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가젤이나임팔라 Nov 28. 2023

버터바 이야기

현재를 충실히 살아가는 것에 대하여

얼마 전 일이다.


집에서 아내와 커피를 한잔씩 내려서 테이블에 앉았다. 아내는 커피와 곁들여 먹을 수 있는 버터바라는 것을 내왔다.


비닐 포장지에 싸여있는 버터바를 집어 들어 살펴보니 두꺼운 직사각형 케이크 같은 모양이다.

'제품명: 버터바'.

"버터바? 이런 것도 있어? 버터 함량이 35%라니 진짜 버터바네."  


순간 아내가 웃음을 터뜨리며 나를 물끄러미 쳐다봤다.


"기억 안 나? 지난번에도 먹었잖아."

"기억 안 나는데."

"심지어 오빠는 그때도 버터바를 보고 똑같이 얘기했잖아. 버터바? 이런 것도 있어? 하고."

"내가 그랬단 말이야? 전혀 기억이 안 나네."


말을 마친 나는 버터바 한 귀퉁이를 포크로 잘라내 입으로 가져갔다.

"오, 커피와 잘 어울리는 훌륭한 맛이군."

"그때도 오빠는 커피랑 잘 어울린다고 했어."


나는 이내 머쓱해지고 말았다. 사실 이런 적이 많이 있었다. 아내와 함께 무언가를 먹거나 무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데 나는 기억을 잘하지 못한다. 신혼 초반 때는 이 때문에 아내가 삐지기도 했으나, 나라는 사람에 대해 차차 알게 된 다음엔 그냥 수용하기로 한 듯하다. 사실 머리가 그리 나쁜 편은 아닌 것 같은데, 이런 종류의 기억에 있어서는 완전히 젬병이다.


반쯤 남은 옅은 갈색의 버터바를 노려보며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나는 왜 버터바를 먹어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내 잊어버리고 말았는가.


몇 년 전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마음챙김'이라는 게 있다. 쉽게 말하면 명상이다. 얕은 경험에 비추어 보면, 흔히들 명상은 생각을 비우는 데에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이건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서 그나마 '호흡'에 집중을 하라고는 하는데, 이 또한 마찬가지로 어렵다. 조금만 가만히 있어도 오만가지 생각이 일어난다. 꼬리에 꼬리를 물고 각종 기억과, 해야 할 일, 걱정거리들이 머릿속을 가득 채운다. 전문가들은 그런 생각을 내가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다. 말이 길었으나, 이 마음챙김이라는 것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지금'에 집중하는 것이다.  


요새 나는 쉽게 현재에 집중을 하지 못한다. 금세 다른 것이 생각나거나 걱정이 밀려온다. 그렇다. 인정하긴 싫지만 불안한 것 같다. 마냥 낙천적이었던 20대 시절의 나와는 많이 달라졌다. 마음을 편히 먹으려고 해도 잘 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누군가와 나누는 대화에서도 집중을 하지 못한다. 행복한 지금이 쌓여 행복한 미래가 되는 것이라고 늘 생각해 왔는데, 한동안 잊고 살고 있었다. 소중한 사람과 나누는 작은 대화, 늘 다니는 길거리, 아기의 웃음, 소박한 음식에서도 행복 한 조각씩은 건져 올릴 수 있는 것인데 말이다.   


다시 천천히 노력해 봐야겠다.




그나저나 매번 내가 어떤 물건을 보거나 뭔가를 들었을 때마다 반응이 늘 동일하다는 아내의 지적에 대해 생각해 봤는데, 어쩌면 사람은 부단히 노력하지 않으면 뇌에서 정밀하게 짜인 알고리즘대로 살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흡사 내 머릿속에서 작은 원숭이가 들어앉아서 버튼을 누르고 있는 것과 비슷하다. 작은 원숭이는 '버터바'를 보면 수만 가지의 버튼 중에서 '버터바 이야기'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내가 '버터바? 이런 것도 있어?'라거나 '오, 커피와 잘 어울리는 맛이군' 따위의 정형화된 말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원숭이 같은 것에게 버튼이 눌리는 대로 살지 않으려면 정신을 차리고 지금 현재에 충실히 살아야겠다고 다짐해 보는 밤이다.

작가의 이전글 배추 뿌리를 드시나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