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immy Park Apr 24. 2024

033 경청은 마음가짐이다

Jailbreak

"The biggest communication problem is we do not listen to understand. We listen to reply." (Stephen R. Covey)
 
나 자신을 스스로에게 과시하는 사람은 없다.

글로비스에서 사업부장을 맡게 되면서 멤버들이 거의 200명에 육박했다.
어차피 사업부장이 한 명 한 명 직접 다 케어할 수 없으니
실장, 팀장 등 조직장들만 잘 챙기라고 조언을 주신 분도 있다.
팀원들은 직접 챙기지 말고 조직장들이 챙기게 하라고.
그게 더 건강한 조직이 될 수도 있다고.
말씀하신 취지도 나름 일리가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사업부장으로서 한 사람 한 사람과 소통하고 싶었다.
무리가 되더라도 개인적인 관계를 맺고 싶었다.

1 on 1을 통해 개인적인 이야기를 나눈 분들도 있지만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렸다.
전체 멤버들을 한 턴 도는데 2년은 족히 걸릴 것 같았다.
그래서 4명씩 조를 짜서 화요일, 목요일마다 Tea Time을 하기로 했다.
기획팀 담당자가 이 시간을 SI-ESTA라고 이름 지었다.
SI사업부 점심 후 Tea Time이니 센스 있는 이름이었다.

SI-ESTA의 Rule은 딱 두 가지였다.
첫 번째는 조를 짜는 Rule이었는데
매니저는 매니저끼리, 책임은 책임끼리 4명을 한 조로 하되
각 멤버들은 모두 서로 다른 팀에서 구성할 것.
나와 알아가는 것도 있지만 서로끼리도 알아가는 기회를 주고 싶었다.
두 번째는 대화 주제에 대한 Rule이었는데
처음엔 한 명씩 돌아가면서 짧게 자기소개로 시작한 후
끝나면 의식의 흐름대로 프리토킹을 하는데
어떤 주제도 상관없지만 업무 이야기는 하지 말 것.
MBTI가 뭔지, 취미로 회사 내 동글이는 무엇을 하고 있는지,
최근에 재밌게 본 영화나 Netflix 시리즈는 뭔지,
가족이나 형제는 어떻게 되는지, 아이 키울 때 힘든 게 뭔지,
커서 뭐 되고 싶은지... 등등
많은 이야기들을 나누었다.
그렇게 가능한 모든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려고 노력했고

그날 이야기 나왔던 것들은 꼼꼼히 메모하여 기억하려 했다.

지방 사업장에 계신 분들을 제외하고
본사 멤버들과 한 턴을 도는데 거의 8개월은 꼬박 걸렸던 것 같다.

그런데 SI-ESTA를 거듭할수록 마음이 무거워졌다.
서로를 알아가는 건 너무 좋았지만
한 시간 반의 시간 동안 내가 너무 말을 많이 하는 것 같았기 때문이다.
그러지 말아야지, 더 많이 들어야지 해도
끝나고 나면 오늘도 말을 많이 했네 하며 후회하기 일쑤였다.

고민해 봤다.

무엇이 문제인지...

어색한 침묵을 견디기 힘들었다.
잘 모르는 다른 팀 사람들과 모여 앉아 사업부장과 Tea Time을 한다.
모인 4명 어느 누구 하나 쉽사리 입을 떼기 쉽지 않은 세팅이다.
왠지 내가 그 어색함을 깨 줘야 할 것만 같았다.
나도 모르게 실없는 소리를 많이 하게 되었다.
어김없이 후회로 이어졌다.

또한 마음 한 켠으로 이번 기회에 나를 많이 오픈하고 보여줘서
개인적으로 친해지고 싶은 욕심이 있었던 것 같다.
문제는 그럴수록 그들에 대해 들을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경청'에 대해 그렇게 많이 배우고 신경 쓰고 노력했건만
실제 생활에서 경청을 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 새삼 느끼게 되었다.
누구보다 더 잘 들어줄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다고 생각했지만
아직도 내공이 턱없이 부족함을 느꼈다.
겸손의 필요성을 배우는 시간이었다.
 
경청이란
잘 듣는 것이다.
단지 귀를 열고 듣는 행위가 아니라
이 대화를 통해 뭔가를 발견하겠다는 마음가짐이다.
몸에 힘을 빼고 앞으로 살짝 기울인 채 눈을 마주치며 최대한 집중하는 자세다.
경청은 귀를 열고 듣는데서 시작하는 게 아니라

욕심을 버리고 마음을 열어 상대에 오롯이 집중하는데서 시작한다.

경청을 잘하기 위해서는,
침묵을 견디는 용기가 필요하다.
상대가 말하지 않는다고 해서 말할 것이 없는 게 아니다.
부담 없이 말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할 뿐이다.
그게 마음이든, 물리적인 장소든, 대화하는 분위기든
기꺼이 말할 수 있도록 최대한 배려해 주고
말할 수 있도록 기다려줘야 한다.
상대가 말하지 않으면 그 또한 내 탓이다.

경청을 잘하기 위해서는,
남에게 나를 꾸미려고 하는 욕심을 버려야 한다.  

나 자신을 스스로에게 과시하는 사람은 없다.
타인에게도 그러해야 한다.

'언제쯤 어떤 말로 멋지게 받아칠까?'
'이쯤에서 내가 했던 경험을 이야기하면 인사이트 있어 보이겠지?'
'처음엔 잘 들어주다가 적절한 때 내가 결론을 내야지.'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려고 듣는 게 아니라
받아치려고 듣는 사람들이 있다.
대화로 상대를 찍어 눌러서
나를 더 돋보이게 하려고 듣는 사람들이 있다.

내 지식을 자랑하려는 무의식 중의 거만에서는
결코 경청이 나올 수 없다.

경청을 잘하기 위해서는,
나 자신의 부족함을 자각해야 한다.
상대의 말을 통해 부족한 나를 채우겠다는 마음.
기꺼이 더 좋은 내가 되겠다는 겸손에서 경청이 나온다.
대화 중에 전엔 모르던 지식을 얻게 되었는지.
미처 깨닫지 못했던 뭔가를 새롭게 느끼게 되었는지.
생각지도 못했던 곳에서 내 생각이 틀렸다는 걸 발견하게 되었는지.
그때 비로소 알 수 있다.
내가 진정 경청했는지 아닌지...
 
많이 배우고 다양하게 경험하여
아는 게 많아지고 깊이 깨닫게 된다고 해서
꼭 훌륭한 사람이 되는 것 같지는 않다.
어차피 모든 걸 다 알거나 모든 걸 다 깨달을 수 없고
내가 얻은 지식과 깨달음 역시 그때 처한 입장에서만 그럴 가능성이 높다.
내 입장에서 사실이고 내 경험으로는 분명하더라도
누군가가 그렇지 않다고 한다면 그렇게 말하는 이유가 있겠지.
한 호흡만 참고 들어줄 수 있는 것.

강요하지 않고 포용할 수 있는 것.

뭔가를 많이 알게 되면 알게 될수록 분명 해지는 것은  
내가 다른 뭔가를 잘 모른다는 것이다.
내가 잘 모른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
그것이 진정한 성숙함인 것 같다.

하루하루 계속 성장하고 성숙해진다.
언젠가는 부끄럼 없이 경청할 수 있는 시간이 오겠지.
경청은 성숙함의 이면이다.


(SI-ESTA, Powered by DALL.E3)


작가의 이전글 032 사랑은 나를 좋은 사람이 되게 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