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단어들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영 Jul 16. 2024

단어 27

: 귀찮음, 귀찮아서 살고 싶지 않다.

«귀찮아서 살고 싶지 않다.»

«귀찮음»은 진실로 살고 싶지 않은 이유가 될 수 있다. 귀찮음은 말 그대로 ‘귀하지 않음’을 뜻한다. 일하기가 귀찮을 수도, 말하기가 귀찮을 수도, 밥 먹기가 귀찮을 수도, 어떤 사람이 귀찮을 수도 있다. 그러나 내가 느끼기에 ‘살고 싶지 않음’이 뜻하는 바와 가장 가까운 것은 귀찮은 어떤 것도 특정할 수 없을 때, 공허함 그 자체가 귀찮을 때다.


 의미도 행동도 느낌도 없는 그 텅 빈 감옥에 대한 귀찮음. 이 느낌은 어떤 느낌이라고 말할 수 없을 만큼 모든 것이므로 « 아무것도 느껴지지 않는다 »고 말할 수밖에 없고 세상에서 배운 어떤 의미도 붙잡지 못하기 때문에 « 아무 의미도 없다 ». « 무감각 »과 « 무의미 »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한 없는 무거움과 한 없는 가벼움의 역설에서 벗어나기 위해, 언제나 « 어떤 » 느낌을 그리고 « 어떤 » 의미를 찾아 떠난다.

나는 « 어떤 » 의미를 붙잡을 때면 동시에 불안해졌다. 그리고 다시 무 감각과 무 의미로 떨어졌다. 그곳에는 나의 삶의 « 의미 »가 없다. 그곳, 혹은 « 아토포스 atopos », « 비-장소 »에 의미가 아닌 «삶»이 있다. 내가 귀하지 않다 여긴 것은 삶 그 자체다.

그러나 삶이 귀하지 않다고 느끼는 것이 죽고 싶다고 느끼는 것은 아니다. 나는 죽음이 무엇인지 모르고 삶의 끝이 무엇인지 모른다. 타인의 죽음은 나의 죽음에 대해서 거의 아무것도 알려주지 않는다. « 타인의 죽음 »은 오히려 « 나의 죽음 »과 가장 먼 의미의 지점이다.


« 타인의 죽음 » 나에게 « 어떤 »의미를 갖는 « 타인 »의 죽음을 말하는 것이라면 « 나의 죽음 »은 의미하는 모든 것들의 사라짐을 넘어서, 달리말하자면 « 타인으로서의 나 »를 넘어서  « 무한한 무의미 », « 영원한 무감각 »의 사라짐을 말하기 때문이다. 내가 죽기를 바랄 수 있다면 « 타인으로서의 내 »가 죽기를 바랄 수 있을 뿐이다. 의미 너머의 삶, 역설자체는 내가 가리킬 수도 원할 수도 없을 정도로 나와 붙어있다.

그러므로 내가 온전히 살고 싶지 않음을 느끼는 것은 « 나의 죽음 »을 바라는 것과는 다르다. 오히려 나는 이 « 무의미 »와 « 무감각 »에서 삶을 오롯이 « 느낀다 ». 문제는 삶의 오롯한 느낌을 느끼는 그 자체가 아니라 이 오롯함을 귀찮게, 귀하지 않게 여기는 것이다. 여기에 공허한 고통이 있다. 과제는 다시 삶이 아닌 삶의 《의미》를 다시 찾아 떠나는 것이 아닌, 오롯한 삶을 어떻게 긍정하느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단어 26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