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수의 사진관 Sep 05. 2022

말아 _ 집집마다 김밥의 맛이 다른 것처럼 내 삶 또한

상실의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

이번에 소개할 작품 '말아'는 '심달기' 배우님이 출연한다는 소식에 한걸음에 달려가 관람하고 왔어요. 작품을 보는 내내 웃다가도 쓸쓸한 현실과 마주하기도 하지만 코로나로 지친 MZ 세대들에게 힐링이 될 것이다.

.

.

전염병 유행으로 집에만 콕 박혀 있는 청년 백수 ‘주리’ 배고픔도 실연의 아픔도 모두 집에서 해결한다 어느 날 자취방을 부동산에 내놓았다는 연락과 함께 엄마의 김밥 집을 운영하라는 미션이 주어지는데… 인생도 김밥처럼 요령껏 말 수 없나? 스물다섯 주리의 명랑한 자력갱생이 시작된다.

.

.

과장 없이 담백하게

.

사람이 살면서 항상 밝은 모습만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이처럼 청년들의 양면성을 과장 없이 담백하게 캐릭터에 녹여 냈으며 배우들 또한 연기를 통해 보여준다.

.

취업과 연애에 대해 그리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모든 청년들에게 "괜찮아"라는 한마디의 위로와 안부를 전한다. 

.

.

엄마 말대로 물엿을 빼도 내건 달아

.

엄마가 할머니를 돌보러 내려가기 전 '주리'는 엄마에게 가게를 맡아서 운영하라는 말을 듣게 된다. 처음엔 반색했지만 어쩔 수 없다는 것을 안 '주리'는 엄마에게 김밥을 마는 것을 배우게 되는데... 

.

신나라 김밥의 명물인 '멸치 김밥'을 '주리'가 만들지만 어쩐지 엄마가 한 것보다 더 달다. 물엿도 뺏지만 단맛은 맹 그대로다.

.

레시피만 같으면 다 똑같은 거 아니야?라고 할 수도 있지만 밥의 되기, 밥의 양, 김밥을 말 때의 강도 등 개인마다 조금씩 다를 수밖에 없다. 이를 통해 다 똑같은 삶이 아닌 각자의 삶이 있다 말한다.

.

.

'전염병', '김밥', '청춘'이라는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소재를 잘 말아 한 줄의 영화로 만든 이번 작품은 올 여름 가장 따뜻하고 잔잔한 위로를 건네는 작품으로 기억될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 _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