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1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힘든 일은 제가 할께요! AI 로봇 시대

CES 키워드와 인공 지능 AI 로봇

by merry Feb 27. 2025


안녕하세요. 에디터 merry 입니다.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 및 기술 박람회인 CES (Consumer Electrionics Show)가 지난 7일부터 10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LVCC와 Venetian에서 개최되었는데요.


CES는 최신 기술과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이는 중요한 박람회로 전 세계 150개국 이상의 IT 및 전자업계 관계자, 바이어, 미디어, 투자자들이 방문하며 기술 트렌드를 확인하고 글로벌 비지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박람회라고 해요. CES와 12가지 디지털 트렌드 중 AI 로봇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아요!





브런치 글 이미지 1


CES 2025, 인류문제 해결 위한 ‘몰입’


CES 2025의 주제는 ‘Connect’, ‘Solve’. ‘Discover’. ‘Dive In’ 이었는데요.

첨단 기술을 통해 서로 연결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개발에 몰입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핵심 주제인 ‘몰입(Dive In)’에 주안점을 두고 인류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저 없이 뛰어들어 발전적인 변화를 모색하자는 메시지를 전했어요.

‘CES 2025’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디지털 헬스(Digital Health), 운송기술 및 첨단 모빌리티(Vehicle Tech and Advanced Mobility) 등 3개 핵심 기술을 포함해 23개 세부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지난해 행사와 견주어 ‘CES 2025’에서는 크고 작은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데요.

첫째, 주제와 슬로건입니다.

작년 행사에서는 ‘All together, All ON’을 주제로 AI와 지속가능성, 모빌리티에 관한 혁신기술에 초점을 맞췄어요. ‘CES 2025’는 ‘Connect’, ‘Solve’. ‘Discover’. ‘Dive In’을 주제로 인간중심 기술(HUMAN)과 AI, 디지털 헬스케어, 지속가능성 등의 분야에서 더욱 다양한 기술을 선보였어요.

둘째, AI의 역할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연구입니다.

‘CES 2024’는 생성형 AI와 AI 기반 로봇, 디지털 트윈 기술에 중점을 두었다. ‘CES 2025’는 기존 기술보다 더욱 진화한 에이전틱 AI(Agentic AI)와 스마트 어시스턴트, 기기 인터페이스 통합에 초점을 맞췄어요.

셋째는 모빌리티 기술의 발전입니다.

‘CES 2024’에 등장한 첨단 전기차(EV)와 자율주행차, eVTOL(수직 이착륙 항공기) 등 미래형 운송 수단은 관람객이 시선을 사로잡았어요. ‘CES 2025’에서는 EV와 자율주행차 외에도 윈드실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Hyundai) 및 PS5을 내장한 차량(Sony-Honda) 공개돼 주목을 받았어요.

넷째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확장입니다.

‘CES 2024’는 AI 기반 웨어러블과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솔루션을 강조했는데요. ‘CES 2025’에서는 질병예방 및 치료를 위한 전자 의료기기(Electroceuticals)와 장애인을 위한 기술이 더욱 다양해졌어요.

마지막은 지속가능성인데요. ‘CES 2024’에서는 친환경 포장, 재활용 기술,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 환경보호 중심의 기술이 주를 이뤘어요. ‘CES 2025’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솔루션과 물, 공기 정화 기술 등 인류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췄어요.



CES 키워드, 미래를 볼 수 있다?


'인공지능 AI'의 키워드는 2017년 처음 등장했습니다. 2017년은 AI기술의 티핑 포인트가 일어난 해로 여겨져요.
2016년 딥마인드의 바둑 AI '알파고'가 이세돌 구단에 승리하며 알파고 쇼크가 벌어졌고, 훗날 오픈 AI의 부상을 가능케한 구글의 'Attention is all you need'가 2017년 발표됐어요.


브런치 글 이미지 2


CES 주요 키워드는 이런 중요한 변화의 시그널을 잘 반영해왔는데요.
2024년 생성형 AI를 새로운 키워드로 추가했는데, 2025년에는 생성형 AI가 AI라는 전체 산업 영역을 대표하기 시작하자 AI로 키워드로 다시 바꿨어요. 실제로 2025년 이후 AI는 학계, 산업계에서 생성형 AI를 포괄하는 더 넓은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어요.




2025년 한국의 디지털 트렌드 전망


브런치 글 이미지 3

2025년 한국의 디지털 트렌드 전망은 크게 12가지 키워드로 나눌 수 있는데요.

키워드를 선정하는 과정은 아래 세 과정을 통해 도출됩니다.


1. 국내외 기관 및 연구소에서 예상한 미래 전망 보고서를 분석해 경제·산업·사회 분야별 키워드를 도출

2. Gartner, Forves, Deloitte 등에서 전망한 기술 트렌드를 취합 및 재구성하여 핵심 기술 10가지 선정

3. 경제·산업·사회 전망 분석을 통해 도출한 이슈10대 핵심 기술을 분석, 2025년도에 예상되는 디지털 트렌드와 사례 도출


이러한 과정을 통해 2025년의 정책과 방향을 바탕으로 위 12가지 트렌드를 도출했는데요, 그 중 AI 로봇에 대해서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브런치 글 이미지 4


CES 현장을 뜨겁게 달군 AI 로봇


인간과 비슷한 모습의 로봇에 AI가 결합된 휴머노이드에도 큰 관심이 쏟아졌어요. AI를 통해 자신 앞에 있는 상대를 인식하자 “같이 사진 찍자”고 말하고, 손을 내민 사람에겐 다가가 악수하는 등 혁신적인 휴머노이드가 많이 등장한 것, CES 2025에 참여한 국내외 기업 대표들은 로봇 산업을 미래 핵심 분야로 강조하기도 했어요.


AI 로봇은 제조업과 가사 지원 서비스에 도입되어 반복적이고 위험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요. 범용AI 로봇은 제조업과 가사 지원 서비스에 도입되어 반복적이고 위험한 작업을 수행하며 기술적 가능성을 입증했어요.

또한, 국내외 로봇 업체들은 기존의 “다품종 소량생산” 전략에서 “솔루션화”로 구심점을 옮기고 있으며, 로봇의 몸을 넘어 ‘머리’를 똑똑히 만드는 것은 국내 로봇산업의 과제라고 해요.


이전까지는 로봇이 정해진 환경에서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는데요.

AI 기술 발달로 로봇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최적의 동작을 판단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어요. 한 국내 참가자는 “한국은 하드웨어에 집중하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며 “지금 문제는 하드웨어가 아니라 소프트웨어”라고 말했어요.


이번 CES에서 국내외 기업 대표들은 로봇 산업을 미래 핵심 분야로 강조했는데, 젠슨 황 CEO는 “로봇 분야에서도 챗GPT와 같은 순간이 곧 찾아올 것”이라며 새로운 로봇 개발 플랫폼을 공개했습니다.

또,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휴머노이드 계획이 빨라질 것 같다”며 “우리도 휴머노이드까지 같이 간다”고 말했어요.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 세계의 움직임이 가팔라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브런치 글 이미지 5


국내 AI 로봇, 어디까지 발전할까


범용 AI 로봇은 제조업과 가사 지원 서비스에 도입되어 반복적이고 위험한 작업을 수행하며 기술적 가능성을 입증했는데요.

AI 로봇 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한 국내 기업들이 인공지능(AI)을 장착한 로봇 개발에 몰두하고 있어요.

HD현대로보틱스는 거대언어모델(LLM)을 활용해 로봇에 작업 방식을 가르치는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고, 센서와 AI를 활용해 전문가의 작업과 움직임을 모방하는 기술도 개발에 돌입했어요.

이 외에도 HD한국조선해양 미래기술연구원 AI센터와 협업해 로봇이 스스로 용접 작업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고 불량을 예방하는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향후 조선소 현장에 도입할 계획이라고 해요.


두산로보틱스 역시 푸드테크 영역에서 AI를 접목한 다양한 협동 로봇 솔루션 개발에 나섰어요.

생성형 AI를 통해 최적의 제조법을 찾고 칵테일을 제조해 주는 ‘믹스마스터 무디’ 솔루션이 대표적인데요. 무디는 사람의 표정에서 감정을 인식하고 감정에 어울리는 칵테일을 추천해 줘요.

그간 자동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로봇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개발자가 코딩을 통해 동작 순서와 위치, 속도 등을 직접 설정하는 과정이 필요했으나 AI를 학습에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로봇 개발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어요.

이러한 과정을 통해 AI가 로봇을 학습시키는 핵심 수단으로 부상하면서 로봇 시장 경쟁은 더 뜨거워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merry의 한마디

AI 로봇은 위험한 작업 환경에서의 안정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데요.
특정 작업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의 한계를 극복하여 생산성 및 효율성 극대화를 가능하게 해요. 또, 방사선 노출, 화학 물질 누출 등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험한 환경에서의 작업 수행이 가능해 산업 재해의 위험성도 크게 경감시켜줄 수 있어요.


이를 위해서는 AI 로봇은 예측하지 못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하며, 변화하는 환경에서 스스로 학습하고 적응해야 하는데요. 인간 로봇 상호 작용 기술이 필수적이며, 고도화된 AI 기술과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경제성 문제 해결이 필요해요.


또, 로봇이 내린 결정이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에 AI 로봇이 수집하는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개인정보 보호 문제, 사이버 공격을 통한 해킹 위험 등 윤리적, 사회적 이슈 및 안정성 문제 또한 고려해야 해요.



이런 자료를 참고했어요.

CES
미국 라스베가스 CES 소비자 가전 박람회 2025
"中, 로봇패권 잡을날 머지않아…가격경쟁력에 AI 결합땐 위협적"
인공 지능(AI) 및 로봇 공학
NIA가 전망한 2025년 12대 디지털 트렌드




작가의 이전글 운동이 어렵다고요? AI 트레이너가 도와드려요!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