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이 글이 되다 II
20여 년의 해외 생활을 정리하고 한국으로 복귀한 지 벌써 1년이 지나간다. 회사에 적을 두고 있지만 자유로운 신분이기에 이것저것에 관심을 갖고 한국 생활 정착에 필요한 것을 채워가고 있다. 최근 트렌드를 얘기하는 강연장을 찾고, 여러 분야의 지식인들과 성공한 사람을 만나고, 스타트업을 시작한 후배들이나 회사동료와의 만남을 통해 못해봤거나 놀랐던 영역에서 배울 것을 찾는다. 그리고 배움을 체계적으로 하여 학위를 받고자 대학에서 공부도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즈음 새벽녘에 깜짝 놀라 눈을 뜨게 되는 날이 잦다. 꿈 내용이 불편하여 깰 때도 있고, 자는 행위가 낭비라는 생각에 깰 때도 있고, 불안한 감정과 무거운 마음 때문에 깰 때도 있다. 하루 밤에도 여러 번 깨니 깊은 수면을 취할 수가 없다. 아침이면 몸마저도 무거워 일어나서 움직이는 것도 불편하다. 무엇이 이런 상황을 만드는지 곰곰이 생각하니, 조급한 마음과 편치 않은 생활 리듬 때문인 듯하다. 왜 이런 조급함과 불편한 생활 리듬이 생겼는지 귀국의 시작점으로 돌아가 되짚어 본다.
연초, 한국에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할 때 이제는 자유로운 시간을 활용하여 해야 할 것과 하고 싶은 것을 할 것이라 다짐하고 여러 플랜을 세웠다. 나에게 퇴직 이후의 삶은 새로운 기회와 가능성의 시기가 주어진 것이기에 하루를 유익하게 보내기 위해 매일의 루틴을 세웠다. 일어나는 시간부터 책 읽고, 글 쓰고 운동하고, 명상하고 또 새로운 시도에 도전하는 것까지. 그래서 더 전문적인 공부를 위해 대학원으로 가는 시간까지 쪼개어 정성을 다해보고자 했다.
그리고 월별로 도전할 플랜도 세워 몰랐던 영역을 배우고자 투자도 서슴지 않았다. AI를 배우고, M&A 강의를 듣고, 스타트 업 자문을 하고, Insight Forum에 참여하고, 건축 기행을 하고, 매월 철학 특강에 참여하고, 30년 이상의 경험을 모아 책을 출간하고 그리고 틈틈이 아내와 여행을 하고자 했다. 꽤 긴 시간을 회사 일과 역할에 얽매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살다 보니 하고 싶은 것, 언제 가는 해야 할 것에 대해 생각을 접고 있었다. 그러다 퇴임을 하고 자유로운 시간을 갖고서야 시도를 해보고자 세운 플랜이었다.
근사한 플랜을 세웠고 나름대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행위들을 해오고 있는데 왜 1년에 근접한 시간을 보낸 지금 시점에서 조급한 마음과 불편한 생활 리듬이 생겼을까? 무엇 때문에 잠을 제대로 자질 못하고 꿈에서 조차 불편한 마음이 그대로 드러날까? 12월 1일, 한해의 마지막 달을 시작하는 날 이 불편한 감정, 마음 때문에 화는 왜 이리도 치밀어 오르는 것일까? 무엇이 나를 이렇게 불편하게 만드는 것일까? 감추려 해도 잘 안 되는 이 감정의 실체는 뭘까?
곰곰이 생각하니 특별히 이룬 것이 없다는 상실감, 스스로에 대한 실망감, 부족함에 대한 현실감인 듯하다. 1년이 지났지만 플랜대로 뚜렷하게 한 것이 없다는 현실, 하려고 했던 것을 해보겠다는 굳은 의지가 없었던 부실한 자신, 해보지도 않고 여전히 안 하고 있는 자신에 대한 비판, 같은 1년의 시간에도 꾸준함으로 성취하는 사람들이 여럿이라는 사실에 대한 불편함, 열정이 사라져 가는 자신에 대한 실망 그리고 오랜 기업 생활에서 물든 습관으로 일을 안 하고 쉬는 듯한 일상이 주는 거부감 인 듯하다.
급기야, 게을러지는 몸과 정신, 약해지는 의지, 떨어지는 열정에 두 눈을 부릅뜨고 나무라지만 현실은 이미 그 선을 넘어서고 있으니 한편에는 불안감마저 싹트고 있다. 불안감 이놈은 잡초 같아서 어지간한 방법으로 제거가 안되는데, 싹이 트고 있으니… 불안이 몰려오면 맞상대하여 그 불안에 먹이를 주지 말고 그냥 지나쳐 가게 하라는 조언이 있음에도, 싹트는 불안감을 다스리지 못하고 빈틈을 열어주니 일상이 몹시 흔들린다.
하루는 무척 바쁘다. 여러 가지를 하고 있으나, 나는 그것이 완성되지 못한 채, 자전거 바퀴가 체인이 빠져 헛돌 듯이 겉돌고, 겉핥기만 하고 있음을 안다. 이쪽도 저쪽도, 이것도 저것도 깊이가 없이 언저리 어디쯤에서 머뭇거리고 있음도 안다. 결국, 일상은 바쁘나 그 속의 내용물이 부실함을 안다. 겉돌고 채워지지 않으니 마음만 조급해지고 흔들린다.
지난 35년의 부지런함, 열정, 독기, 성취욕도 어느새 사라져 간다. 일을 손에서 놓은 지 1년이 채 안된 시간에 본연에 숨어 있던 부실하고 나태한 모습이 벌거벗듯 드러나는 느낌이다. 브런치 글을 통해 도전하자고 강조하고, 지나온 시간보다 더 많이 남은 시간을 준비하자고 독려하며, 배움에 주저하지 말고 실행은 도발적으로 하자고 외치면서도 나는 나태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율배반적인 행동을 하고 있으니 실망하게 된다.
그럼에도 마음 한 구석은 이 모습들은 나의 본모습이 아니기에 다시 정신을 차려야 한다고 타이르고 있다. 더 이상 나태해지면 안 되기에 나를 거칠게 몰고 가야 한다고 독려하고 있다. 상실감, 실망감, 현실감을 해부하여 지금을 직시하고 나태함, 부실함과 타협이 없어야 하기에 다시 독해져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그리고 어제와 같아서는 더 무너지기에 다른 오늘을 만들어야 한다고 책려하고 있다.
경륜, 경험을 떠나 나는 더 자극을 받아야 한다. 그리고 나 자신에게 과거보다 더 독해야 한다. 나태한 것과 타협하지 않아야 가는 길을 뚜렷이 볼 수 있다. 1년을 헛되이 보낸 듯하다는 생각, 하려고 하지 않았다는 생각, 성취한 사람에 대한 불편한 생각, 쉬고 있으면 불안하다는 생각을 누그러뜨리고 중심을 다시 잡아야 한다. 그리고 자신이 잘하고 있다는 독려의 불쏘시개를 지펴야 다시 발걸음을 재촉할 수 있다. 경주마는 달려야 가치를 정할 수 있고, 자전거는 서지 않아야 넘어지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지금은 상실, 실망, 불편함, 나태함의 기운이 더 크기에 독려, 자극, 독함의 기운이 가려져 있다. 이 가려진 기운을 불러내어 불편한 감정을 다스리고 더 자극을 받기 위해 브런치 작가 지담의 글을 자주 읽는다. 절제된 욕구, 꾸준함, 독한 실행, 자신과 타협 없는 전진, 그리고 깊이 있는 철학으로 하루하루 새 기록을 만들고, 쓰고, 갱신하는 작가의 글이다. 그녀의 행보, 철학을 담은 글은 나의 정신을 깨워준다.
5년의 독서 모임, 2년간 지속 매일 새벽 4시 기상, 5시 브런치 글 발행_1009편 글 발행, 그리고 끊임없는 독서와 글쓰기, 지독한 루틴 실행을 통해 그녀는 꿈을 실현하고 생각을 현실화하고 있다. 삶에 대한 깊은 성찰로 스스로 갈 길을 열어 가며, 일상에서 부딪히는 모든 현상에서 큰 기운의 메시지를 찾아내어 그때마다 새로운 깨달음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그녀의 글은 힘이 있고 그 힘이 전달되어 깨달음이 공유되고 마치 공진화하는 듯하다.
불편함, 불안, 그래서 나 스스로에 대한 배신감까지 드는 이 감정을 나는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이유는 이 감정들이 모두 내게 알려주는 것은 일관되기 때문이다. 그동안 정말 열심히 달려왔다. 경주마처럼. 하지만 경주마도 먹고 쉬어야 할 때가 있는 법. 지난 1년, 혹여 내가 간과한 것이 있다면 이미 경주가 끝났는데도 쉬지 않고, 충전 없이 곧바로 달려가고자 하는 조급함에 자신을 방치했던 것이 아닐까. 1년. 길지 않은 시간이었다. 그래서, 나는 오히려 이 불안, 불편, 배신감이 '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안 해야 하는데도 해서'라고 해석해보려 한다. 그렇다면 이제 이 감정은 오히려 '많이 하려 했으나 적당히 해낸 것'에 대한 칭찬이 아닐까 한다. 경주는 또 시작된다. 이제 쉼을 멈추고 달리기 위해 마지막 충전으로 무엇을 해낼 것인가에 초점 맞춰야겠다. 그러니 지난 1년, 참 잘해온 것이다. 불편, 불안, 배신이 내게 알려준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고 나는 다시 달릴 준비를 하련다.
긍정의 기운을 살리고 다시 깊은 수면을 하도록 헝클어진 것들을 원래 자리로 돌려놓아야 한다. 마음을 다스리고, 불안한 감정이 파고 들 틈을 다시 메우고, 1년의 시간 동안 부족했던 영역들을 다시 채워야 한다. 연초, 한국 생활 시작 시기로 돌아가 그때의 계획들을 다시 불러와 어그러진 수레바퀴들을 수리하고 다시 길 위로 올려놓아야 한다. 그리고 중심 단단히 잡고 인생 나머지 반 바퀴가 알차도록 나아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