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012. 현대 사회의 바벨탑 - 마천루

by 나그네 Mar 18. 2025
현대 도시 사회를 설명할때 가장 적절한 것이 바로 마천루다

하늘을 향한 끝없는 욕망의 상징인 마천루는 오늘날의 바벨탑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하늘을 향한 욕망 마천루가 등장하려면 전제조건인 2가지가 개발되어야 한다

첫번째는 철근 콘크리트요, 두번째는 엘리베이터다

콘크리트를 이야기 할때 시멘트를 빼놓을 수 없다

철근 콘크리트의 역사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지만

콘크리트의 역사는 굉장히 오래 되었다

그러나, 콘크리트의 주 재료는 시멘트다.

따라서, 시멘트부터 이야기를 해야 할 듯 싶다

BC 5,000년경에 콘크리트로 피라미드를 지었다고 하는 한국일보 기사

시멘트가 등장한 것은 BC 5천년경 발견되었다고 하는데

자료를 암만 찾아봐도 없다

어느 미친 기사는 BC 5천년경에 지어진 피라미드를 콘크리트로 지었다고 하는데

최초의 피라미드로 알려진 조제르 파라오의 피라미드 BC 2686년 경으로 유추된다

최초의 피라미드는 이집트 3왕조를 연 파라오 조제르

건축가 임호텝에게 자신의 무덤을 지으라고 하여 지어진게 최초이다

이때가 언제인가 하면 조제르 재위기간이 기원전 2686년 ~ 기원전 2649년이고

파라오로 즉위하면 그때부터 무덤을 짓기 시작했으므로 BC 2686년경 짓기 시작한 셈

이집트 최초의 왕조인 1왕조는 BC 3,150년에 세워졌다

이집트가 왕조 국가를 최초로 세운 때 또한 BC 3,150년이므로 기사는 말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BC를 빼고 5천년전이라고 해야 맞는 기사가 된다

일부에서는 이집트로 팔려가 총리가 된 요셉과 임호텝을 같은 인물로 보기도 한다

** 건축가 임호텝이 일부 성경학자와 고고학자의 견해에 의하면 요셈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집트에서의 시멘트는 석회가 주재료였다

여튼, 피라미드가 시멘트로 지어진 것은 맞다.

이집트가 피라미드 돌들의 접착제로 시멘트를 사용했는데

당시 시멘트의 주재료는 석회였다

크레타 섬의 미케네 유적지에서 최초의 콘크리트가 발견되었다

석회에 모래를 섞어 모르타르를 만들었고

나아가 화산재를 섞으면 더 단단해 진다는 것을 그리스 사람들이 알게되었다

이것이 콘크리트의 시초이다.

콘크리트로 지은 가장 유명한 건물 로마의 판테온

그리고, 로마로 넘어가 가장 유명한 건축물을 만드는데 그것이 판테온이다

특히, 판테온의 돔을 만들기 위해서 짚을 사용했는데

이것이 콘크리트가 인장력에 약한 것을 보강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건물이 세계 최초로 철근콘크리트로 지은 건물이다. 보존 상태가 엉망이다

철근콘크리트는 1853년 프랑스의 사업가 프랑수아 쿠아녜가 만들었다

프랑스 샤를 미셀가 72번지에 지은 3층짜리 건물

이 건물이 세계 최초 철근콘크리트로 지은 건물이다

지금과 같은 철근콘크리트의 용도가 아니라 콘크리트를 잡아줄 보조재 역할이었다


바로 이렇게 만들어진 철근콘크리트가 일반화가 된 것은 파리의 정원사 조제프 모니에였다

그는 자꾸만 깨지는 화분을 좀 더 단단하게 만들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는데

철근으로 틀을 짜고 거기에 콘크리트를 들이부은 것이다

그리고는 이 단단한 방법이 돈이 된다고 여겨 이를 특허로 신청한 해가 1867년이다

오귀스트 페레가 현대적인 철근콘크리트 공법으로 지은 최초의 건물

현대적인 철근콘크리트로 지은 최초의 건물

파리의 밴저민 프랭클린가 25번지에 있는 9층짜리 아파트로

오귀스트 페레가 1903년에 지은 최초의 철근 콘크리트 건물이다


자... 그런데... 최초의 철근콘크리트 건물이 무려 9층

엘리베이터가 있었을까 하는 점이다

우리나라는 5층 이상 건물에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의무화 되었는데

과연? 1903년에 엘리베이터가 있었을까?

몽생미셀에는 당나귀가 끌어서 작동하는 승강기가 있었다고 한다

뭐... 현대적인 엘리베이터 말고 사람이 높은 곳을 오르내리는 승강기는

1203년 프랑스 몽생미셀에 있었다고 하는데 당나귀로 끌어서 작동하는 것이었고

1823년 영국 토머스 호너가 런던 콜로세움에 증기로 움직이는

공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도 했다

간혹 엘리베이터를 보면 OTIS라는 회사 이름이 보일텐데 바로 엘리베이터 창시자의 이름이다

하지만, 모두다 옛날식이고 일반적이지는 않았다

현대적인 엘리베이터의 창시자는 엘리샤 그레이브스 오티스

엘리베이터에 OTIS라고 써있는 것을 본 적이 있을텐데

바로 그 OTIS 엘리베이터 회사를 만든 사람이다

1852년에 현대적 엘리베이터를 만들고

1853년에 OTIS 회사를 설립한 후

1854년 파리만국박람회에서 에펠탑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전 세계를 충격에 빠트린 오티스

1854년 프랑스 만국박람회에서 에펠탑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그야말로 전 세계인을 충격에 빠트린 현대 문물을 만든 사람이다

그러니, 1903년에 9층짜리 세계 최초의 철근 콘크리트 건물에 엘리베이터는 있었다

다만, 기술력이 없어서 그동안 고층 건물을 못 만들었던것 뿐

지멘스는 전기 작동식 엘리베이터 방식으로 뉴욕 건물에 최초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였다

물론, 에펠탑 같은 이벤트성이 아닌 건물에 최초로 설치한 엘리베이터

에른스트 폰 베르너 지멘스가 1889년 뉴욕 빌딩에 설치하였다

SIEMENS도 엘리베이터 회사를 설립하긴 했으나 엘리베이터 사업을 OTIS로 매각하였다


이처럼 철근콘크리트로 고층 건물을 세울 기술력이 발전되고

고층 건물을 편하게 승객과 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등장

현대 도시의 상징인 마천루를 형성하는데 가장 큰 기본 전제가 된 셈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철근콘크리트 건물은 (구) 부산세관인데 현재 철거되어 첨탑만 현 부산세관 앞에 있다 (붉은 색 원이 첨탑)

우리나라 최초의 철근 콘크리트 건물은 1910년에 지어진 구 부산세관인데

1979년 도로확장이라는 이유로 철거되어

현재 첨탑만 부산세관 옆에 덩그러니 놓여있다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콘크리트 건물은 1912년에 지어진 한국은행 본관이다

현존하는 최초의 철근콘크리트 건물은

1912년에 지은 한국은행 본관건물이다


우리나라에 최초로 설치된 엘리베이터는 1912년 한국은행 본관에 설치되었는데

이때는 화폐 화물용 운송목적이었다

1914년 최초의 승객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조선호텔 (현 웨스턴조선호텔)

승객용 엘리베이터는 1914년 조선호텔에 설치된 것이 최초다

두 곳 모두 OTIS 회사 제품인데, 일제시대에는 거의 OTIS 제품을 사용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30층 이상 고층 빌딩인 종로구 관철동의 삼일빌딩

그렇다면 마천루의 기준이 되는 30층 이상 건물은 우리나라에 언제 세워졌을까?

1971년 31층 높이의 114m 건물인 삼일빌딩이 우리나라 최초의 마천루로 기록되어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자 세계 6위 높이를 자랑하는 롯데월드타워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건물은 모두들 잘 알다시피

서울시 송파구 신천동에 위치해 있는 129층에 높이 555m의 롯데월드타워

이전 11화 011.가장 많이 생산되는 과일 바나나(feat.포도)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