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번째 임상시험은 과연 성공인가 실패인가?
[임상시험 브리핑]
2023년 Elon Musk의 Neuralink가 FDA 승인을 받은 이후로, 첫 번째 임상시험을 진행하였다.
행운의(?) 임상시험의 주인공은 Noland Arbaugh로, 2016년에 다이빙 사고로 인해 사지마비가 된 29세 환자이다. 수술 결과, 그는 아무런 물리적 장비 없이 마우스 커서를 자유롭게 움직여 체스를 플레이하고, 문명 6 게임을 한다.
다음 영상을 보면 수술 후 Noland의 인터뷰을 볼 수 있다. 이로 보았을 때 아직까지는 대단한 성공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어떻게 임상시험을 진행하였을까?]
Neuralink의 주요 기술과 함께 어떻게 임상시험을 진행하였는지 간략하게 알아보자.
N1 Implant: 머리카락 두께보다 작은 64개의 Thread에 분포된 1024개의 전극, 무선충전되는 배터리, 정보를 전송하는 칩으로 구성된 BCI(brain computer interface)이다. N1는 뇌활동을 측정하고 Neuralink 앱으로 정보를 전송한다.
R1 Robot: 매우 정교하고 작은 전극을 정확히, 효율적으로 삽입하기 위해 로봇 수술을 사용한다. 5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OCT(광 간섭 단층 촬영), 작은 침을 탑재하고 있다.
Neuarlink Application: N1에서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이를 해석하고 분석하여 마우스 커서를 움직인다.
N1 charger : 두개골 아래 삽입되어 있는 N1 배터리를 무선 충전한다.
추가적으로 기타 기술들에 대해 알아보자.
Thread의 작은 전극을 만드는 미세가공실험실 (inhouse microfabrication capabilities)
피질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적혈구 크기 정도를 절단하는 펩토초 레이저 기술(custom femtosecond laser mill)
N1의 내구성을 테스트하는 가속 수명 태스트기 (Accelerated lifetime testing system)
수술 시뮬레이터(simulated surgery environment)
다음 영상은 임상실험에 대해 간략히 잘 정리되어 있다.
[임상시험을 보고 추측할 수 있는 사실들]
- 수술과 회복 기간이 매우 빠르다. 하루만에 퇴원이 가능하였다고 한다.
-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 어느정도의 노력이 필요하는지 가늠할 수 없지만,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것으로 보아, 마우스 커서를 움직이는데 고도의 집중력이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지지 않는다.
- 인지적 기능저하가 보이지 않는다. 1월에 수술을 진행한 후 아직 뚜렷한 부작용이 있어보이지 않는다.
- 충전을 하는 동안에는 사용하지 못한다. 이는 충전으로 인한 열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함으로 보인다.
- 커서를 움직이는 것만 가능할 뿐, 실제로 근육이 움직이는 것은 구현하지 않았다.(공개된 영상에 따르면)
[Neuralink의 앞으로 목표]
Neuralink는 현재 그들의 첫번째 임무인 PRIME study(Precise Robotically IMplanted Brain-Computer InterfacE)를 수행 중이다. 이는 사지마비 환자에게 BCI를 수술하고 이의 기능과 안정성을 평가하는 단계이다.
Neuralink 앞으로 이러한 미션들을 하나 하나씩 이뤄나갈 것이다.
1. 사지마비 환자들이 생각으로 기기를 조작하는 것
2. 시각, 운동기능, 감각기능, 말하기, 기타 여러 신경질환의 기능을 회복하는 것
Restore capabilities such as vision, motor function, and speech, and eventually expand how we experience the world.
그리고 궁극적으로 두뇌의 모든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것이다.
Neuralink’s ultimate goal is to create a generalized input / output platform capable of interfacing with every aspect of the human brain.
그리고 Elon에 따르면 AI와 융합하는 것(Symbiosi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이다.
[Neuralink과 철학적 논의]
앞으로 Neurlaink의 이정표와 함께 고려해야 할 철학적 논제에 대해 간략하게 던져보았다. 후에 다루도록 하겠다.
1. BCI를 해킹하고 이를 조작할 수 있을 까? 이러한 위험에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가?
2. AI와 인간이 융합 시 인간의식에 어떠한 변화가 생기는가? 인간의 의식은 없어지는가?
3. AI와 인간이 융합 시 누가 통제권을 갖는가?
4. 융합된 AI-인간은 인간과 같은 가치를 추구하는가?
[의의]
인터뷰에서 볼 수 있듯이, 이는 확실히 마비환자에게는 삶의 큰 변화를 주는 기술임은 분명하다. 이는 충분히 더 연구할 가치가 있으며, 이러한 기술이 앞으로 환자들에게 보급되면 좋을 것 같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Noland Arbaugh의 용기에 박수를 전하고 앞으로 부작용 없이 살기를 응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