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4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신석기 이야기

신석기에 이런일이

by Rebecca Feb 14. 2025
신석기 시대의 'Color'


초록색(옥), 파란색(청금석), 붉은색(황토), 흰색(조개가루)



*색이 사용된 물건: 도자기, 의복 염색, 벽화, 장신구


*신석기 시대 컬러의 영향  

초록색(옥)은 풍요와 건강을 상징 (중국과 메소포타미아에서 옥 장신구 발견)

파란색(청금석)은 신성한 색으로, 이집트에서는 신의 색으로 여겨짐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색을 권력과 종교적 신념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큼



2. 신석기 시대 흥미로운 이야기  (기원전 1만 년~기원전 3000년경)



‘세계 최초의 도시’ – 9천 년 전의 카탈호유크
터키의 카탈호유크 유적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지 중 하나입니다. 이곳에서는 흥미로운 건축 양식이 발견되었는데, 집들이 벽 없이 다닥다닥 붙어 있고, 사람들은 지붕 위로 올라가 사다리를 이용해 출입했습니다. 심지어 벽화와 신비로운 여신 조각상도 발견되었지. 선사시대에도 ‘도시적 생활’이 존재했다는 걸 보여주네요. 우리가 생각하는 신석기 시대 사람들의 모습과는 다르네요.




 ‘최초의 전쟁’ – 족장들의 갈등
수단의 지벨 사하바 유적에서 발견된 약 1만 3천 년 전 유골에는 창과 화살이 박혀 있었습니다. 이는 인류 최초의 전쟁 흔적 중 하나로 여겨지는데, 기후 변화로 인해 식량 부족이 심화되면서 부족 간의 전투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즉, 전쟁은 문명보다 먼저 존재했다는 것이죠. 신석기 시대에 전쟁이라니 신기합니다.










신석기 시대 (Neolithic Age)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약 1만 년경부터 기원전 3000년경까지 지속된 시기로, 인류가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면서 정착 생활을 하게 된 시기이다. 이 시기의 가장 큰 특징은 간석기 사용, 농경과 목축의 시작, 정착 생활이며, 이를 통해 사회가 점차 발전하게 되었다.




1. 신석기 시대의 특징


농경과 목축의 시작

기후가 따뜻해지면서 농사를 짓기 시작 → 대표 작물: 조, 기장, 밀, 보리

가축을 기름 → 개, 돼지, 양, 염소 등의 목축 시작

자연에 의존하는 채집·사냥 중심에서 점차 **생산 경제(농경·목축)**로 변화



도구의 발전: 간석기와 토기 사용

돌을 갈아서 만든 간석기 사용 → 농사와 생활에 적합한 도구 제작                                          

대표적인 간석기: 돌괭이, 돌도끼, 돌낫, 갈판과 갈돌                                      

토기 제작 → 곡물을 저장하거나 음식을 조리하는 데 사용                                          

대표적인 토기: 빗살무늬 토기(물결무늬, 빗살 같은 문양이 새겨짐)                                      



사회 구조: 부족 사회와 평등 사회

씨족(혈연) 중심의 부족 사회 형성

평등한 사회 구조 → 신분의 차이가 거의 없고 공동체 생활

남녀가 함께 노동하며 역할을 분담



주거 생활: 정착 생활과 움집

이동 생활(구석기)에서 정착 생활로 변화

강가나 바닷가 근처에 마을을 형성

반지하 형태의 움집에서 생활 (바닥을 둥글거나 네모나게 파고 기둥을 세워 지붕을 덮음)



문화와 신앙: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

애니미즘(Animism) → 자연(태양, 물, 바람 등)에도 영혼이 있다고 믿음

토테미즘(Totemism) → 특정 동물이나 식물을 부족의 신성한 상징으로 섬김

샤머니즘(Shamanism) → 무당(주술사)이 초자연적인 존재와 소통하며 부족을 이끎

조상 숭배와 매장 풍습 시작



2. 신석기 시대의 주요 유적지


한국의 신석기 유적지

서울 암사동 유적 → 한강 유역에서 발견된 대표적인 신석기 마을 유적

부산 동삼동 유적 → 조개껍데기 무덤(패총) 발견

강원 양양 오산리 유적 → 빗살무늬 토기와 원시적 형태의 인물 조각상 발견

제주 고산리 유적 →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 유적



세계의 신석기 유적지

중동 ‘페르티레’ 지역(터키의 차탈후유크 유적)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 정착지

중국 양사오 문화(황허강 유역) →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농경 문화




이전 02화 구석기 시대 이야기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