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리유 Apr 17. 2024

김팀장 다이어리, 정말 리얼하게 써도 될까?


김팀장 다이어리.. 발행해도 될까?


연재 버튼을 누르기 전 수십 번 던졌던 질문이다.

그 고민의 두 가지 이유는 이러했다.



첫째, 회사에서 일어난 일들을 리얼하게 적었다.

나의 글이 혹시나, 정말 아주 혹시나 메인에 올라 많은 분들이 읽게 된다면, 그리고 그중에 우리 팀원이 있다면 어쩌지 하는 걱정이 앞섰다. 하지만 이내 현실을 자각했다. 브런치 글을 써온 지 어언 1년이 지났지만 메인에 게시된 영광스러운 적은 서너 번이었다. 그것도 회사나 직장인 이야기가 아닌 운동과 음식 주제의 글로 말이다. 즉, 나의 걱정이 현실이 될 가능성은 백만분의 일, 천만분의 일도 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둘째, 팀장의 쓸데없는 생각, 걱정, 힘겨운 마음을 그대로 담아내었다.

회사에서 나름의 직책까지 부여받은 사람이 한다는 생각들을 진솔하게 들춰내도 될까 싶었다.

사실, 팀장이라서 겪는 어려움의 영역이 분명히 있다. 팀장은 그 어떤 힘든 상황에서도 흔들림 없이 평정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마음속에서는 갈등과 고뇌, 힘겨움과 두려움이 요동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눈곱만큼이라도 부정적인 감정이나 모습을 내비치면 팀의 분위기가 순식간에 가라앉기 때문이다. 최근 조직의 변화가 극심하여 나의 감정 또한 격변하였고 글로나마 팀장으로서의 감정들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싶은 욕구가 세차게 밀려왔다.



이후, 회사에서 겪은 상황과 감정들을 틈 날 때마다 글쓰기 서랍에 차곡차곡 모아두기 시작했다. 쓰면 쓸수록 일상적으로 봐 오던 모습들까지도 새로운 이야기로 와 닿았다. 사무실을 오고 가는 사람들의 머리 위에 각자의 스토리를 얹고 걸어가는 것처럼 보이기까지 했다. 임원도, 팀장도, 팀원도, 사무실을 청소해 주시는 분들까지도.

그러고 보니, 직장인들의 삶을 멀리서 바라보면 단조롭기 그지없다. 책상에 앉아 키보드를 두드리고 서류를 들척거리며 회의실에 들락날락 거리는 모습이 전부다. 가만히 들여다 보면 그들의 표정에, 몸짓에, 발걸음에 각자의 감정과 생각들이 고스란히 남겨진다. 이러한 순간들을 그저 스쳐 보낼 수는 없었다.



그래서 두 눈 질끈 감고 시작해 본다.

평온해 보이는 어느 20년 차 직장인, 9년 차 김팀장이 겪은 날것 그대로의 이야기들을.





*사진출처 - pixabay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