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상품정보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ETF를 모아보면?(1) _ 대표지수형 / S&P500 GICS 섹터별 ETF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ETF를 모아보면?(2) _ 미국 & 글로벌 섹터/테마형 ETF
전 세계 GDP의 25%를 차지하며
전 세계에 투자되는 돈의 절반이 모이는 나라,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인재들이 모여들어
세계 최강 혁신기업들의 본거지가 되는 나라,
모든 투자자가 가장 잘 알아야하며,
투자비중 또한 가장 높게 가져가야 할 나라, 이곳이 아니라면 어디일까?
경제적 자유를 꿈꾼다면, 반드시 주목해야 할 시장은 단연 미국이다! 미국은 전 세계 GDP의 약 25%를 차지하면서도, 글로벌 자금의 절반이 몰리는 투자 1번지이기 때문이다. 채권이든 주식이든, 돈이 흐르는 곳에 기회가 있다. 이 거대한 시장을 배제하고 투자한다는 것은 마치 변방에서 북만 두드리는 것과 다름없다.
그렇다면 미국 시장에는 어떻게 투자하는 것이 가장 현명할까?
1. 개별 주식 대신, 미국 시장 전체에 투자하라! 장중 급등락이 발생할 때 실시간으로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개별 종목 대신, 미국 시장 전체를 담는 전략이 보다 안정적이다.
2. 섹터별·테마별 투자로 시장 흐름을 공략하라! 시황 판단에 자신이 있다면 AI, 반도체, 헬스케어 등 강세가 예상되는 섹터에 집중 투자하는 방법도 고려할 만하다.
3. 절세 전략은 기본 중의 기본! 연금계좌나 ISA를 활용하면 매매 차익에 대한 세금 부담 없이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이제 남은 것은 최적의 투자 상품을 선택하는 일! 국내에 출시된 미국 시장 투자 ETF를 모두 모아 유형별로 분석해 보았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 S&P500지수 / 나스닥100지수 / 러셀2000지수 추종, 환헷지형과 환노출형
다우존스30 추종
◐ TIGER미국다우존스30: 미국의 대표 주가지수 중 하나인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를 구성하는 대형 우량주 30종목에 투자 / 기초지수_Dow Jones Industrial Average Index (INDU)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는 1896년에 처음 도입된 미국의 대표적인 주가 지수로, 미국의 30개 대형 우량주로 구성된다. 시가총액이 아닌 주식 가격에 기반한 가격 가중(price-weighted) 지수이며, 전통적인 산업군의 대형 블루칩 기업들로 구성된다. 미국 경제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자주 활용되며, S&P500이나 나스닥100에 비해 가치주 비중이 높은 편이다.
S&P500 추종
◐ TIGER 미국S&P500: 미국의 대표 주가지수 중 하나인 'S&P500지수'를 구성하는 시가총액 상위 500개 종목에 투자 / 기초지수_S&P 500 Index(원화환산)
◐ KODEX 미국S&P500(H): 미국의 대표 주가지수 중 하나인 'S&P500지수'를 구성하는 시가총액 상위 500개 종목에 투자 / 기초지수_S&P 500 Index(원화환산), 환헷지형
S&P 500지수(S&P 500 Index)는 Standard & Poor's에서 제공하는 지수로,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 상장된 미국 주식 중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으로 구성된다. 1957년 3월 4일부터 발표되기 시작하여 미국 경제와 주식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수이다. 미국 주식시장의 약 80%를 차지하는 대형주들이 포함되어 있어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시장 전반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S&P500 변형
◑ TIGER 미국S&P500동일가중: S&P500 구성종목에 동일가중방식으로 투자, 분기별 리밸런싱
◑ SOL 미국S&P500엔화노출(H): S&P500을 엔화로 투자, 엔화 노출, 엔달러 헷지
◑ KCGI 미국S&P500TOP10: S&P500 상위 10종목에 투자, 빅테크 외 기업(버크셔 해서웨이, 제이피모건 등)이 포함, 빅테크 TOP10 종목 투자와 성과 면에서 큰 차이는 없음 / 구성종목(2025년 3월 10일 현재)_애플 18.48%, 엔비디아 16.50%, MS 16.11%, 아마존 11.63%, 메타 8.12%, 알파벳 Class A 5.85%, 브로드컴 5.61%, 알파벳 4.84%, 버크셔 헤서웨이 4.56%, JPMorgan 4.11% 등 10종목
S&P500 레버리지/인버스
◐ TIGER 미국S&P500레버리지(합성 H): S&P500지수 일간수익률의 2배 수익률 추구, 환헷지형
◑ TIGER 미국S&P500선물인버스(H): S&P500지수 일간수익률의 음(-)의 1배 수익률 추구, 환헷지형
나스닥100 추종
◐ KODEX 미국나스닥100: 미국의 대표 주가지수 중 하나인 '나스닥100지수'를 구성하는 나스닥 상장 시가총액 상위 100개 종목에 투자 / 기초지수_NASDAQ 100 Index
◐ TIGER 미국나스닥100TR(H): 미국의 대표 주가지수 중 하나인 '나스닥100지수'를 구성하는 나스닥 상장 시가총액 상위 100개 종목에 투자 / 기초지수_NASDAQ 100 Index, 환헷지형
나스닥 100 지수(Nasdaq-100 Index)는 나스닥 거래소에 상장된 시가총액 상위 100개 비금융 기업으로 구성된 주가지수이다. 기술주와 성장주 중심이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아마존 등의 기업이 포함된다. 이 지수는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산출되며,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JIA)나 S&P 500보다 기술주 비중이 높아 변동성이 크지만 성장성이 높은 기술 및 혁신 기업들의 흐름을 반영하는 지수로 활용된다.
나스닥100 변형
◑ TIGER 미국나스닥넥스트100: 나스닥 101~200위 기업(금융 섹터 제외) 편입, 미국 차세대 혁신기업에 선제적 투자, 종목별 4% 상한 / 기초지수_Nasdaq Next Generation 100지수(원화환산)
◑ TIGER 미국나스닥100ETF선물: 나스닥 100에 투자하는 새로운 방식, 주식이나 선물이 아닌 장중 실시간 거래되는 ETF선물에 투자해 낮은 괴리율로 순자산 가치에 접근, 퇴직연금계좌에서는 거래 불가
나스닥100 레버리지/인버스
◐ TIGER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 나스닥100지수 일간수익률의 2배 수익률 추구, 환노출형
◐ KODEX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H): 나스닥100지수 일간수익률의 2배 수익률 추구, 환헷지형
◑ KODEX 미국나스닥100선물인버스(H): 나스닥100지수 일간수익률의 음(-)의 1배 수익률 추구, 환헷지형
러셀2000 추종
◐ KODEX 미국러셀2000(H) ... 미국의 대표 중소형주 주가지수인 '러셀2000지수'를 구성하는 시가총액 1001~3000위 2,000개 종목에 투자 / 기초지수_FTSE Russell 2000 Index ... 파생상품(선물)형 상품으로 퇴직연금계좌(IRP) 편입 불가, 연금저축계좌 편입 가능
러셀 2000 지수(Russell 2000 Index)는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시가총액 1001~3000위에 해당하는 중소형주 2,000개 기업으로 구성된 지수로, 미국 경제의 중소형 기업 성과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지수는 런던 증권거래소 그룹의 자회사인 FTSE 러셀에서 관리하며, 1984년에 도입되었다. 러셀 2000 지수는 미국 주식시장의 시가총액 상위 3,000개 기업으로 구성되어 전체 주식시장의 약 97%를 커버하는 러셀 3000지수의 하위 2,000개 기업으로 구성되며, 시가총액의 약 7%를 차지한다.
▶ MSCI ACWI 지수 / MSCI World 지수 / MSCI EAFE 지수 / MSCI Emerging Markets 지수 추종
▶ 글로벌 주식 분산 투자 ETF _ 미국 50% + 미국 제외 선진국 30% + 신흥국 20%
▶ 글로벌 자산 배분 투자 ETF _ 미국 대형주 30% + 국내종합채권 55% + 금15%
▶ 글로벌 인컴 자산 배분 ETF _ 주식형 ETF 5개+채권형 ETF 5개
◐ PLUS 글로벌MSCI(합성 H): 전세계 45개 내외 국가의 대형주 및 중형주 2,760여 종목에 분산 투자, 전세계 투자가능 주식의 약 85%를 포함, 환헷지형 / 기초지수_MSCI ACWI
◐ KODEX 선진국MSCI World: 23개 선진국의 중·대형주 약 1,600개 종목에 분산투자 / 기초지수_MSCI World Index(원화환산), 환노출형
◐ PLUS 선진국MSCI(합성 H): 미국과 캐나다를 제외한 유럽, 일본 등 약 20개 선진국 주가지수 추종 / 기초지수_MSCI EAFE index
◐ PLUS 신흥국MSCI(합성 H): 중국, 대만, 한국, 인도 등 26개 해외 유망 신흥국 주가지수 추종 / 기초지수_MSCI Emerging Markets index
◑ PLUS 신흥국MSCI인버스(합성 H): 'PLUS 신흥국MSCI(합성 H)' 일간 수익률 음(-)의 1배 추종
◈ MSCI ACWI (All Country World Index)는 전 세계 선진국 및 신흥국 주식시장을 모두 포함하는 지수로, 2,760개의 대형 및 중형주를 포함한다. 시가총액 기준으로 전세계 투자가능 주식의 약 85%를 포함하여 글로벌 투자자들이 전 세계 주식시장의 퍼포먼스를 평가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된다.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구성되며, 전 세계 주식시장의 전반적인 퍼포먼스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 구성 국가: 선진국 23개국 및 신흥국 24개국의 2,760개 주식을 포함, 시가총액 기준 전세계 투자가능한 주식시장의 약 85%를 커버한다.
MSCI ACWI Index = MSCI World Index + MSCI Emerging Market
◈ MSCI World Index는 전 세계 선진국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지수로, 23개 선진국의 1,430개 대형 및 중형주를 포함한다. 구성 국가: 미국, 캐나다, 독일, 일본, 영국, 프랑스, 스위스, 호주 등
◈ MSCI Emerging Markets Index는 전 세계 신흥국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지수로, 24개 신흥국의 약 1,330여 개 대형 및 중형주를 포함한다. 구성 국가: 중국, 인도, 브라질, 러시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한국, 대만 등
◈ MSCI EAFE(Europe, Australasia and the Far East) Index는 북미 즉, 미국과 캐나다를 제외한 유럽, 호주, 아시아 등의 선진국 21개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지수로, 742개의 대형 및 중형주를 포함한다. 구성 국가: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스위스, 호주 등
◑ RISE 글로벌주식분산액티브: 글로벌 주식 투자 ETF에 재간접 분산 투자(미국 50%+북미 제외 선진국(EAFE) 30%+신흥국(EM) 20%), 기초지수_Bloomberg Global Equity Market Weighted In
◑ RISE 글로벌자산배분액티브: 미국 대형주(30%)+국내종합채권(55%)+금(15%)
◑ ACE 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 미국 상장 글로벌 ETF 중 높은 배당수익률과 분배 일관성이 우수한 ETF Top10 종목에 투자, 주식형 ETF 5개+채권형 ETF 5개 / 기초지수_Solactive Global Superior Income TOP 10 Price Return Index / 연 7.5% 수준 월 배당
S&P500 GICS 산업분류에 따른 섹터별 투자 ETF
◐ KODEX 미국S&P500필수소비재: S&P500 GICS 산업분류 11개 섹터 중 필수소비재 섹터 39개 종목에 투자, 코카콜라, 펩시 등 음료/식품, 월마트, 코스트코 등 대형 마트 체인 포함, 상대적으로 경기에 덜 민감하며 높은 배당수익률이 특징, 기초지수_ S&P Consumer Staples Select Sector Index
◐ KODEX 미국S&P500경기소비재: S&P500 GICS 산업분류 11개 섹터 중 경기소비재 섹터 51개 종목에 투자, 아마존, 테슬라, 스타벅스, 나이키 등 미국 대표 경기소비재 종목 포함, 상대적으로 경기에 더욱 민감하며 일부 성장주의 성격을 가진 섹터, 기초지수_ S&P Consumer Discretionary Select Sector Index
◐ KODEX 미국S&P500금융: S&P500 GICS 산업분류 11개 섹터 중 금융 섹터 74개 종목에 투자, 버크셔해서웨이, JP모건, 비자, 마스터카드, BOA 등 등 미국 대표 금융주 포함, 은행, 보험, 금융서비스 등 가치주 성격을 가진 주식이 많아 상대적으로 높은 배당수익률, 기초지수_ S&P Financial Select Sector
◐ KODEX 미국S&P500산업재(합성): S&P500 GICS 산업분류 11개 섹터 중 산업재 섹터 70여 종목에 투자, 건축, 기계, 항공, 우주 및 방위 제품과 같은 자본재 제조 및 유통 관련 산업과 건설, 엔지니어링 및 운송 서비스 등 상업서비스 관련 산업을 포괄하는 섹터, 기초지수_S&P Industrial Select Sector Index(원화환산)
◐ KODEX 미국S&P500에너지(합성): S&P500 GICS 산업분류 11개 섹터 중 에너지 섹터 22개 종목에 투자, 미국 대표 에너지기업들을 비롯한 석유 및 가스 탐사, 정제, 장비 및 서비스, 파이프라인 및 운송, 재생에너지 관련 기업을 포함, 기초지수_S&P Select Sector Energy Index(원화환산)
◐ KODEX 미국S&P500유틸리티: S&P500 GICS 산업분류 11개 섹터 중 유틸리티 섹터 31개 종목에 투자, 전기, 가스, 수도시설, 전력, 발전업체 등 기반 산업, 경기에 덜 민감하고 낮은 변동성을 가진 방어주 성격, 기초지수_S&P Utilities Select Sector Index(Price Return)
◐ KODEX 미국S&P500커뮤니케이션: S&P500 GICS 산업분류 11개 섹터 중 커뮤니케이션 섹터 23개 종목에 투자, 구글, 메타, 넷플릭스를 비롯하여 미국의 대표 통신인프라 및 컨텐츠, 미디어, 엔터 기업들을 포함, 기초지수_S&P Communication Services Select Sector Index(Price Return)
◐ KODEX 미국S&P500테크놀로지: S&P500 GICS 산업분류 11개 섹터 중 테크놀로지 섹터 70개 종목에 투자, MS, 애플, 엔비디아 등 초대형기업들을 비롯하여 미국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하드웨어, 반도체, 장비 등 첨단 기술 산업을 포괄하는 성장성 높은 섹터, 기초지수_S&P Technology Select Sector Index(Price Return)
◐ KODEX 미국S&P500헬스케어: S&P500 GICS 산업분류 11개 섹터 중 헬스케어 섹터 63개 종목에 투자, 제약, 바이오, 의료기기 및 의료용품 기업을 포함, 방어주와 성장주의 성격이 혼재된 섹터, 기초지수_S&P Health Care Select Sector Index
S&P 500 GICS 지수(S&P 500 GICS Index)는 S&P 500 지수를 글로벌 산업 분류 기준(GICS, Global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에 따라 11개 섹터로 구분한 지수이다. 각 섹터는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헬스케어(Health Care), 금융(Financials), 경기소비재(Consumer Discretionary), 산업재(Industrials), 필수소비재(Consumer Staples), 에너지(Energy), 통신서비스(Communication Services), 유틸리티(Utilities), 부동산(Real Estate), 소재(Materials)로 구성되며, 투자자들은 특정 섹터의 성과를 개별적으로 분석하거나 투자할 수 있다. 이 지수는 S&P 500의 산업별 흐름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 특정 섹터가 시장을 주도하는지를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증권사 랩상품(Wrap Account) 수준의 운영 자율성을 갖는 액티브 ETF, 1~2% 수준의 total 비용
◐ 에셋플러스 글로벌일등기업포커스10액티브: 글로벌 혁신기업 10여 종목 압축 투자, 액티브 펀드
/ 샤오미, 일라이릴리, Hermes, CONTEMPORARY AMPEREX Tech, TSMC, 넷플릭스, 아마존, 테슬라, 구글, 메타, 브로드컴, 엔비디아, 로빈후드
◐ 에셋플러스 글로벌플랫폼액티브: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플랫폼 비즈니스모델을 갖춘 일등기업 선별 24개 종목에 투자, 액티브 펀드 / 테슬라, 샤오미, 아마존, 넷플릭스, 애플, 팔란티어, 구글, TSMC, CHENIERE ENERGY, ESSILORLUXOTTICA, 쿠팡, ROBINHOOD MARKETS 등
◐ 에셋플러스 글로벌대장장이액티브: 경쟁이 치열한 전방산업의 후방에서 독과점적 이익을 취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갖춘 일등기업 선별 28종목에 투자, 액티브 펀드 / CHENIERE ENERGY, TSMC, CONTEMPORARY AMPEREX Tech, 구글, SAP, 애플, GE Vernova, 엔비디아, 아마존, 월트 디즈니, ARM 등
◐ 에셋플러스 글로벌다이나믹시니어액티브: 인구고령화 트렌드(①헬스케어 관련 지출 비중확대 ②익숙한 디지털 환경 ③가치 중심적 소비 ④경험소비증가)에 적합한 비즈니스모델을 갖춘 일등기업 선별 26종목에 투자, 액티브 펀드 / 일라이릴리, Hermes, ABBOTT, Intuitive Surgical, ASICS, Ventas, 넷플릭스, 로열 캐러비안 크루즈 등
◐ 에셋플러스 글로벌영에이지액티브: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욕구가 지속적으로 “수요”를 만들어내는 구조의 비즈니스모델을 갖춘 일등기업 선별 28종목에 투자, 액티브 펀드 / 일라이릴리, 샤오미, POP MART INTERNATIONAL, 필립모리스, Hermes, ROBINHOOD MARKETS, ASICS, On Holdings, FAST RETAILING, ROBLOX 등
"필자는 그 어떤 금융회사와 그 어떤 이권도 관련되어 있지 않다. 필자가 제시한 금융상품들은 철저히 개인적인 의견일 뿐 어떤 형태의 투자권유도 아니다. 따라서, 각 개인의 투자판단은 철저히 투자자의 몫이라는 점을 알려 드린다."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