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심상 중년심리 Jul 07. 2023

40대 스트레스, 마음이 문제이다.

 40대에 들어서면 직장에서 중간관리자에 도달한다. 이 시기에 ‘임원이 되어 승승장구할지’‘아니면 ‘부장에서 퇴직할지’가 결정된다. 직장생활에 잘 적응했고 업무도 잘 처리할 자신이 있지만, 임원은 업무능력과는 별개로 인간관계와 사내정치가 작용한다. 이 분기점에서 누구나 과중한 심리적 압박을 받는다. 승진과 퇴직은 내 문제이지만, 가족이 있고 사회적 체면도 문제다. 과중한 정신적 압박이 계속되다 보면 우울, 무기력 등 심각한 심리적인 문제도 나타나게 된다. 


  그 뿐 아니라 40대 이후에는 남성도 여성처럼 신체적인 갱년기를 겪는다. 남성은 그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어 대부분 알아차리지 못한다. 남성갱년기 증후군은 의학적으로 인생 후반기의 생식기능 저하를 의미하는 ‘후기발현 성선기능저하증(Late-onset hypogonadism, LOH)이라고 불린다. 우선 근육량이 감소해 조기피로, 활동력의 저하가 나타나고 수면장애, 상실감, 우울증, 쉽게 화냄, 불안 등도 나타날 수 있다.


  ‘승진이냐, 퇴직이냐’의 중요한 분기점에서 ‘신체적인 갱년기까지 겪으며’ 40대는 심리적 위기에 내몰린다. 높낮이는 있지만, 대부분 중년기 위기를 겪게 된다. 위기는 밖, 즉 직장의 치열한 경쟁에서 오기도 하지만, 내 안에 심리적인 공황으로 스스로 무너질 수 있다. 동료와 경쟁에서 스스로 우울을 겪으며 무너지기도 하고, 경쟁에서 낙오하면 배신감과 분노로 알코올 의존증에 빠져 스스로 무너지기도 한다. 


  내면의 세계를 단단히 세워서 치열한 경쟁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그러러면 우선 내 마음의 구조부터 이해해야 한다. 그래야 내 마음의 갈등이 어디서부터 왔고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1856년 지금부터 160년전 태어난 오스트리아 심리학자 프로이드는 인간의 심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프로이드는 유년시절에 겪는 트라우나, 즉 마음의 상처가 무의식 속에 숨어서 평생을 괴롭히다가, 마음이 취약해질 때는 어려운 상황과 겹쳐서 병리적인 공황을 크게 겪게 된다는 것을 밝혔다.

작가의 이전글 40대 중년기 혼란, 정체성이 문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