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구푼 Oct 23. 2022

외갓집의 감나무

  외갓집 마당에 감나무 한 그루가 있다. 나름 대봉이라고 가지가지마다 보기 좋게 굵은 알이 잔뜩 매달린다. 수확은 나와 부친의 몫이다. 바구니를 매달은 긴 장대를 들고 하나 둘 낚아챈다. 어쩌다 놓쳐서 바닥에 떨어뜨리기라도 하면, 그마저도 아까워 하는 할머니의 잔소리가 날아온다. 벌레 먹은 셈 치자고 너스레를 떨며 다시 장대를 부린다. 한나절을 그렇게 따고 나면 소쿠리 몇 개 정도는 거뜬히 채운다. 말간 주황빛으로 먹음직스럽게 익은 감을 보고 있노라면, 가끔 영동에서의 유년이 달콤하게 떠오른다.


  영동은 감이 흔한 곳이었다. 도로 곳곳에 감나무가 가로수로 심겨 있었다. 그래서 살짝 차가워진 바람이 당연해질 때가 되면 서울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은행열매 대신 감이 떨어졌다. 집에서는 아직 덜 익은 감을 잔뜩 쌓아 놓고는 껍질을 깠다. 그렇게 깐 감을 실에 줄줄이 묶어 창문이나 베란다에 주렁주렁 매달아 곶감으로 만들었다. 동네방네 뛰어다니며 놀다가 배가 고파지면 하루는 우리집, 다른 하루는 친구 집에 매달아 놓은 덜 마른 곶감을 따 먹었다. 손으로 쭉 쭉 찢어 입 안에 넣고 오물오물 씹고 있으면 쌉싸름한 단 맛이 혀에 달라 붙었다. 가을의 맛이었다.


  가을만이 아닌 온 계절을 온몸으로 누리던 시절이었다. 봄에는 비닐봉지 하나를 들고 산을 올랐다. 파릇하게 자란 쑥이며 냉이를 잔뜩 뜯어 담았다. 꽃이 잔뜩 달린 아카시아 나무 가지 하나를 꺾어 들고 다니면서 입이 심심할 때 꽃잎을 입에 머금고 단맛을 탐했다. 여름에는 이곳 저곳에 있는 계곡에 발을 담갔다. 뒷산에서 놀다가 과수원 아주머니가 슥슥 닦아 건내준 복숭아를 되는대로 씻어 맛있게 먹었다. 선선해질 무렵 성대하게 열리던 축제에서는 키의 두 세배 쯤은 되는 장작불 주변을 돌며 쥐불놀이를 했다. 언제가 눈이 크게 내렸던 겨울엔 천태산을 찾은 적이 있다. 가지마다 쌓인 눈의 무게를 가만히 견뎌내던, 천년을 살았다는 고목에 매료돼 한참을 바라보고 있던 적도 있었다.


  그러고보면 도시에 오고 나서는 그저 계절의 변화를 겨우 가늠하기만 했을 뿐, 온전히 만끽하기란 쉽지 않았던 것 같다. 아이에서 소년으로, 다시 어른으로 변해가는 스스로의 변화만으로도 벅차 여유가 없었던 탓일까. 따뜻해지고, 더워지고, 시원해지고, 다시 추워지며 각각의 계절은 자신이 왔음을 말을 걸어 알려왔지만, 옷장 속의 옷들을 바꾸는 것이 겨우 할 수 있던 대답의 전부였다. 어른이 되고나서도 마찬가지다. 계절이 담긴 풍경을 보러 산으로 바다로 떠난다거나 제철 음식을 먹으러 다니기는 하지만, 굳이 계절과는 엮지 않아도 충분한 각각의 단편적이고 독립적인 추억으로 남아있다. 그럼에도 계절은 일방적으로 바뀌어왔고, 하루하루의 일상에 익숙해지듯이 계절과 대화하는 방법을 잊어가고 만다.


  외갓집의 감나무가 이제와서 괜히 소중하게 느껴지는 것은, 잘 들리지 않던 계절의 목소리를 들려주기 때문일까. 올해는 비바람이 유독 잦았던 탓인지 눈으로 셀 수 있을 정도의 열매만이 차곡차곡 햇빛을 담아내며 익어가고 있었다. 이번 수확 때는 여기저기 엉켜있는 곁가지를 다듬어주기로 했다. 내년에는 더 많은 가을이 맺혔으면 좋겠다.


  2020년 10월

작가의 이전글 어떤 섬네일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