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사전 준비 요령 및 지진 발생 직후 행동 요령
며칠 전 집으로 우편이 도착했다.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정기적으로 발간하고 있는 잡지였다. 잊을 만하면 오는 게 꼭 전기세 통지서 같다..(negative) 그런데 잡지 제목이 내 시선을 사로잡는다. '외국인에게 친화적인 도시 만들기를 위한 조사 결과'라니 안 보고 배길 수 있나.(근데 저 모르게 언제 조사하셨어요.. .)
한 조사 결과가 흥미로웠다. '생활 속에서 불편함을 느끼거나 곤란한 일이 있으신가요?'라는 질문에 가장 많은 답변은 역시나 '공적인 절차를 모르겠다', '공적인 절차나 생활에 문제가 생겼을 때 상담처를 모르겠다'. 예상대로군. 그런데 그다음으로 많은 답변이 '재해(지진, 태풍, 폭우 등) 시 안전에 관한 사항'이었다. 의외인데?라는 생각도 잠시, 이내 고개를 끄덕였다. 맞다, 여기 일본이지.
일본은 세계에서 자연재해가 가장 많은 나라다. 지금이야 지진을 여러 번 겪었지만 유학 시절에 처음 지진을 겪었을 때 너무 놀라서 우왕좌왕했던 기억이 있다.
얼마 전 작년 한 해 동안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 관광객이 무려 882만 명이라는 기사를 봤다. 언어조차 잘 통하지 않는 외국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더욱 대처가 어려울 터! 이번 글은 일본에 온 여행객들이 미리 지진 대처법을 알고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지진 사전 준비 요령 및 지진 발생 직후 행동 요령, 긴급 비상연락망에 대해서 소개한다.
IOS 경우 한국 계정으로도 다운로드가 가능한 어플을 소개한다. 일본 여행 전 미리 다운로드할 것을 추천한다.
NHK WORLD JAPAN
IOS 또는 Android OS를 탑재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으로 시청 가능하며 이동 중이거나 텔레비전과 라디오가 없는 장소에서도 대응하는 단말기가 있으면 다언어로 생방송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Safety tips
관광청이 발신하는 외국인 여행자용 푸시형 정보 발신 앱이다. 외국인 여행자를 위하여 긴급 재해정보를 외국어로 알려준다.
Yurekuru Call(ゆれくるコール)
일본 지진 조기 경보 어플이다. 일본 기상청(JMA)의 지진 경보 시스템을 기반으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알림 설정 방법
우선 가장 중요한 긴급 지진 속보 알림을 설정하기 위해 Yurekuru Call에 접속 후 오른쪽 상단의 톱니바퀴 마크를 눌러 설정 화면으로 이동한다.
집 표시 마크를 선택해 자신의 위치를 설정한다.
이때 통보 진도 설정을 함께 할 수 있다. 긴급 지진 속보는 최대 진도가 진도 5약 이상으로 예상된 대지진의 경우에만 전달되는데, 몸에 느껴지는 지진경보를 모두 수신하고 싶다면 '진도 2~3 이상', 물건이 쓰러지거나 대책을 세워야 할 정도의 것만 수신하고 싶다면 '진도 3~4 이상'으로 설정해 두면 누락 없이 통보를 받아볼 수 있다.
참고) 00000JAPAN(파이브제로재팬) : 일본에서 대규모 재해나 통신 장애 시, 정보 수집이나 안부 확인 등을 지원하기 위해 무료로 제공되는 무료 와이파이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의 무선 LAN 연결 화면에서 '00000JAPAN'을 선택하기만 하면 이용할 수 있다. 이용 등록은 필요 없고, 아이디나 패스워드 입력도 불필요하다.
주요 긴급 연락처
✔ 경찰서 110(원칙적으로 일본어만 대응)
✔ 소방서 119(원칙적으로 일본어만 대응)
✔ 일본 내 대사관 총영사관 목록
✔ 외교부 영사콜센터(한국)
영사콜센터는 해외에서 사건·사고 또는 긴급한 상황에 처한 우리 국민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연중무휴 24시간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0년 11월부터는 카카오톡으로도 영사콜센터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화 +82-2-3210-0404
✔ 긴급 재해 지원 무료 전화 통역(일본)
2024년 노토 반도 지진에 따른 외국인 피해자를 위한 무료 전화 통역 서비스를 연중무휴 이용 가능하다.(한국어 지원)
・전화 +81-3-5366-6076(03-5366-6076)
Drop, Cover, Hold On 원칙
지진의 흔들림을 느낀다면 바로 무엇을 해야 할까. 중요한 것은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자신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다. Drop, Cover, Hold On 원칙을 소개한다.
Drop(드롭/우선 낮게), Cover(커버/머리를 지키고), Hold on(홀드 온/움직이지 않는다)
✔ Drop(드롭/우선 낮게)
자세를 낮추는 편이 무게중심이 낮아져 넘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Cover(커버/머리를 지키고)
위에서 떨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에 주의하여 몸, 특히 머리와 배를 보호한다. 일본 학교에서는 '무당벌레 포즈(だんごむしのポーズ)라고도 불린다.
튼튼한 책상이 있을 때는 책상의 대각선 위의 다리를 잡고 자세를 낮춘다. 책상이 흔들림으로 인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책상이 없으면 헬멧을 쓰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없으면 방석이나 베개로 머리를 지키고 몸 전체로 배를 보호한다. 머리나 배에 부상을 입으면 움직일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출퇴근 중이나 등교 중이라면 가방이나 책가방 등을 사용한다. 아이가 있는 경우에는 어른이 몸을 덮어 준다.
✔ Hold on(홀드 온/움직이지 않는다)
다음에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할지 생각하면서 흔들림이 가라앉기를 가만히 기다린다. 강한 흔들림이 수십 초 지속된다면 지진해일(쓰나미)이 올 수 있으므로, 바로 피난을 시작하기 위한 마음의 준비를 한다.
✔ 자신의 몸을 보호한다
선반이 쓰러지거나 물건이 떨어지기도 하므로 튼튼한 테이블이나 책상 밑에 들어가 스스로의 안전을 확보한다.
✔ 화재 등에 주의한다
불씨에는 다가가지 않도록 한다. 흔들림이 진정된 뒤,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스레인지의 불 등을 끈다.
✔ 출구를 확보한다
문이 어그러져 열리지 않을 수 있으므로, 문이나 창문을 열어 대피하기 위한 출입구를 확보한다.
✔ 당황하며 대피하지 않는다
실내에 있는 편이 안전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서는 실내에 머문다. 단, 쓰나미가 올 것 같을 때는 즉시 대피한다. 바깥으로 대피할 때는 바깥 상황을 잘 확인하고 대피한다. 바깥은 건물의 잔해나 유리 파편 등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반드시 신발을 신고 대피한다.
✔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을 때 지진이 일어난 경우, 모든 층의 버튼을 누르고 가장 가까운 층에서 내린다. 문이 열리지 않을 때는 긴급연락 버튼을 누르고 구조를 기다린다.
✔ 건물 밖에 있을 때
건물에서 유리창이나 간판 등이 떨어질 위험이 있다. 손과 소지품으로 머리를 보호한다. 또한 벽이 무너지거나 자동판매기, 전봇대 등이 쓰러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넓은 장소로 대피한다.
✔ 운전 중일 때
당황하며 갑자기 자동차를 멈추지 않는다. 조금씩 속도를 늦추면서 도로 왼쪽에 자동차를 세우고 시동을 끈다. 흔들림이 진정될 때까지 차 밖으로 나가지 않는다. 피난 시에는 열쇠를 꽂은 채로 엔진을 끄고 걸어서 피난한다.
✔ 버스나 전철을 타고 있을 때
손잡이나 난간을 꽉 잡는다. 마음대로 차량 밖으로 나가지 말고 직원의 지시를 따른다.
✔ 지하에 있을 때
유도등이나 피난 유도자의 지시 하에 벽을 따라서 대피한다.
✔ 사람이 많은 시설에 있을 때
당황하며 출구 쪽으로 달려가지 말고 직원의 지시에 따라 대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