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연이 Jan 10. 2023

라이킷 수에 절망하지 않기

나를 위로하는 글쓰기

“어차피 안 될 거야. 그러니까 대강할 거야. 그런데 계속할 거야. 그렇게 멈추지 않고 계속하기 위해서는 몰입하고 집중해야 해”

박혜윤의 <도시인의 월든> 중에서


브런치에서 라이킷은 큰 기쁨이다.

하지만 절망이기도 하다.

브런치에 글을 발행하면서 라이킷 수를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다.

라이킷 수는 그만큼 독자들에게 공감을 받았다는 의미이기에 글을 쓰는 원동력이 된다.

동시에 글을 쓸 수 없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마흔이 넘어 글쓰기를 시작했다.

아주 늦은 나이이다.

그래서 조급한 마음이 든다.

매일 글을 쓴다고 실력이 느는지 어떤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계속 쓸 수밖에 없다.

내가 원하는 길이고 지금이라도 내 꿈을 위해 노력하는 삶을 살고 싶다.


많은 시간을 허비하며 살았다.

환경을 원망하고 나를 원망하고 엄마를 원망하며 수도꼭지를 틀어놓은 채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마흔이 넘어서야 콸콸 쏟아져 버려진 물이 아깝게 느껴졌다.

느리디 느려 영원할 것 같던 시간이 이제야 비로소 끝이 어렴풋이 보이는 듯하다.

겨우 반환점을 돈 것뿐일 수 있지만, 언제까지 달릴 수 있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브런치를 시작하며 책을 읽고 글을 쓰는 시간이 더없이 소중해졌다.

보이지 않지만 나의 글이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고 믿는다.

좌절하고 절망하면 글을 쓸 수 없다.

독자를 신경 쓰지 않을 수 없고, 또 그래서도 안 되지만 지금은 계속 글을 써 나가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희망이 없더라도 계속 써야 하고, 나를 믿을 수밖에 없다.


글을 쓰는 것은 나에게 더없이 큰 기쁨이다.

과정이 즐겁고 완성을 하면 뿌듯하다.

글쓰기는 나의 하루가 헛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나는 뿌듯하고 보람 있는 삶을 산 적이 없다.

육아는 숨 쉬는 것처럼 당연한 일이었고, 보람을 느끼기에는 한없이 부족한 엄마이다.

언제 끝날지도 모르고, 끝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글쓰기는 결과물이 차곡차곡 쌓인다.

눈으로 보이는 결과물과 고통스럽지만 즐거운 과정이 내가 살아있음을 느끼게 해 준다.


어차피 삶은 고통이다.

이전에는 완성된 크고 멋진 행복을 꿈꿨지만, 내가 바라는 영원하고 완벽한 행복은 없었다.

순간순간 작은 행복을 느끼며 그 찰나의 행복을 움켜쥐고 고통스러운 삶을 견뎌야 한다.


고통스러운 삶에 글쓰기는 바늘구멍 같은 숨통이다.

하루라도 더 만족스러운 삶을 살기 위해서는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하며 살아야 한다.

결국 아무것도 되지 못하더라도 나의 오늘은 아무것도 아닌 날이 아니다.



작가의 이전글 집안일을 하며 쓸모 있음을 확인하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