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나를 만나다
“글쓰기는 해방입니다. 나를 풀어줘야 합니다. 스무 명이 배우는 글쓰기 수업에 와서 눈치 보고, 자기 검열하고, 자기 생각을 말이나 글로 표현하지 못한다면 나중에 불특정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책을 어떻게 낼 수 있을까? 내가 나를 풀어주고 자아를 해체해야 또 다른 내가 됩니다.”
- 은유, <은유의 글쓰기 상담소> 본문 중에서 -
늦봄이었다. <은유의 글쓰기 상담소> 한 책 읽기를 밴드에서 진행했다. 글을 쓰다가 생기는 고민과 궁금증 마흔여덟 가지에 은유 작가가 자신의 글쓰기 경험, 작가의 삶을 재료 삼아 이야기했다. “글쓰기 슬럼프를 어떻게 극복하나요?” “글감을 어떻게 고르나요?” “글 쓰는 시간을 사수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한 문장이라도 자기표현을 해본 사람이라면 해봤을 고민 등 글쓰기를 안내하는 길잡이 책이다. 누구나 한 번은 책을 읽는다. 읽기로 끝나지 않고 무언가 글을 쓰는 건 쉽지 않다. 글쓰기는 또 다른 나를 만나는 일이다.
최근에 도서관에서 글쓰기 6주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일반시민 대상으로 글을 쓰고 출판하는 과정이었다. 평소에 글쓰기를 했지만, 단기간에 글을 완성할 수 있을까 생각했다. 다행히 참여자의 대부분은 독서동아리에서 활동하며 한 번은 뵌 분이어서 다행이었다. “글감을 어떻게 고르나요?” 질문에 주제를 정하지 못하거나 글쓰기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고민하는 분을 위해 서로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질문과 대화하는 과정에서 미처 깨닫지 못한 부분을 알게 되고, 토론 후 상대방의 의견을 듣고 보니 생각이 전후로 바뀐 경우도 있다. 사고가 확장되는 질문의 힘이다. 미션으로 마지막 한 줄을 이어서 함께 써 내려가니 짧은 한 편의 글이 완성됐다.
늦은 오후였다. 간식을 대충 먹고 노트북을 켰다. 호기심을 유발하고 글에서 내가 쓰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생각하며 제목을 정했다. 첫 문장은 중요한데 어떻게 쓸지 고민했다. 전에 키워드를 떠올리며 점검했다. 무작정 초고를 써 내려가니 어느 정도 글이 완성됐다. 며칠 동안 묵혀둔 글을 다듬어볼까? 어떻게 완성 할지 고민했다. 글 한 편을 완성하는 노하우나 훈련법도 다르지 않다. 일단 목표한 분량을 써야 한다. 누군가는 글을 완성한 후, 독자와 나눌 만한 ‘알맹이’가 부족하다면 무엇을 더 해야 할지 고민한다. 책을 더 읽을지, 추가 자료를 찾아볼지, 취재를 나가거나 뭔가를 실행하고 다시 써보는 과정을 반복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나를 돌아보니 어느 날은 키워드가 미친 듯이 마구마구 잘 떠올라서 글이 잘 써지는 날이 있는 반면에 시간이 멈춘 듯이 글 한 줄도 못 쓰는 날도 있었다. 여행을 하면서 체크인이 있으면 체크아웃이 있듯이 글을 쓰면서 초고가 있으면 글에 마침표를 찍어야 한다. 글 마감 시간이 임박했다. 하루가 일 분처럼 24시간이 모자랐다. ‘전에 미리미리 글을 쓸걸. 여러 번 더 퇴고할걸.’ 조바심이 났다. 시간이 지날수록 어깨와 손마디가 뻐근하고 눈에 충혈이 생겼다. 자투리 시간을 쪼개고 쪼개가며 가까스로 원고를 마감했다. 밀린 숙제를 끝낸 듯 소화도 잘되고 한결 마음이 편안해졌다.
나를 만나는 글쓰기는 삶의 선물이다. 누군가는 자신과의 대화, 명상, 일기 쓰기, 예술 활동, 치유적인 활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만난다. 나를 만나는 시간은 단순히 혼자만의 시간이 아니다. 타인과의 대화와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삶을 살아가는 동안, 이 순간을 소중히 여기고 내 안의 고유한 본질에서 형성되는 것이기에, 글쓰기는 자기 탐구라는 결론에 이른다. 비 온 뒤 땅이 더 단단해지듯이 기록을 통해 이전보다 성장했다.
#책과강연 #에세이 #글쓰기 #작가 #독서 #책 #공공도서관 #일상 #치유 #질문 #강연 #코치 #선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