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화가 경영학자 Dec 15. 2022

돈. 돈? 돈!

경제학 도시락 2/6

Music in Arts no.50 Hooked on Jazz/Dream on(Aerosmith)

Watercolor artist 정창영


2022/6/10


1. 돈은 빚이다

에너지, 정보와 함께 인류 문명을 떠받치는 또 하나의 기둥이 돈입니다. 단 한순간이라도 돈이 존재하지 않는 세상은 생각할 수도 없습니다. 돈이라는 생각만으로도 혈류가 증가하고 뇌의 특정 부위가 밝아지는 것을 보면 돈은 인간의 생리, 인간 그 자체를 변화시켰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돈이 처음 생겼을 때는 그저 지불수단으로써 거래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에 그쳤지만 이후에는 산업자본으로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역할이 확대되었습니다. 현대에 들어서는 화폐공급을 조절함으로써 경기의 기복을 줄이는 역할이 추가되었습니다.

20세기 이후 각국에 중앙은행을 만들어 통화, 즉 돈을 공급하도록 했는데 이에 따라 돈의 성격이 본질적으로 달라지게 됩니다. 이전에 돈은 금은과 같은 실물가치에 기반을 두고 있었으나 이제는 중앙은행이 마술처럼 공기 중에서 손가락 하나 까딱하여 만듭니다.

이렇게 만든 돈을 은행에 빌려주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통화공급의 원천이 됩니다. 은행은 이를 바탕으로 필요한 곳에 대출을 하고 비누 거품처럼 통화공급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돈입니다. 우리는 돈이라고 하면 지폐나 동전을 머리에 떠올리는데 지폐나 동전은 돈의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습니다.

사실 돈은 모습도 없고 소리도 나지 않는 부채라는 디지털 부호입니다. 그렇습니다. 오늘날의 돈은 고리처럼 연결되어 있는 부채입니다. 돈은 빚이다. 바로 이것이 자본주의 경제의 최대 약점입니다.

빚은 미래에 상환하겠다는 약속인데 어떤 약속이든 지켜지지 않을 가능성을 안고 있습니다. 어떤 이유에서든지 연쇄적으로 부도가 발생할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경제 전체가 큰 혼란에 빠지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금융위기라는 괴물입니다. 돈이 빚이고 빚이 돈인 현대 경제 시스템에서 금융위기는 예외가 아니라 본질적인 요소입니다.


2. 은행과 금융위기

돈은 단순히 거래에서 사용하는 지불수단이 아니라 인간 문명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는 거대한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의 중심에 은행이 있습니다. 은행 영업활동을 통하여 돈이 공급되고 유통됩니다. 대출을 통해 공급된 돈이 예금되고 다시 대출로 공급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필요한 돈이 경제에서 유통됩니다.

경제에서 돈이 공급되고 유통되는 과정은 우리 몸에서 혈액의 순환 과정에 비유될 수 있습니다. 혈액이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듯이 돈이 필요한 곳에 제대로 공급되어야 경제가 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돈의 공급과 유통이 경제의 생명줄을 쥐고 있는 한편에 영리를 추구하는 은행의 영업활동이기도 합니다. 우리 자본주의 시스템의 약점 하나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영리 추구라는 기업 목적에 충실하다 보면 경제의 안정과 활력이라는 은행 시스템의 또 다른 목적이 희생될 수 있습니다. 편안하고 즐거운 것을 원하는 육체의 요구에 따르다가 보면 건강을 잃게 되는 것과 비슷한 이치입니다.

은행이 이익을 늘리려면 대출과 투자를 늘려야 하는데 여기에 따라오는 것이 위험입니다. 대출과 투자로 경제에 돈을 쏟아부으면 거품이 생기고 은행의 이익은 증가하게 됩니다. 거품은 머지않아 꺼질 수밖에 없으며 이것이 금융위기입니다. 금융위기는 은행 시스템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것입니다. 만약 지금의 자본주의가 무너진다면 바로 거품 뒤에 오는 금융위기 때문일 것입니다.

금융위기가 발생하면 은행의 존속이 위협받게 되는데 이때 정부는 국민 세금을 쓰든지 돈을 찍어 내든지 무슨 수를 써서라도 은행을 살려내야 합니다. 은행이 무너지면 경제가 무너지기 때문입니다. 은행이 장사 잘해서 이익이 나면 은행이 차지하지만 은행 장사 때문에 금융위기가 발생하면 국민이 부담해야 합니다. 이 무슨 개 같은 경우가 있나 하겠지만 그것이 바로 우리 자본주의 시스템의 핵심입니다.

금융위기가 발생하면 물리적 파괴만 없을 뿐이지 그 피해는 웬만한 전쟁은 ‘저리 가라’입니다. 1997년 한국의 외환위기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기억나세요? 은행의 영업활동에 기인하는 이러한 엄청난 피해에 대해서 은행은 조금도 책임지지 않습니다. 그러니 은행은 신나게 장사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저의 글에서 인간사회는 모든 구성원이 어떤 형태로든 도덕적 해이 (moral hazard)를 안고 살아간다고 했습니다. 역사를 통해서 도덕적 해이의 끝판왕은 현대 자본주의의 은행 시스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모든 정부에서 은행 감독과 규제 제도를 만들어 두었지만 그 역시 도덕적 해이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오늘 소개하는 책은 은행 시스템의 이 모든 도덕적 해이가 중앙은행을 중심으로 하는 은행 집단의 거대한 음모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음모론이 재미있기는 하지만 저는 음모론을 믿지는 않습니다. 인간 사회가 한 집단의 은밀한 계획으로 조작할 수 있을 만큼 단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재미도 없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