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Cherry Apr 25. 2024

UX 심리학 : 서열 위치 효과

오래가는 첫인상, 평생 가는 마지막 인상

서열 위치 효과(Serial Position Effect) : 오래가는 첫인상, 평생 가는 마지막 인상


정의

첫 번째와 마지막 항목이 가장 잘 기억되고, 중간 항목은 상대적으로 기억에 남지 않는 현상

서열 위치 효과(Serial Position Effect)는 사람들이 목록의 처음과 끝에 있는 항목을 중간에 있는 항목보다 더 잘 기억하는 경향이 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초두 효과(Primacy Effect)최신 효과(Recency Effect)를 포함하며 초두 효과는 일명 ‘첫인상, 최신 효과는 ‘마지막 인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초두효과는 사용자에게 초기에 보이는 항목들이 더 많은 주의를 받고, 더 오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처리될 기회가 있기 때문에 초기에 접하는 정보가 장기 기억으로 잘 전환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최근효과는 목록의 마지막에 있는 항목들은 최근에 처리된 정보가 단기 기억에 아직 남아있기 때문에 목록의 마지막 부분을 듣거나 읽은 직후에 더 잘 기억된다는 원리입니다.

UX에서의 중요성

서열 위치 효과를 활용해 중요한 요소를 목록의 첫 부분이나 마지막 부분에 배치하면 사용자가 해당 요소에 더 집중하게 됩니다. 이를 잘 활용한다면 전하고자 하는 정보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중요한 정보와 기능을 더 잘 기억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제품 전체의 만족도가 높아집니다.


실제 적용 사례   

중요한 메시지를 광고 또는 강의 같은 매체의 첫 부분과 끝에 배치하여 소비자의 기억에 남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제품 카탈로그나 브로셔에서 가장 중요한 제품은 첫 페이지나 마지막 페이지에 배치하여 사용자의 기억에 남도록 할 수 있습니다.


결론

서열 위치 효과를 이해하고 적용함으로써, 정보를 전달하거나 제시할 때 사람들이 정보를 더 잘 기억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이를 이해하고 제품 및 시스템 설계에 반영하면 더 효과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https://thedecisionlab.com/biases/serial-position-effect

https://www.techtarget.com/whatis/definition/serial-position-effect

https://lawsofux.com/serial-position-effect/

이전 22화 UX 심리학 : 힉의 법칙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