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별 Aug 09. 2023

밥이 똥인데

위로 먹고 아래로 싸는 이치

나는 친정어머니와 시어머니 두 분 다 대소변을 받아냈다.


시어머니는 중풍이셨는데 7년 정도 거동이 불편하셨다.

친정어머니도 돌아가시기 전 내 집에 모셔서 돌봐드리다 하늘나라 가셨다.

똥이 촌수를 가리니 괜찮다며  

나를 낳아주신 어머니똥인데 내 기저귀 갈아준 것만 해도

나는 어머니 기저귀 수발 더 할 수 있다고 되뇌며

힘들어도 나름 잘 해내었다.


불가에서 말하듯이

색공이 불이하니

不二라~~

둘이 아니다. 


물질과 정신이 둘이 아니고 하나이듯이

밥과 똥이 둘이 아니라 하나니

그래서  불구부정, 더럽고 깨끗함이 없


 




그런데 문제는 이제 내가 대장암 판정을 받고 나니 그간  대수롭지 않게 여기든 변비문제가 더 심각하게 다가온다.


몸 안에 노폐물이자 독소가 나오는 변을 계속 장 속에 두고 있다니! 그 심각성을 이제는 확연히 인식하게되자 변비를 해결하려고 백방을 해 본다. 남편은 당장 미역과 마를 갈아 아침마다 코 앞에 들이대고 그 외에도 생고구마, 사과주스등 이거 저거 챙겨주는데 일주일이 다 되도록 시원하게 변를 못 보니 답답하기만 하다

아침저녁으로 변 본 이야기가 일번 뉴스고  밥 먹으면서도 밥상머리 주제가 당연히 배변 이야기다. 


그럴적 마다 나는 밥 먹을 때 똥 이야기 굳이 해야 하냐? 며 짜증을 내는데 그러던 남편이 오늘은 밥 먹다가 또 욕실 배수관 이야기를 다. 욕실에서 올라오는 냄새를 추적해 보니 하수구 배관에 문제가 있다며... 아 이제는 변 이야기에 이어서 하수구까지.... 밥 먹다 왕짜증이 올라와 두 팔로 엑스자를 그으며 남편에게 이제 제발 그만하라니 남편도 그제사 눈치를 채고 멈춘다.     


말로는 밥이 똥이다~라며  불이를 외치고 우리 안에 똥을 다 안고 면서 뭐가 더럽냐? 이런 말을 곧잘 하곤 했는데... 변비문제로 식탁에서 매 번 이건 섬유질이 많아 변비에 좋으니 먹으라 하고 몇 날 며칠을 변비 관련 강의로 열변을 토하니 밥 먹는 시간만이라도 좀 그 응가 문제에 신경을 안 쓰고 싶었다.     


사람은 이성과 감정있고 그 둘은 엄연 다르고 그 사이 간극차이가 크다.


대부분의 우리는 이성으로 사고하고 판단하는 것 같아도 사실은 감정,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판단하고 결정하는 것이 더 한다우리가 의식하는 표면의식은 5%에 불과하고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무의식, 잠재의식은 95%라 하니 정말 더욱 그렇다.   

이성적으로는 밥이 똥임이 맞다. 그런데 그래도 밥 먹으면서 똥 이야기, 화장실 이야기 하기는 싫고 마뜩찮다.


입으로 들어가는 음식물은 항문으로 나와야 당연하다. 안 나오면 그게 기화되어 날아갈 것도 아니니 소변 아님 대변으로 나와줘야 한다. 그걸 순환이라 한다. 그런데 몇 날 며칠을 먹어도 못 내보내면 그건 하수구가 막힌 거니 정말 심각하다. 이미 내 보내는 방귀도 마치 우리 집 욕실의 불쾌한 냄새처럼 고약하다.

그러니 위아래의 순환, 먹은 만큼 내 보내는 이 일이 얼마나 소중하고도 중요한 지 정말 새롭게 깨닫는 요즈음이다.


위로 먹고 아래로 내 보내기는 순리요

자연의 법칙이다.

 밥이 똥이 되는 이치, 그리고 그 둘은  다만 시간적 차이와 과정이 있을 뿐 

원래 하나였기에 불이요 둘 다 불구부정이다.


밥이 깨끗하고 똥이 더럽다는 것도 안이비설신의 감각에 의존한 우리의 생각과 판단일 뿐일 것이다.    


어서 나도 변비탈출하고 시원하게 황금똥을 누고 싶다!


변비탈출을 위한 섬유질 많은 풀떼기 천국 밥상, 당분간 소화시간이 긴 육류나 몸에 안 좋은 당류,기름진 음식은 다 안/못 먹을 것이 되었고, 아마도 오랜동안 안 억을 것과 그리고 영영 안 먹을 음식도 있을 것이다.

이전 04화 사랑 앞에서는 모두가 감사하다~암 조차도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