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연 Apr 09. 2023

고물도 미술이 될 수 있나요?

HKMoA의 호안 미로 전시

[그림1] Joan Miró, Woman and Bird, 1967
[그림2] Joan Miró, Sobreteixim 6, 1972

 전시장 중앙에는 나무 벤치, 상자, 냄비 뚜껑, 모자, 작은 돌 같은 고물에 청동을 주조해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 검은색 페인트로 칠한 천진난만해 보이는 사람 형상의 조각이 있다[그림 1]. 그리고, 한쪽 벽면에는 버려진 자루를 캔버스 삼아 밧줄과 털실을 덧대고 엉망으로 색칠한 것 같은, 회화도 조각도 아닌 경계가 모호한 직물이 벽에 걸려 있다[그림 2]. 어린아이들이 마치 자기들이 그리고 만든 것 같은 별과 달, 사랑스러운 새와 여인, 익살스러운 괴물 등이 등장하는 이 전시장에 방문한다면, 작품들을 보고 이렇게 질문하지 않을까. “이런 고물도 미술이 될 수 있나요?”     


 이렇게 고물들로 만들어진 것들은 HKMoA에서 전시 중인 스페인의 현대미술 작가 호안 미로(Joan Miró, 1893-1983)의 대표적인 ‘작품’들이다. 미로는 길거리에서 직접 모은 다양한 고물들로 특이한 작품들을 만들어 냈다. 그는 일반적으로 초현실주의 화가로 알려졌다. 그러나 그의 작품들은 같은 시기에 활동한 초현실주의 화가인 흐물흐물하게 녹아 버린 시계의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 1904-1989)나 하늘에서 비처럼 쏟아지는 신사로 유명한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 1998-1967)와 같이 어둡고 몽환적인 느낌은 아니다.      

 초현실주의자들은 새로운 예술적 표현방식으로 이성적인 의식이나 선입견, 의도를 배제하고 본능적으로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는 오토마티즘(automatisme)을 사용했다. 미로 역시 초현실주의 운동이 시작되었던 1920년대에 파리로 이주하여 무의식을 시각적으로 분출한듯한 초현실주의 회화들을 작업했다[그림 3]. 그러나 그는 자신을 초현실주의라는 사조에 가두지 않고 미로의 뿌리였던 카탈루냐의 민속공예나 원시미술, 동아시아의 서예 등을 받아들이고 실험하여 미로만의 확장된 세계를 만들어갔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세상에서 가장 보잘것없고 평범한 사물을 통해 예술적 실험을 멈추지 않았던 미로의 작품들이 잔잔한 감동과 유쾌함을 동시에 전해준다.      


 HKMoA가 내세운 전시의 제목은 《일상의 시, The Poetry of Everyday Life》이다. 이는 우리 주변의 사물들이 가진 시적인 특성을 포착하여 작품에 실현하는 미로의 독특한 시각 세계를 표현한 것이다. 미로의 작품으로 구성된 ‘오브제(The Object), 시와 물질(Poetry and Matter), 포크 아트(Folk Art), 포스터 아트(Poster Art), 공공 미술(Public Art)’ 부분과 미로의 작품에 영감을 받아 구상한 미로랜드(Miroland), 드림 위드 미로(Dream with Miro) 등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로는 꿈을 꾸듯이 자유롭게 그려낸 시각 요소와 작가 자신, 우주, 상상력을 상징하는 새, 달, 별, 여인 등의 모티브로 유명하다. 미로의 작품으로 구성된 다섯 개의 부분은 이러한 미로 만의 시그니처 시각 요소들을 포함한 공통적인 모습이면서도, 미로의 시기별, 지역별로 다양하게 변주된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Folk Art에 전시된 재미난 조각들
원색으로 페인트칠된 귀여운 악동 브론즈들, 전시 포스터와 입구의 메인 이미지로 사용되었다.
꼬끼오.
Joan Miró, Woman, 1970
이 아이도 Woman, ELLE라는 글자가 귀엽다.
Joan Miró, Poem3, 1968, 동양적인 색채가 느껴진다.
발레 장면이 선, 도형들과 함께 구상과 추상이 합해진 독특한 화면을 만든다.
Joan Miró, Painting, 1933
호안 미로의 포스터 작품들.
천장에 붙여놓은 야광별처럼 수놓아진 미로의 시각요소들, Dream with Miró 공간, 누워서 감상할 수 있다.



+PLACE

Hong Kong Museum of Art, HKMOA, 홍콩미술관

10 Salisbury Road, Tsim Sha Tsui, Kowloon

침사추이의 유명한 시계탑을 지나 해변가로 걸어 들어오면 만날 수 있다. 홍콩 최초의 공공미술관으로 동양 고전미술에서 서양 현대미술까지 다양한 전시를 보여준다. 미술관 2층의 작은 야외 공간에서 저녁 8시마다 열리는 레이저쇼인 심포니 오브 라이츠를 감상하면 빅토리아 하버 위로 도시의 스카이라인이 한눈에 들어온다.

이전 07화 마티스+피카소? 젊은 디아스포라의 자화상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