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yros May 21. 2024

[독일여행/로텐부르크] 로텐부르크 가을의 크리스마스

<안전하고 편안하게 유럽 자동차 여행하기> 서유럽여행

▲  로텐부르크 크리스마스 박물관  © Kyros






추수감사절이 끝나는 11월 말경부터 많은 미국 가정에서는 집안·밖을 화려한 조명과  크리스마스 장식으로 꾸민다. 젊은 시절 즐겁게 함께 꾸미던 성탄장식을 떠올리며, 아내가 좋아하는 크리스마스 장식품을 보러 독일 로텐부르크를 첫 여행지로 선택한다. 유럽과 독일 여러 곳에 이름난 크리스마스마켓이 있지만, 독일 크리스마스 박물관(Weihnachtsmuseum)과 최초의 크리스마스 용품 전문점인 캐테 볼파르트(Käthe Wohlfahrt Christkindlmarkt)가 이곳에 있다.


▲  크리스마스 박물관의 북동쪽 관문, 교수대문(Galgentor)  © Kyros




캐테 볼파르트 크리스마스 마

(Käthe Wohlfahrt – Weihnachtsdorf )


이 회사는 빌헬름과 캐테 볼파르트 (Wilhelm & Käthe Wohlfahrt) 부부가 1964년 헤렌베르크(Herrenberg)에서 설립한 후 1977년 로텐부르크로 이전했다. 


▲  캐테 볼파르트 설립자 부부  © Kyros


박물관은 2000년 9월 2일에 개관하였다.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하며 성인 입장료는 5유로이다.


▲  박물관의 아이콘, 캐테 볼파르트 익스프레스  © Kyros


북동쪽의 출입구, 교수대문(Gallows Gate)에서 걸어서 10여분 거리에 크리스마스 박물관이 있다. 건물 앞 도로에 주차되어 있는 빨간색 밴 지붕에 선물상자가 한가득 실려있는  캐테 볼파르트 익스프레스(Käthe Wohlfahrt Express)를 쉽게 찾을 수 있다.    


▲  로텐부르크 o.d.t. 미니어처  © Kyros


크리스마스 박물관 내부는 성탄절 용품에 관한 거의 모든 것을 만날 수 있다. 로텐부르크 마을을 축소한 모형과 주요 건물을 만들어서 함께 전시하고 있다.


▲  산타클로스, 루돌프, 난쟁이 요정  © Kyros


성탄절의 대표적인 장식물인 산타클로스와 썰매 끄는 루돌프 사슴 그리고 전설 속의 난쟁이 요정들을 볼 수 있다.


▲  대표적인 피라미드  © Kyros


독일의 많은 가정에서 소장하고 있는 피라미드(Pyramid)는 예수의 탄생, 거룩한 밤, 천사의 합창, 성탄절 이야기 등을 주제로 한 목각 조형물로써 맨 위에는 회전자(回轉子)가 달려 있다.


▲  독일 독수리 맥주컵 등 기념품  © Kyros


온갖 종류의 장식품과 기념품이 전시·판매되고 있는데, 특히 다양한 소재로 만든 독일 맥주 머그컵과 장식 기념품 접시가 관심을 끈다.


▲  예쁜 꽃으로 장식된 식당(Landsknechtstübchen)  © Kyros


마을 곳곳의 집과 상점 창가에는 소담한 예쁜 꽃으로 장식되어 있고 시청 근처 마켓 광장에는 여러 나라에서 온 여행객으로 분주하다.


▲  시청사(Rathausturm) 탑  © Kyros


마을과 거리 모두 얼마나 고풍스럽고 멋진지 한걸음을 떼기가 힘들 만큼 눈길을 사로잡는다.




마음씨 좋은 여행자


주차공간이 없어 이리저리 살피고 있는데 한 남성이 차창을 노크한다. 창을 살짝 내리니 밝은 미소의 이 사람이 자기차를 가리키며 지금 떠나려고 하니 자신의 차 앞에서 기다리다 주차하라고 일러준다. 주차공간으로 언성을 높이는 모습은 봤으나 이렇게 스스로 찾아와 주차공간을 안내해 주는 사람은 처음 본다. Have a great day! 서로 인사를 나누고 부인과 함께 환하게 웃으며 떠나는 모습이 너무도 따뜻하다.




P4 주차장 이용방법


이번 자동차 여행은 새로운 경험 기록경신의 연속일 것 같다. 내가 경험한 거의 모든 주차장은 주차비 후불시스템이다. 이곳 P4주차장은 관리인도 없고 CCTV나 출차 차단기 하나 없다. 주차비 정산은 선불제다. 오늘은 리스차량과 함께 독일여행의 첫날이니 이런 제도를 알리가 없다.


겉으로 보이는 모양새는 공원에 있는 유료주차장인데 무인정산기 한대가 있을 뿐이다. 주차 후에 운전자가 주차장에 머무는 시간을 스스로 입력하고 바로 계산을 한다. 지켜보는 사람 하나 없이 각자 그렇게 볼일을 마치고 영수증을 대시보드에 올려놓고 주차장을 떠나면 된다.


▲  무인 주차권 발매기  © Kyros


기존의 경험치에 따라 여유롭게 관람을 마치고 나와서 주차비 지불을 시도하는 우리는 막막할 뿐이다. 기계에 부착된 번호로 통화를 시도했지만 연결이 되지 않아서 인터넷을 통해 1시간이 넘게 씨름을 한다.  Parkster 앱을 설치하고 운전자와 차량정보 그리고 주차시간과 결제방법을 입력한다.  결제금액 청구는 월 단위로 합산하여 청구된다. 주소지로 청구서 우편우송보다는 카드결제가 편리하지만, 향후 결제금액에 다툼이 있을 때 전화통화도 어렵고 이메일을 이용한 처리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  온라인 주차료 정산안내 표지판  © Kyros


가능한 한 각각의 여행지 주차정보를 출발 전에 자세하게 확인하고 여행하는 것이 안전한 방법이다. 안전을 위해 무인주차장은 이용하지 않지만, 선택의 여지가 없을 때는 도착(주차) 즉시 주차비 지불방법부터 반드시 확인을 해야 하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독일여행/로텐부르크] 뜻밖의 선물, 로텐부르크 전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