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권키위 Feb 16. 2023

대상화 없는 사랑

 사람이  사람을 대하는 방식은 대상화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우리는 서로의 일부만을 떼어내 그것만을 돌려보며 서로에 대해 규정한다. 성별,  나이, 외모, 출신지만으로 그 사람의 성장 배경과 성향, 가치관을 유추할 수 있다고 자만하곤 한다. 그렇기에 보이는 면면이  규정하는 범주 안에서-그것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상대에게 나를 설득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미디어는  사람으로 움직이고, 그 자체로 사람을 소비한다. 해시태그 안에서 우리는 대상화된 우리 스스로를, 혹은 대상화된 타인을 발견한다.  미디어와 현실의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그 경향은 더욱 커졌다. 우리는 우리가 보여주고 싶은 것들만 모아 잘 정제된 형태로  게재하고, 모나고 각진 부분은 덮어 씌운 채 들키면 안 되는 것인 양 숨기곤 한다. 미디어가 아니더라도, 대인관계에서 이는 중요한  메이크업이다. 하루에도 여러 명의 사람들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만나면서, 우리는 자연스레 대상화하는 눈을 가지게 된다. 그  사람의 행동이나 보이는 모습에 따라 몇 가지 해시태그를 매기고, 그 사람의 언행의 근간을 거기서 찾곤 한다.


  그러나 물질화되고 유형화된 속성들 만으로는 한 사람을 완벽히 정의할 수 없는 법이다. 사람은 내러티브narrative적인  존재이고, 규정할 수 없는 흐름이다. 영화의 스틸컷만을 보고 감상을 논할 수 없듯, 사람을 알기 위해서는 그 사람을 뒤덮은  분류지가 아닌 그 사람 자체를 봐야 한다. 곧 사람을 대상화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 사람을 나와 같은 인격체로서 존중한다는 것이다.


  사람을 대상화하지 않고 마주하는 데에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 물살의 어느 시점만을 포착하여 그 방향을 알 순 없지만, 몇 시간  동안 관찰한 영상으로 예측하는 것은 가능하다. 오랜 시간 물살을 바라본 이는 계곡의 흐름을 알 수 있다. 곧 사람과 함께한 시간은  그 사람을 올곧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대상화 없는 사랑이란 규정과 판단이 배제된 관찰이다. 섣부른 이해도 공감도 아닌,  누군가를 정의하는 것은 무기한 보류한 채 그 사람을 인지하고 인정하는 것이다. 대상화 없는 사랑은 어떤 것을 평가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인정한다. 혐오가 낄 구석조차 없는 온전한 행위이다.


 나는 이것이 대부분의 문제의 해답이라고 생각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