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7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뮤지션을 위한 협업 플랫폼은 어떻게 개발할까?

뮤지션을 위한 협업 플랫폼 웨이버(Wavbor) 개발일기

by 똑똑한개발자 Mar 19. 2025

안녕하세요. 사랑받는 IT 프로덕트의 첫걸음, 똑똑한개발자 입니다.

오늘은 똑똑한개발자와 오랜기간 협업했던 

뮤지션을 위한 협업 플랫폼, 

웨이버(Wavbor)서비스의 런칭 소식을 전하고자 해요.




목차

1. 서비스 소개 및 주요 특징

2. 타 서비스 대비 강점

3. 개발 과정에서 중점을 둔 요소

4. 프로젝트 성과 및 향후 기대




서비스 소개 및 주요 특징

브런치 글 이미지 1


1. 뮤지션 협업을 위한 올인원 플랫폼


웨이버는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의뢰인을 통해 음악을 제작하고,

다른 아티스트들과 협력하여 

사운드를 창조할 수 있는 

협업 중심의 공간을 제공해요.


음원 제작과 공유를 넘어서, 

공동 창작과 수정, 

협업이 용이한 시스템을 통해 

창작 과정을 지원해요.



2. 음악 제작 & 수익 창출 지원

웨이버는 아티스트들이 제작한 음악을 바탕으로 

다양한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하며, 

지속적인 음악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음악 유통 및 수익화 모델을 지원해요.



3. 아티스트 네트워킹 기능 ‘웨이버톡’

최근 도입된 '웨이버톡' 기능을 통해

아티스트들이 실시간으로 소통하고 네트워킹 할 수 있어요. 


음악 작업을 위한 협업 파트너 매칭 기능과, 

커뮤니티를 통한 활발한 소통이 가능해요!


웨이버톡 화면웨이버톡 화면
웨이버톡 내 그룹채팅방웨이버톡 내 그룹채팅방
주제와 아이디어를 나누는 공간주제와 아이디어를 나누는 공간
음원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어요.음원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어요.


레퍼런스를 공유하고 댓글을 남길 수 있어요. 레퍼런스를 공유하고 댓글을 남길 수 있어요. 


4. 아티스트 홍보 & 인터뷰 

쇼케이스(Showcase)


아티스트들의 작업물과 인터뷰를 소개하는

 ‘쇼케이스’ 기능을 제공해요. (예시: 아티스트 2RIM 인터뷰)

아티스트는 자신만의 음악적 개성과 작업 과정을 

스토리텔링 형태로 공개하여, 

팬들과 협업자들에게 자신의 매력을 어필할 수 있어요.




타 서비스 대비 강점

브런치 글 이미지 7


1. 단순 공유가 아닌 실시간 협업 중심 플랫폼

단순한 음원 공유를 넘어서, 

아티스트들이 실시간으로 협업하고 

함께 음악을 창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요.

또한 작업 중 아이디어 공유, 수정, 피드백을 

즉시 주고받을 수 있어 창작 과정이 훨씬 효율적이죠!



2. 아티스트 간 네트워킹 활성화하는 웨이버톡(Wavbor Talk)

 ‘웨이버톡’ 기능을 통해 

아티스트 간 실시간 채팅과 소통이 가능한데요.

협업 파트너를 찾고, 커뮤니티 내에서 

즉각적인 피드백과 아이디어 공유가 이루어져

 창작 속도가 더욱 빨라져요.



3. 아티스트 홍보 & 브랜딩을 강화하는 쇼케이스(Showcase)

웨이버 쇼케이스(showcase) 내 Curation웨이버 쇼케이스(showcase) 내 Curation


아티스트의 작업물과 인터뷰를 소개하는

'쇼케이스' 기능을 통해

개별 아티스트의 음악적 스토리와 작업과정을

보다 깊이 있게 전달할 수 있어요!


이를 통해 브랜딩과 팬들과의 연결을 강화하고, 

아티스트의 개성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요.



4. 수익 창출 기회 & 지속 가능한 음악 활동 지원

뮤지션 간 협업을 통한 창작 기회를 제공해

단순한 스트리밍 수익 이상의 가능성을 열어줘요.

또 음악 저작권 및 수익화 모델에 대한 

다양한 지원을 통해 지속 가능한 활동이 가능하게 해요.


마지막으로 플랫폼 내에서 직접적인 협업과 

거래 기회를 제공하여, 

뮤지션들이 자신의 음악 활동을 한층 발전시킬 수 있어요.




프로젝트 성과 및 향후 기대


브런치 글 이미지 9


1. 기존 유저 데이터 보호 및 사이드 이펙트 최소화

이미 운영 중인 서비스에서 새로운 기능 업데이트 시, 

기존 유저 데이터에 미칠 영향과 사이드 이펙트를 

최소화하기 위한 논의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는데요. 


특히, 팀원들과 함께 기능 업데이트가 

기존 데이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조적으로 검토했어요.


유저 정보 변경에 대한 민감한 반응도 있었는데요. 

예를 들어, 기존에 필수로 요구되던 정보가 

옵셔널로 변경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에 대해 신중히 접근하고 민감하게 반응했어요.



2. MVP 고도화 및 성능 최적화

개발팀은 빠른 가설 검증을 위해 

오픈한 MVP를 고도화하는 작업에 집중했습니다. 

속도와 코드 최적화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으며, 

예를 들어, 기존 팝업 형태의 채팅 기능을 

페이지 기반으로 변경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했어요.


특히 Artflo 페이지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한 사례가 있었는데요. 

모든 아티스트를 무한 스크롤 방식으로 표시하다 보니 

아티스트 수가 늘어날수록 

과도한 정보 랜더링으로 모바일 환경에서 멈추는 현상이 발생했어요.



분석 결과, 빠른 스크롤 시 다량의 Artist card UI가 한 번에 로딩되면서 CPU 부하가 증가해 브라우저 충돌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됨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빠른 스크롤 시에는 Artist card UI 대신 가벼운 placeholder(로딩 UI)를 렌더링하고, 이후 스크롤 속도가 적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순차적으로 Artist card UI를 로딩하도록 개선해 성능을 최적화함


3. 채팅 기능 업데이트 중 발생한 아찔한 순간


기존 채팅방 구조는 의뢰인이 아티스트에게 작업을 의뢰하고 

결제를 완료한 후에만 오픈되는 형태였는데요.

 이 채팅 기능은 실시간 소켓 통신을 통해 구현되었어요.


새롭게 추가된 웨이버톡(WaverTalk) 기능은 

서비스 가입만 하면 모든 유저에게 채팅방이 오픈되는 방식이었죠! 

기존의 채팅방과 웨이버톡 기능에는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두 채팅 기능을 구분하여 관리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하여 


다음과 같이 요청을 드렸습니다:

DB 모델을 공통으로 사용하지 않고 분리하여 개발
API 및 소켓 통신 로직을 각각 분리하여 개발


하지만, 소켓 통신은 한 곳에서 관리해야 하는 구조였기 때문에,

 결국 소켓 통신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수정해야 했던 

아찔한 순간이 있었습니다. 




� 똑개팀의 한마디!


2023년 10월에 시작한 프로젝트가 

2024년 7월 부터는 본격적인 운영 개발에 돌입해, 

마침내 2025년 3월을 맞이하여 완료하게 되었는데요! 


오랜 시간 많은 분들이 함께한 장기 프로젝트였기에 더 뜻 깊습니다. 

특히 처음 시작 때 부터 끝까지 마무리해주신 

태훈님, 세민님 정말 고생 많으셨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PM 양지은님-



� 당신의 비전을 성공적인 제품과 비즈니스로 완성시킵니다.
사랑받는 IT 비즈니스를 향한 첫 스텝, 똑똑한개발자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마누스(Manus)AI는 다양한 모델에 의존하는 짝퉁?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