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구글 크롬으로 원격 데스크톱 접속하기

by 임태홍 Feb 17. 2025

저는 요즘 노트북을 들고 도서관에 다니는데 외장하드를 들고 다닙니다. 그런데 이 외장하드가 영 불편한 게 아닙니다. 가방 안에 들어 있을 때는 덜렁덜렁 움직여 혹시나 고장 날까 봐 걱정이고 책상에서 작업하다 잠시 화장실이라도 갔다 오려면 혹시 누가 가져갈까 봐 걱정입니다. 별로 중요한 자료가 들어 있는 것도 아닌데 신경이 쓰입니다. 


몇 년 전에 컴퓨터가 고장 났을 때, 수리 센터에 연락했더니 고장을 원격으로 고치겠다고 해서 놀랐습니다. 전문가가 자기 사이트 주소를 알려주고 암호 하나를 알려줬습니다. 그래서 그 주소로 들어갔더니 수십 킬로 떨어진 먼 곳에서 제 컴퓨터 화면으로 전문가가 들어왔습니다. 멀리 저편에서 마우스를 움직이는 모습이 실시간으로 제 모니터에 보였습니다. 저는 구경만 하고 그 전문가는 제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깔더니 몇 번인가 컴퓨터를 껐다 켰다 했습니다. 그러고는 다 고쳤다고 합니다. 저도 이런 기술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귀찮은 외장하드를 들고 다닐 필요도 없고, 도서관에 앉아 제 집에 있는 컴퓨터에 들어가 필요한 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겠지요.


그래서 원격으로 컴퓨터에 접속하는 방법을 조사해 봤습니다. 대략 다음과 같이 4가지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1) 구글 크롬으로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기

2) 윈도우 10에서 원격 컴퓨터 연결하기 

3) 알드라이브로 원격 컴퓨터에 접근하기

4) 서버 컴퓨터를 구축하기


제일 쉬운 방법이 1번이고 번호가 올라갈수록 어렵습니다. 1번과 2번은 집에 있는 컴퓨터의 화면을 볼 수 있는 방법이고 3번과 4번은 컴퓨터 안의 자료를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먼저 구글 크롬에 도전해 봅니다.


1. 환경 만들기


멀리 떨어져 있는 두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컴퓨터 연결 기능을 갖춘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그 프로그램은 윈도우 10 pro 안에 담겨 있습니다. 그러므로 연결하려는 두 PC에 윈도우 10 pro를 깔아 두어야 합니다. 윈도우 10 home 버전은 안 됩니다.


그다음 중요한 것은 두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연결 작업을 하기 전에 항상 이것을 확인해야 합니다.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도 않은데 원격 데스크톱 연결 시도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에러가 발생하면 엉뚱한 고민을 하고 또 엉뚱한 고생을 합니다. 제가 이랬습니다.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방법은 랜선 케이블로 연결하는 방법과 무선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저는 집에 있는 서버 컴퓨터는 랜선으로 연결하였고, 도서관에 있는 노트북, 즉 클라이언트 PC는 무선 와이파이로 연결했습니다. 이 설명은 기본적으로 이러한 환경을 전제로 한 것입니다. 서버 컴퓨터가 무선 와이파이에 연결된 상태에서도 원격 접속이 가능하지만 좀 더 복잡한 작업이 필요합니다. 저는 그것이 귀찮아 랜 케이블을 찾아서 그것을 이더넷에 연결하였습니다.  


집에 있는 컴퓨터를 서버로 지정하고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만약에 그 컴퓨터가 '전원 절전' 모드일 경우,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에서 원격 접속이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즉 원격 접속을 하려면 컴퓨터가 깨어 있어야 하는데, 절전 모드를 해제하려고 할 때 사용자가 그 컴퓨터의 키보드를 두드려 주어야 깨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멀리서는 이런 작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 점을 잘 체크해야 합니다. 그래서 절전 모드 사용을 '안 함' 상태로 해야 합니다. 마더보드에 따라서는 절전 모드를 사용해도 원격 접속이 아무 때나 가능한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어쨌든 잘 체크를 해보고 절전 모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2. 서버 PC에서 프로그램 다운로드


두 컴퓨터를 연결하려고 할 때 중요한 컴퓨터는 서버 컴퓨터입니다. 이 컴퓨터에서 문을 열어두는 작업을 먼저 해야 접근이 가능합니다. 저는 처음에 그것도 모르고 클라이언트 컴퓨터(노트북)부터 먼저 작업을 시작했었습니다. 그렇게 하면 해킹 작업이나 마찬가지로 작업이 어렵습니다. 어려운 정도가 아니라 불가능하다고 보면 됩니다. 내부에서 문을 열어줄 생각이 없는데 아무리 바깥에서 문을 열려고 궁리를 해도 안됩니다. 작업 순서는 꼭 서버 먼저, 그다음이 클라이언트입니다. 참고로 제가 접속하려고 하는, 집에 있는 컴퓨터는 서버 컴퓨터가 되는 것이고, 도서관의 노트북 컴퓨터는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되는 것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구글 크롬에서 '원격' 혹은 '원격 데스크톱'이라고 검색을 해보면 맨 첫 번째로 'Chrome 원격 데스크톱'이라는 검색결과가 나옵니다. 그 밑에 다음과 같은 소개가 붙어 있습니다.


"컴퓨터, Android 기기 또는 iOS 기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방식으로 연결하세요.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 필요할 때 모든 컴퓨터와 파일에 간편하게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구글 크롬 원격데스크톱 프로그램은 컴퓨터뿐만 아니라 휴대폰이나 태블릿 PC로도 연결이 가능한 모양입니다. 이 <Chrome 원격 데스크톱>을 클릭합니다. 이때 만약에 구글 계정에 들어가 있지 않으면 계정을 새로 만들거나 기존에 있는 <계정 선택>을 하라는 화면이 나옵니다. 이메일 계정을 선택해서 입장을 하면 왼쪽에 <원격 엑세스>, <원격지원>, <SSH를 통해 설정>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원격액세스>를 클릭합니다. 

그다음에 <원격 액세스 설정>이라고 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시작하려면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세요 라는 문구가 나오고 그 밑에 다운로드 아이콘이 나옵니다. 이것을 누르면 <Chrome Remote Desktop > 앱을 다운로드하고, 설치준비 완료했다는 메시지가 나오고 <동의 및 설치>를 묻습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다운로드 된 <Chrome Remote Desktop >를 보여줍니다. 이것을 두번 클릭하여 실행시키면 '이 앱이 디바이스를 변경할 수 있도로 허용하시겠어요?'라고 물으며 '예'하고, 실행을 시킵니다. (혹시 이때 확장 프로그램을 크롬에 추가할 것인지를 다시 묻기도 합니다. 이때는 <추가>를 클릭하면 프로그램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이때 <동기화... 운운> 하는 메시지가 뜨는데 무시해도 됩니다. 그 메시지를  x 표시를 눌러 지웁니다.) 앱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혹시 "이 컴퓨터에 원격으로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허용하려면 '사용'을 클릭하세요"라는 문구가 나오면<사용>을 클릭합니다. 그 뒤) '이름 선택'이라는 화면이 나오고 "컴퓨터의 이름을 입력하세요"라고 합니다. 적절한 이름을 입력하고(저는 'DESK'를 입력했습니다.) <다음>을 누릅니다.


그다음에  'PIN 선택'화면이 나옵니다. PIN은 암호를 말합니다. 최소 6자리의 PIN을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나중에 이 컴퓨터(서버)에 접근(액세스)하려면 이 암호가 필요합니다. 암호를 두 차례 입력하고 <시작> 버튼을 누릅니다. 그리고 앱이 디바이스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할 것인지를 또 물어보면 '예'를 눌러 확인해 줍니다. 화면에 원격 기기로 등록된 서버 컴퓨터의 이름과 함께 그 오른 쪽에 '온라인'이라는 글자가 보입니다. 이로써 서버 컴퓨터 등록 작업이 끝났습니다.  


이러한 작업 중간에 화면 오른쪽 아래에 조그만 창이 뜹니다. "이 기기에 Chrome 원격 데스크톱을 설치하시겠습니까? 앱을 설치하면 더 많은 단축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브라우저 툴바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듭니다."라는 메시지도 보입니다. <설치>를 선택하면 앱이 설치되고 좀 더 간편하게 원격 데스크톱 프로그램을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 이 작업은 하지 않고 지나쳐도 상관없습니다.



3. 클라이언트 PC에서 <내 컴퓨터에 액세스>


서버 등록작업이 끝났으니 이제부터는 서버 PC에 접근하는 클라이언트 PC를 위한 작업을 시작합니다. 도서관에 있는 노트북, 즉 클라이언트 PC에서 다음과 같이 정보 등록 작업을 진행합니다.


구글에서 '원격'을 입력하여 <Chrome 원격 데스크톱>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원격 기기'로 서버 컴퓨터의 이름이 올라와 있을 것입니다.(위 화면과 같습니다. 이름이 DESK라는 기기입니다.) 원격 기기로 지정한 이름이 올라와 있지 않으면 구글 계정에 접속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내 컴퓨터에 엑세스>를 클릭하여, 서버 컴퓨터를 지정할 때 사용한 구글 계정으로 들어가서 확인해 봅니다.


해당 컴퓨터(위의 DESK)를 클릭하면 암호(PIN)를 입력하라는 지시가 뜹니다. ("이 기기에 내 PIN을 저장합니다."라는 메시지 □에 체크를 하면 암호가 저장됩니다.) 암호를 입력하면 권한 요청 메시지가 다음과 같은 문구와 함께 나타납니다. "클립보드에 복사된 이미지와 텍스트를 확인합니다." 허용을 선택합니다. 허용을 선택해 두면 나중에 클립보드를 통해서 서버 컴퓨터의 자료와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자료 공유가 가능해집니다. 암호를 입력하고 클릭하면 잠시 후에 원격 서버 컴퓨터의 바탕화면이 뜹니다. 작업이 무사히 끝났습니다.


이상으로 구글 크롬으로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기를 시도해 봤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에 접근하여 바탕화면에서 여러 가지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를 다시 시작할 수도 있고, 파일을 이동하거나 지울 수도 있고 서버 컴퓨터의 시스템도 변경 설정을 할 수가 있습니다. 다만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자료 이동은 다소 불편합니다. 


만약에 클라이언트 PC에서 서버로 자료를 보내려면, 1) 오른쪽 화면 중간의 '<' 표시를 눌러 작업 화면을 펼친 다음에, 2) 데이터 전송 클릭, 3) 파일 업로드 클릭, 4) 파일 선택 후, 열기를 합니다. 이러면 서버의 바탕 화면에 파일이 저장됩니다. 서버에서 자료를 받을 때는 <파일 다운로드>를 선택하여 파일 선택을 하면 클라이언트의 다운로드 폴더에 저장됩니다. 한 번에 하나의 파일만 가능하며 윈도우에서 처럼, 폴더에서 폴더로 마우스로 파일을 끌어 이동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이 점은 많이 불편합니다. 그래도 설치가 쉽고 사용이 간단하기 때문에 매우 쓸모있는 원격 컴퓨터 접속 방법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바이오스 업데이트 - 페가트론 IPMSB H61 보드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