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곽해용 Aug 05. 2023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처럼

누구나 살아가면서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이루고자 노력한다. ‘이번 시험에 합격해야지’하는 소박한 목표에서부터 ‘어떻게 살아가겠다’라는 인생의 커다란 가치 목표까지 어떻게 하면 내가 꿈꾸는 대로 잘 이룰 수 있을까를 고민한다.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은 제각각이다.


헤르만 헤세의 소설『싯다르타』에 나오는 싯다르타는 사랑하는 여인 카말라에게 “만약 사색할 줄 알고, 기다릴 줄 알고, 단식할 줄 안다면, 누구나 마술을 부릴 수 있고 누구나 자기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      


사색(思索)이란, 어떤 것에 대하여 깊이 헤아려 생각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사색을 통해 자신이나 타인 더 나아가 세상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 새로운 통찰을 할 수 있다. 세상의 모든 존재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영원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싯다르타가 사색을 통해 뒤늦게 깨우쳤듯.  사색하는 힘이 약한 이는 간혹 ‘아무 생각 없이 살아가는 사람’으로 폄하되기도 하고, 남을 배려하지 않는 언행이 습관적으로 불쑥불쑥 노출되어 주위를 아연실색(啞然失色)하게 만들기도 한다. 주변에는 보편타당하고 합리적인 상식을 벗어나 생각 없이 행동하는 이들이 의외로 많다. 마음이 심하게 병든 사람들. 잊을만하면 들려오는 외국의 총기 난사 사건이나 국내에도 출현하는 ‘묻지 마’ 흉기 난동 사건 등을 보면 그러하다.      


사색은 언제나 어디서나 가능하. 일상의 소음과 방해를 벗어난 새벽이나 조용한 밤에, 샤워할 때, 산책이나 출퇴근 시간에도. 휴대폰에만 온통 마음을 뺏길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마음을 진정시키고 호흡에 집중하면서 사색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본다. 사색을 통해 자신의 핵심 가치, 목표, 감정, 행동, 결정 등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평가할 수도 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지금 제대로 잘살고 있는가?” 등을 살펴볼 수 있는 화두(話頭)가 참으로 많다. 사색은 진정한 자아를 발견할 수 있게 해 준다.  사색은 욕심과 노여움 속에서 사리분별을 가지게도 해준다.


기다릴 수 있다는 것은, 자신의 욕망을 억제하고 상대방을 존중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꼰대와 멘토의 차이점도 기다림에 있다고 하지 않는가. 기다렸다가 상대가 조언을 구할 때 자신의 노하우를 알려주는 멘토에 비해 꼰대는 기다리지 않고 일일이 먼저 나서서 간섭하고 충고한단다. 기다린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기다림은 사랑할 때 필요한 능력이다. 상대방의 마음이나 상황을 이해하고 인내하며 기다려주는 것. 그것은 사랑의 기본이다. 처음에는 상대방을 제대로 이해 못 했어도 기다리다 보면 이해가 되기도 한다. 당시에는 나의 이상형이 아니었어도 기다리다 보면 이미 이상형이 되어있기도 한다. 기다림은 신뢰와 안정감을 주기다. 기다림은 일종의 성장이다. 우리는 욕구가 당장 충족되지 못하기 때문에 기다린다. 기다리다 보면 때로 불만족과 불안감에 휩싸여 폭발하거나 자신감이 더 떨어질 수도 있다. 끝내 포기하고 상대를 탓하기도 한다. 그렇게 일그러진 인간관계는 얼마나 많은가. 어려운 상황을 잘 버텨내면 더 좋은 기회와 행운도 함께 따라올 수 있음을 생각하지 않는다.


가끔 간헐적 단식을 하다 보면, 다이어트에 도움도 되고 신진대사도 활성화되는 효과가 있음을 알게 된다. 그러나, 그 한두 끼를 참지 못한다. 최근 내시경 검사하느라 두 끼를 굶은 적이 있다. 저녁에 흰 죽을 먹고 다음 날 아침과 점심까지 굶고 속을 모두 비워내고 검사를 받았다. 검사 3시간 전까지 물이라도 먹지 않았다면 쓰러질 지경이었다. 단식이 주는 메시지는 식탐을 넘어서서, 절제지향적인 삶의 태도가 물질 만능주의에 찌든 오늘의 우리를 살려내는 처방전이라고 말하는 듯하다.     


나는 싯다르타의 이 세 가지의 해법이 어떤 의미이고 어디에서 나온 것인지가 궁금했다. 사색을 해본 결과, 불교에서 말하는 탐진치(貪嗔癡). 바로 여기 답이 있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탐욕(貪欲)과 진에(瞋恚)와 우치(愚癡), 곧 탐내어 그칠 줄 모르는 욕심과 노여움과 어리석음. 인간이 열반에 이르는 데 장애가 되기에 삼독(三毒)이라 하는 세 가지 번뇌. 소설 속 싯다르타는 사색을 통해 어리석음으로부터 벗어나고, 기다림을 통해 노여움을 진정시키고, 단식을 통해 탐욕을 이겨낼 수 있다고. 나름 삶의 지혜를 제시한 것 다.


바로 오늘, 내가 원하는 그 무엇을 꼭 이루고 싶다면, 적어도  스스로에게 물어보자. “나는 사색할 수 있고, 기다릴 수 있고, 단식할 수 있는가?”라고.

매거진의 이전글 첫 키스의 기억과 근육 기억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