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결 May 15. 2023

미하일 엔데의 '냄비와 국자 전쟁'

미하일 엔데의 '냄비와 국자 전쟁'에서 배우는 공존과 공생

미하엘 엔데, 미하엘 안드레아스 헬무트 엔데(Michael Andreas Helmuth Ende, 1929~1995)는 독일의  동화, 판타지 작가로 유명하며 연극 배우, 연극 평론가, 연극 기획자로도 활동했다. 1960년 첫 작품 '짐 크노프와 기관사 루카스'를 출간하고 ‘독일 청소년 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본격적으로 작가의 길을 걷게 되었고, 대표작으로 동화의 형식을 빌려 시간과 돈의 노예가 된 현대인들을 비판한 '모모'가 대표작이며 이외에 '끝없는 이야기', '마법의 설탕 두 조각' , '오필리아의 그림자 극장', '마법의 수프', '렝켄의 비밀', 보름달의 전설'등이 있다.


옛날에 가운데 높은 산을 두고 왼쪽 나라와 오른쪽 나라가 있었다. 가운데 산은 너무 높고 험준에 두 나라는 서로를 전혀 알지 못했는데 어느 날 두 나라의 왕비가 동시에 아이를 낳았다. 왼쪽 나라는 왕자를 낳아  '자피안'이라 이름짓고, 오른쪽 나라는 공주를 낳아  '프랄리네'라고 이름지었다.


왕실은 친척들에게 아기 들의 세례식 초대장을 보냈는데, 실수로 두 쪽 모두 '제르펜티네 이르비쉬'라는 고모에게만 초대장을 보내지 않았는데 이 13촌 고모가 유일하게 두 나라의 걸친 친척이었고 마녀였다. 양쪽에서 초대장을 받지 못한 고모는 화가 나서 불꽃 의자를 타고 날아가 고모는 왼쪽 나라에는 국자 하나를 선물로 주고 오른쪽 나라에는 냄비 하나 선물로 준다. 그런데 이 냄비와 국자는 짝을 이루어야  냄비에 맛있는 수프가 저절로 생기는 보물이었고 각각은 그 효력을 발생할 수 없었다.두 나라의 왕들은 냄비와 국자의 짝을 찾기 위해 나라 안을 샅샅이 뒤지고, 백방으로 수소문을 했지만 찾을 수가 없었다.


세월이 흘러 어린이가 된 자피안 왕자와 프랄리네 공주는 어느 날 두 나라 사이에 있는 산에 올라갔다가 산꼭대기에서로를 만나고 국자와 냄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게 되고 집으로 돌아가 각자의 나라에 냄비와 국자가 있다는 사실을 부모님께 말한다. 두 나라는 결국 모두를 차지하지 못하기 위해 전쟁을 시작하고 그때 왕자와 공주는 냄비와 국자를 들고 산꼭대기에서 만나  냄비에 국자를 넣고 냄비에 맛있는 수프를 만들어낸다.


그러나 이내 두 나라는 전쟁으로 식량이 바닥나고, 백성들의 원성이 높아지자 결국 두 나라는 산꼭대기에서 회의를 하기로 결정했고 그 때 왕자와 공주가 맛있는 수프가 가득한 냄비와 국자를 가져와 허기진 사람들은 맛있는 수프를 배부르게 먹고 화해무드가 조성되어 왕자와 공주가 결혼하면서 냄비와 국자는 두 나라의 공동 소유가 되었다.


작품은 끝없는 욕심과 이기심을 비판하고 있다. 오로지 자신과 자신만 잘 먹고 잘 살면 된다는 그래서 남의 불행 따위는 아랑곳 없이 어떻게든 자신의 배만 불리려 애쓰는 이기심, 물론 그것이 인간의 본성이라고 한다면 인정할 수 밖에 없는당연한 것이겠지만 모든 것은 합법적이여야 한다. 두 나라의 왕은 보물을  손에 넣고자 전쟁을 일으키고 백성을 도탄에 빠뜨린다. 그렇다면 두 나라 왕자와 공주는 어떤가. 냄비와 국자를 합쳐 맛난 수프를 끝없이 만들어 내시 않았는가. 작품은 혼자 다 차지하려고 하는 것이 아닌  공존과 공생을 위해 서로 나누고 협력할 때 더 큰 복이 돌아온다는 당연한 진리를  알면서도 행하지않는 우리 들에게 다시 한 번 말하고 있는 것이다.

사진 전체 출처 네이버


이전 12화 슈테판 츠바이크의 '초조한 마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