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제노아 Dec 10. 2024

서울 강남 한복판의 식당도
이리 어려우니...

일상이 글이 되다 II

며칠 전 지인들을 만나러 강남 한복판에 자리한 3층짜리 고깃집을 찾았다. 3층 예약된 방으로 안내를 따라 올라가는데 이렇게 유동인구가 많은 곳, 게다가 저녁시간인데도 불구하고 1층은 3 테이블, 2,3층은 거의 비어 있었다.


방으로 들어서니 내가 제일 늦은 듯, 지인들은 반갑게 맞아 주었다. 기업에서 중역으로 있는 지인도 있으나 대다수가 자영업을 하는 지인들이었다. 나이 때문에 그런 걸까, 최근의 사태 때문에 그런 걸까 연말 저녁 자리치곤 차분하였다. 얼굴에 나타난 표정들에서도 흥이 곁든 기운이 조금도 느껴지지 않았다.   


모여야 할 사람들이 다 모이자 저녁식사에 초대한 지인은 식당 주인을 자리로 초대하여 소개하였다. 초등학교부터 같은 동네에서 자라 반백이 넘은 지금까지 여사친으로 잘 지내고 있노라고, 무척 신뢰하는 친구라고 소개했는데 꽤 친한 모습이 느껴졌다. 오늘 모임의 목적은 오랜 친구인 이 식당 주인과 식당을 자주 이용해 달라는 부탁을 하기 위해서였나 보다. 나 역시 이 지면을 통해 그 식당을 직접 홍보해주려 한다. 손에 무언가를 받은 것은 아니지만 자영업자들이 살아야 한다는 목적에 동참하기 위해서다. (진미 언양 불고기 : https://g.co/kgs/NDK4EmV)


자영업으로 잔뼈가 굵은 이 식당 여주인은 자신의 고향인 부산에서 잘 나가던 학교급식 사업을 하였지만 인구수감소, 자재원가폭등, 치열한 경쟁 등 도저히 버티지 못할 지경까지 버티다 버티다 지난 6월 부산에서 사업을 접고 연고지도 없는 서울, 그것도 강남 한복판에 이렇게 커다랗게 식당을 차린 것이다. 여장부는 여장부다.


그런데 제 아무리 서울의 강남이라 해도 현실은 달랐다! 미래를 보고, 용기 내어 서울 도심지에 도전장을 던졌는데 식당을 연 이후 줄곧 경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브랜드나 음식맛, 레시피, 상권, 주인의 마인드와 같은 자영업과 사장개인의 기준이 문제가 아니었다! 그녀의 사업에 절대적인 승패를 좌우하는 것은 그녀의 통제밖에 있었다!  


그런데 장사가 안 되는 문제는 유독 이 식당만의 이슈가 아니었다. 인근의 가게도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고, 지난 4개월 동안 주인이 바뀌거나 업종이 바뀐 가게가 여럿 되었다. 그래도 제법 알려진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이 모여있는 거리임에도 어려움을 호소하니, 덜 알려진 곳의 자영업 상황은 충분히 가늠이 되었다. 결국, 서울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은 부산에서 겪은 것과 크게 다를 바가 없고 그 원인도 비슷함을 깨달았다. 경기침체와 맞물린 수요감소, 물가 및 재료비 인상, 높은 임대비가 어려움을 가중시켰고 유동인구 감소, 인근 회사들의 긴축재정은 결정타가 되었다. 그리고 동종업계의 난립과 경쟁은 제한된 시장에서 어려움을 가중시켜 결국, 자영업이 생존하기 무척 어려운 환경으로 치닫고 있었다.  




사업에서 힘들었던 시기에 대한 얘기와 자영업자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난 뒤, 주인은 맥주를 다시 들이켜고 한숨을 길게 내 쉬었다. 그 한숨의 깊이가 충분히 느껴졌다. 주인의 얘기를 듣고 나니, 뉴스에서나 듣던 자영업자의 어려움, 애환, 소멸 얘기에 대한 현실 자각의 정도가 달라졌다. 그리고 이 자리에 초대한 지인이 이 식당에서 모임을 하자고 한 이유를 알 것 같았다. 이 지인도 자영업을 하고 있기에 자영업 애환에 대한 현장 얘기를 들어보라는 뜻이 있었던 것 같다. 저녁을 마친 후, 계산하려고 서로 카드를 내밀었으나 주인이 모든 것을 계산하였다. 대신, 회사에서 모임 기회가 있으면 자기 식당을 찾아 달라고 당부하였다. 역시 배포가 큰 여장부 사업가의 느낌이 맞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국 경제를 받치고 있는 자영업 문제는 하루이틀의 얘기는 아니고 2016년 이후부터 지속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통계를 살펴보면, 23년 말 기준, 소상공인 사업체가 412만 개이고 소상공인 수가 720만 명에 달한다. 그런데 올해 유달리 소상공인의 몰락 속도가 빠르다. 서울시 기준으로 24년 1사 분기에만 6,000여 곳이 폐업을 하였는데(폐업률 9.5%, 92만 명의 폐업자가 발생) 이는 4년 만에 최대 규모다. 총 소상공인 대출은 23년 기준으로 1,056조로 4년 전 대비 50%가 늘었고 대출 연체율은 지속 상승하는데, 한은 발표자료에 의하면 자영업자(소상공인) 대출 연체율은 2022년 2분기 말 0.5%에서 올해 1분기 말 1.52%로 가파른 모습이다. 같은 기간 전체 가계 대출 연체율 증가 (0.49%에서 0.84%로)보다 3배 가까이 빠른 속도이다. 재료비 상승, 가격 상승, 구매 감소로 이어지는 한국 경제 침체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것이다. 아직은 버티고 있지만 곧 더 많은 소상공인들이 폐업을 하게 될 상황은 충분히 예견할 수 있다. 24년 말, 소상공인 통계 결과가 어떠할지 짐작이 된다.   


최근 들어 상가 곳곳에 ‘임대문의’ 네 글자가 붙어 있는 걸 쉽게 보게 된다. 일반 동네뿐만 아니라 일명 서울의 핫플레이스로 불렸던 신촌, 홍대, 경리단길, 가로수길 등에도 공실이 점점 늘어가고 있다.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았던 자영업자들이 몸을 추스를 틈도 없이 경기침제와 高물가, 高금리, 高환율이 파도처럼 덮치며 이들을 사지로 내몰고 있는 것이다. 




터키 사례에서 소상공인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회사 일로 터키에서 2016년부터 5년간 살았다. 그 5년 동안 터키가 어떻게 무너지는 것을 똑똑히 보았다. 2016년 환율은, 1달러에 2.6 리라(터키화폐)였다. 그 당시 1달러에 3.0리라가 넘어가면 대공황이 온다고 난리가 났었다. 그런데 2021년 내가 다른 국가로 이동할 때 환율은 1달러에 8.4까지 올라 무려 3.3배가 하락했다. 이자율은 26%였고, 인플레이션은 30%를 넘었으며 부동산 가격은 천정부지로 올랐다. 그야말로 경제 패닉이었다.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3고 현상과 유사한 듯했다. 이때부터 소상공인들이 급격히 무너지기 시작했고, 문을 닫거나 업종을 변경하거나, 다시 취업전선으로 뛰어드는 현상이 연쇄적으로 일어났다. 참고로 터키에서의 소상공인 비중은 30%가 넘어 한국 보다 5% 이상 높고 지역경제의 중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어려운 시기를 겪은 후, 2024년 지금은 어떤가? 결론은 전혀 여건이 나아지지 않았고 오히려  더 악화되었으며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러-우 사태를 계기로 관광객이 늘어 국가가 제법 돌아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참담한 수준이다. 환율은 2024년 현재, 1달러에 34리라 수준이다. 16년 대비 13배 가치가 하락했으니 말이 안 되는 수준이다. 다른 모든 경제 지표도 말할 필요도 없이 악화로 치닫고 있다. 국가는 생명 유지 장치로 목숨은 부지하고 있지만, 국민들은 중환자실에 있는 셈이다. 그리고 터키 경제의 근간인 소상공인은 완전히 무너졌다. 국민들 자체가 수요를 만들지 못하는데 어찌 소상공인이 생존할 수 있겠는가? 관광객들은 터키에서 물건을 구매하지 않는데 어찌 생존할 수 있겠는가? 터키 소상공인과 한국 소상공인 모습이 유사하여 눈앞에서 겹쳐진다. 




미국 회사인 맥도널 햄버거 스토아가 전 세계에 34,000개가 있다고 한다. 그런데 한국에는 치킨집만 37,000개라고 한다. 386 세대가 대거 퇴직으로 몰리면서 살아보겠다고 자영업 창업을 하지만, 구조적인 모순에 빠지는 형국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예이다. 이 사례는 정치와 맞물려 어려운 상황, 즉 침체에 몰려있는 한국경제의 여파가 고스란히 소상공인에게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경제의 3高 현상의 파고도 고스란히 소상공인에게 먼저 닥친다. 반면 **필드는 여전히 붐비고 개인 맞춤형 음식 코스를 경험이라는 이름으로 제공하는 고가 식당은 예약하기도 힘들다. 양극화가 심화되는 현상을 피할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라고 하기엔 너무 고통스러운 모습니다. 한국경제, 한국사회, 한국 정치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모순, 지혜롭지 못한 모습, 이기적인 모습이 만들어 내는 고통이다.


하루빨리 이 구조적인 모순을 해결해야 한다. 터키 사례에서도 봤지만 소상공인이 무너지는 것을 그대로 두면 전체 경제는 더 악화되고 종국에는 국민의 고통으로 고스란히 돌아간다. 터키가 구조적 모순에 빠져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볼 때, 우리의 가까운 미래가 자연스럽게 보인다. 여러 전문가들이 얘기하는 것을 간과하면 안 될 듯하다. "자영업자가 무너지면 지역경제 뿌리가 흔들리므로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어야 하고, 정치에서도 민생을 우선 챙겨야 한다. 그리고 우리 스스로 중심 잡고 어떤 선택을 해야 경제에 기여하는 것임을 판단해야 한다”


진정, 우리 스스로 중심 잡고 역할을 해줘야 소상공인들이 살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래 지인의 말이 우리가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를 알려주는 듯하다. 


독서모임 좌장인 교수는 이 이야기를 자주 한다. ‘나는 별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존재는 아니지만 대형마트나 스타** 같은 재벌들의 부를 불려주는 곳으로 장 보러 가지 않습니다. 브랜드의 옷이나 화장품, 가구도 없고 일상도 그렇습니다. 매번 재래시장을 가지는 못할지라도 없으면 없는 대로 살고, 가까이에서 급하게 필요하다면 동네 야채가게를 갑니다. 뭔가 큰 뜻을 지닌 것은 아니지만... 내가 할 수 있는 '기여'라는 것이 이런 거더라고요. 그저 이왕이면 나 같은 서민들 가게를 이용하고, 되도록이면 분리수거나 좀 더 철저히 하고... 그냥... '부의 독식'시대에서 생존해야 하고, 잘 살고 싶고, '부'를 가진 자들이 좀 나누면 좋겠고... 그런 실천이죠. 부자들 험담도 싫고 가난한 자들 동조도 싫고, 그저 내가 할 수 있는 선에서 해야 한다면 하는 삶을 사는 것. 이게 지금 최선이 아닌가 싶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