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팀장 Jun 10. 2024

목수 강팀장의 목조주택 셀프 감리 가이드 4편 (벽체)

목조주택은 어떻게 지어야 할까. 건축주는 무엇을 해야 할까. 

이번 호에서는 건물의 구조를 이루는 골조 공사의 감 리에 대해 ‘목조주택 시공 매뉴얼(I.B.C. International  Building Code)’ 기반으로 국내 현실에 맞게 설명한 다. 그와 함께 필자의 생각도 짚어보려 한다.


건축주 스스로 감리하기 위해선  기본적인 목구조 명칭은 숙지하 는 게 좋다. 그래야 시공자와의  소통이 원활해질 수 있다. 특히  위 그림에 나와 있는 15개 정도는 알고 있다는 전제로 설명하고 자 한다. 콘크리트 기초 위에 이 전(5월호)에 다뤘던 토대를 시공 하고 벽(Wall), 장선(Joist), 지붕 (Roof) 순으로 목구조 골조 공사 를 진행한다.


목조주택 골조 공사에 대해 설명 할 때 자주 인용되는 유명한 말이  있다. “골조는 상식이다.” 이 말은 곧 인간은 전문가든 일반인이 든 기본적으로 구조가 안전한지 아닌지 를 판별할 수 있다는 뜻이다. 명확하게 근거 를 설명하지는 못해도 감으로는 어느 정도 알 수 있 다. 물론, 경험이 많은 카펜터(목수)는 구조에 대한  감각이 더 좋고 그 원인을 찾고 해결할 수 있다. 다 만, 시공 매뉴얼이 가장 잘 갖춰진 분야가 골조 공 사이긴 하지만 공사를 진행하다 보면 주택 구조상  매뉴얼에 나와 있지 않은 구조가 있을 수 있다.


구조목은 두께(단면)는 2×2(투 바이 투)에서 2×  12(투 바이 투웰브)까지며 길이는 8~20피트 (2,450~6,100㎜)가 생산되고 있다. 두께의 숫 자는 인치를 가리킨다. 목조주택에서 인치를 단위로 사용하는 이유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자재들이 전부 인 치로 생산되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생소하겠지 만 익숙해지면 오히려 밀리미터(㎜)보다 작은  단위 숫자를 사용해서 편할 때도 있다. 국내는 미 터법을 사용해 모든 도면이 ㎜로 표시된다. 그 래서 현장 팀장들은 인치와 미터 겸용 줄자로 현 장을 누비고 있다.


벽체 골조 명칭

목구조에서 벽은 건물 전체 하중을 지탱한다. 그 구 성은 스터드(Stud), 헤더(Header), 코너(Corner),  백커(Backer)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둥 역할을  하는 스터드(Stud) 간격은 16인치(406㎜) 혹은  24인치(609㎜)이다. 건물 하중을 직접 받는 외벽은 2×6인 경우 2층까 지 24인치 간격으로 공사 가능하며 3층 높이에 서는 16인치 간격으로 하면 된다고 매뉴얼에는  나와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보수적으로  접근해 대부분 16인치 간격으로 더 촘촘히 공사 하고 있다.



스터드(STud)

벽체를 이루는 기본 기둥이다. 통상적으로 외벽은  2×6를 내벽은 2×4로 구성된다. 스터드 길이는  92 5/8인치(2,352㎜)다. 이유는 단열재가 보 통 93인치(2,362.2㎜) 규격이고 석고보드 4×  8(1,220×2,440㎜) 사이즈 한 장 길이와도 일 치하여 재단 등의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효율성 이 높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규격을 일명 “표준  스터드”라 말하기도 한다. 표준 스터드로 시공하면 실내 벽 높이는 2,440 ㎜가 되는데, 만약 스터드 길이를 늘여 벽을 더  높이면 단열재와 인슐레이션을 잘라 써야 해서 (작업량과 로스율 상승) 공사비가 상승하는 요인 이 된다. 또한, 벽체 높이가 3m 이상일 경우는 스 터드 사이에 스터드와 같은 규격의 구조목으로  블러킹(Blocking) 작업을 해야 한다.



스터드 뚫기 규정

전기, 설비, 에어컨 배관 등의 공사를 위해 종종 스 터드를 뚫게 된다. 이때 내력벽인 경우 스터드 폭 의 40% 이하, 비내력벽인 경우 60% 크기까지만  작업해야 한다. 그 이상일 때는 스터드를 보강해 야 한다. 


헤더(header) 

출입문이나 창문 위쪽에 설치하면 2층이나 지붕 에서 내려오는 하중을 옆으로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헤더 구성은 2×10을 3장 붙이고 위아래로  2×6을 두거나, 2×12 3장으로 구성해도 무방하 다. 중요한 것은 경간 거리 규정에 맞게 설치하는  것이다. 2×10 3장으로 제작하면 경간 거리는  3.2m까지 가능하며, 2×12 3장으로 제작하면  3.7m, 4장으로 하면 4.3m 이내까지 경간 거리를  쓸 수 있다.


킹스터드(King Stud)  

헤더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 을 하며 헤더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밑으로 보 낸다. 


트리머(Trimmer) 

헤더를 밑에서 받쳐 고정하며 킹스터드와 같이 하 중을 밑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개구부 사이즈 가 1.8m 이상일 때는 한쪽에 2개 트리머가 필요 하고 3m 이상일 때는 3개여야 한다.


클리플(Cripple)

헤더 윗부분이나 창문 아래에 있는 짧은 스터드 를 가리킨다. 


탑플레이트(TOP Plate) 

스터드 위쪽 벽체 제일 윗부분을 말한다. 일반적 으로 구조목 2장을 붙이는데 아래를 탑플레이트  두 번째를 더블 탑플레이트라고 한다. 


버튼플레이트(Bottom Plate) 

스터드에 아래쪽 수평으로 된 구조목을 말한다.  그 아래에 토대가 있어 탑플레이트처럼 두 장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코너(Corner) 

건물 외벽 모서리를 코너라고 한다. 외벽의 결속 력을 강화하고 실내 쪽에서는 석고보드를 붙일  못자리가 확보될 수 있게 작업해야 한다. 그리고  코너 구조목 사이에 단열재를 얼마큼의 두께로 넣 을지, 외장재 시공을 위한 편의성을 더 고려할 것 인지를 생각해서 위에 나와 있는 코너구조를 선택 하면 된다.

위 그림 첫 번째는 가장 많이 적용하는 코너구조 다. 구조적 강도는 좋으나 단열재 넣는 두께는 다소 얇다. 두 번째는 단열재를 충분히 넣을 공간이 있어 단열을 강화하기에 좋은 구조다. 세 번째는  2×4로 된 실내벽 아웃 코너구조다. 건축주가 점검해야 될 사항은 ‘위 그림과 같이 시공되는가’다.


백커(Backer) 

백커는 외벽과 내벽이 만나는 지점 또는 내벽과  내벽이 만나는 지점을 말한다. ‘L’자 모양으로 만 들어진다. 역할은 벽과 벽의 결속과 석고보드 시 공 시 상을(못자리) 잡기 위해서다. 첫 번째 그림 처럼 2×6 외벽과 2×6 내벽이 만나는 지점은 스 터드를 한 개 더 붙여 시공해야 하며 2×6 외벽과  2×4 내벽인 경우는 2×6로 백커를 제작한다.


벽체 수직 

시공한 벽체 수직 여부는 레이저 레벨이나 혹은  수평 레벨기로 확인할 수 있다.



벽(wall)시공 디테일

아래 나온 세 가지 방법은 좀 더 나은 시공 방법을  ‘제안’하는 있는 것이지, 이렇게 시공하지 않는다 고 매뉴얼에 벗어난 방법은 아니라는 것을 미리  언급해둔다.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탑플레이트를 2장 시공하고 있다.  탑플레이트 연결은 꼭 스터드 중간에서 할 필요는 없으나 사진과  같이 시공하면 더 안정된 골조를 확보할 수 있다고 본다.


헤더 위치는 탑플레이트 바로 아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사진과  같이 극단적으로 아래에 위치한 창의 경우는 개구부 바로 위에  있어야 더 나은 시공이라 할 수 있다. 이유는 지붕 하중은 물론  벽체 하중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탑플레이트가 한 장인 경우는 꼭 장선(joist) 혹은  레프터(서까래)를 스터드와 나란히 위치해야 하지만 더블  탑플레이트까지 시공한다면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나란히 시공하면 더 안정적인 골조 공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전문 용어도 많이 나오기 시작하고 어려울것 같지만 글 초반에 언급했듯이 골조는 상식으로 받아드리면 될것 같다, 위 내용 암기하지 말고 현장에서 책을 보면서 감리 하기를 권한다.

작가의 이전글 목수 강팀장의 목조주택 셀프 감리 가이드 3편 (토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