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YJ Feb 10. 2024

교육과 일상활동: '자주 만나기'의 힘

알아야 노조도 하지     


처음 노조가 생겼고 절대다수의 조합원들에게 노조 경험이 처음이었으니, 배워야 할 게 참 많았다. 전체 조합원이 함께하는 교육을 기본으로 하되, 주제에 따라서는 간부 위주의 교육도 마련했다. 노동조합이 필요한 이유, 현재 노동정책의 이해, 노동법 기본, 단체교섭 방법이 우리가 초창기에 했던 교육 주제다. 창립 초기를 지나서는 더 다양한 주제의 교육을 마련했다. 산업 재해 바로 알기, 월급명세서로 보는 임금의 이해, 퇴사 전 체크리스트, 감정노동자를 위한 마음 돌봄, 기후 위기와 노동자...... 이런 교육들을 함께 했다. 노무사나 연구자의 강의 형식뿐만 아니라, 노동 관련 영화를 보고 투쟁 사업장 동지들과 토크콘서트를 하기도 했고, 노조 출신 시의원과 토크쇼를 하기도 했다.       


상급단체에서 마련한 교육 프로그램에 가기도 했다. 타임오프(근로시간 면제 제도)를 쓰는 한 두 명의 임원 외에는 자기 휴가를 써서 가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열성적인 몇몇 집행부가 교육에 다녀왔다. 대개 노조 간부 교육, 노동법 강의, 그리고 교육선전학교처럼 특정 주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배우고 왔다. 시간을 내기가 어렵기는 하지만, 이런 곳에는 한번 가면 다른 노조 사정도 들을 수 있어 간부 경력이 짧은 이들에게 좋은 기회다.        


사실 ‘교육’, ‘강의’ 같은 이름을 붙인 자리가 아니더라도 모든 일상의 활동이 다 교육의 장이라고 해야 맞다. 노동조합의 최고 학교는 파업이라고 하듯, 투쟁하는 시간 모두가 교육이다. 그뿐인가. 회의를 하면서, 간담회를 하면서, 문화체육행사를 하면서, 노사협상을 하면서, 우리는 끊임없이 배우고 교훈을 얻는다.     


일상적으로 교육 역할을 하는 건 홍보물이다. 카드뉴스나 교육지는 가장 흔한 방법인데, 우리 사업장 안에서 일어나는 일 말고도 노동계 현안에 대해서 많이 다룰 수 있었다. 우리는 매월 문자소식을 통해 활동 이모저모와 노동 현안을 공유했다. 우리가 속한 산별노조나 민주노총 중앙에서 교육 자료를 많이 만들어내기 때문에 잘 활용하면 된다. 그런데 아쉽게도 개별 사업장에서 조합원들이 친숙하게 이해하기에는 언어와 형식이 적절하지 않아서(정말이지 노동운동 20년쯤 한 사람들에게 맞춘 것 같은 느낌), 그대로 가져다 쓸 수 없고 매번 우리 정서에 맞게 고쳐서 만들었다.          


자주다양한 주제로 만나는 소모임     

조합원이 가르쳐주고 조합원이 배우는 원데이클래스 - 꽃바구니 만들기

코로나 시기를 겪으며 모두가 힘들었겠지만 노동조합의 활동에도 큰 어려움이 있었다. 대면 모임이 모두 불가능했기 때문에, 총회도 교육도 어려웠다. 전 같으면 송년모임으로 남산 기억의 터를 방문하고 카페를 통째로 빌려 즐기기도 했고, 신년회에서는 양푼에 비빔밥을 만들어 먹거나 회사 앞 식당에 나가서 모두 함께 식사를 하기도 했는데, 코로나 시기엔 꿈도 못 꿀 일이 되었다. 노조의 힘이 커지기 위해서는 조합원들의 기세를 보여주어야 하고, 모여야 서로 힘이 나기도 한다. 누군가 부당한 일을 당해 함께 싸워야 할 때도, 아무래도 얼굴을 잘 아는 사람이면 더 도와줄 맘이 생기게 마련이다. 부서 울타리를 넘어 다른 부서 사람들도 만나야 여러 사람들의 사정을 알게 된다. 그런데 이런 일들이 코로나 때문에 어려워진 것이다.     


우리는 이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방역 지침을 어기지 않는 범위에서 잘게 잘게 쪼개 소모임을 자주 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한꺼번에 모이는 행사는 온라인으로 대체하지만, 작은 소모임을 더 자주 열어서 조합원 사이의 만남을 이어나가기로 한 것이다.      


가장 오래 진행된 건 독서모임이었다. 미리 읽어오는 부담 없이, 매주 요일을 정해 노조 사무실에서 책을 읽는 낭독 모임을 통해 여러 권의 책을 독파할 수 있었다. 전태일 평전을 읽으면서는 모두 울어서 제대로 낭독을 이어가기 어려울 지경이었다. 조합원이 가르치고 조합원이 배우는 원데이 클래스도 많이 했다. 조합원 중에서 전문가는 아니더라도 약간의 재능이 있기만 하면 하루 강사로 데뷔할 수 있도록 했다. 


수소문해 보면 재능 있는 사람들이 있었다. 체대 출신 조합원이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점심시간을 이용한 ‘바르게 걷기’ 클래스를 열기도 했고, 가죽공방에서 취미생활을 하는 조합원은 가죽소품 만들기 클래스를 열었다. 미술세러피를 할 줄 아는 조합원은 그림 그리기를 가르쳐주었다. 뜨개질 잘하기로 알려진 조합원들은 친환경 수세미 만들기 강사가 되었다. 꽃꽂이에 관심 있는 조합원들이 모여 계절에 맞는 꽃다발을 만들기도 했고, 담금주를 만들기도 했다. 노동과 꽃이 무슨 상관이냐고 묻는다면, 우리의 심미적인 안목과 문화적 감성을 하찮게 여기지 말라고 답하고, 노조에서 술을 왜 담그냐고 묻는다면 건강주로 몸을 튼튼히 하면서 스트레스 해소도 할 수 있다고 답하면 그만이다. 

      

시위에 참가하는 건 어려워도 취미활동을 함께하는 건 상대적으로 편안하니, 이 기회에 노조활동에 한발 담그도록 할 수 있었다. 회사에서 부당한 일을 겪고 하소연하러 오는 게 아니더라도 노조 사무실에 편하게 올 수 있도록 하는 기회이기도 했다. 그래서 우리는 코로나에도 노조 활동을 멈추지 않을 수 있었다.   

이전 04화 체계와 운영 : 사측과 우리의 차이는 민주성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