성은 줄어들 것임.



48.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준의 손실은 정치적 함의를 가질 수 있음.



49. 특히 연방준비제도의 독립성에 대하여, 또는 잘못 이해되면 시장이나 대중의 연방준비제도에 대한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50. 만약 의회가 연방준비제도의 재정 상태나 그것이 받는 인식에 대해 우려한다면, 법적으로 줄인 연방준비제도의 잉여금을 되돌리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음.



51. 또는 의회는 손실을 흡수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 연방준비제도의 잉여금을 없앨 수 있음.



결론 : 연준의 손실 자체는 사실상 문제가 안됨. 하지만 연준에 대한 시장의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투자연구실(텔레그램)>

https://t.me/gruzamlabs


<투자연구 기록보관소(카페)>

https://cafe.naver.com/valuearchive


<경제/시사 정보 나눔방(카톡)>

https://open.kakao.com/o/gSzajgff

입장 코드 : 3648569


<그루잠랩스 스레드>

https://www.threads.net/@gruzam_labs


<기밀과외(유튜브)>

https://www.youtube.com/@confidential-T




작가의 이전글 2024년 미국(세계) 경제 전망 | 인플레이션, 경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